[전체] “촌은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촌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시인 유희경(劉希慶)의 시문집. [개설] 3권 2책. 목활자본. 손자 자욱(自勖)이 수집하고 김창협(金昌協)이 선정하여 증손인 태웅(泰雄)에 의하여 1707년(숙종 33)에 간행되었다. 『촌은집』의 책머리에 김창협과 이경전(...
- 촌은집책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시인 유희경(劉希慶)의 시문집 책판. [내용] 52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촌은집≫은 저자 자신이 자기 시를 모아 엮은 것을 이경생(李慶生)의 서문을 붙여서 처음에는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간행하였...연계항목촌은집책판(村隱集冊板)
- 유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기 집 뒤의 시냇가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어 ‘침류대(枕流臺)’라고 이름 짓고 그곳에서 유명 문인들과 시로써 화답했다. 그때에 서로 주고받은 시를 모아 『침류대시첩(枕流臺詩帖)』을 만들었다. 문집으로 『촌은집(村隱集)』3권이 전하며 그 밖의 저서로 『상례초(喪...이칭별칭 응길(應吉)| 촌은(村隱)
- 풍월향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선조 때에 활동한 일군(一群)의 시인들을 지칭하는 시단(詩壇). [개설] 이 용어는 이식(李植)이 이 시단의 맹주격이던 유희경(劉希慶)의 시문집 『촌은집(村隱集)』 발문에서 처음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발문에 의하면 유희경‧백...
- 매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74년 그 고장 서림공원에 시비(詩碑)를 세웠다. 『촌은집(村隱集)』 『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지봉유설(芝峰類說)』이칭별칭 천향(天香)| 매창(梅窓)|향금(香今)|계생(癸生)|계랑(癸娘)|계량(桂娘)
주제어사전(3)
-
촌은집 / 村隱集 [언론·출판]
유희경(1545-1636), 목판본. 책의 구성은 3권 2책이다. 권수에는 김창협의 글씨를 판각한 <촌은집서>가 있다. 권1에는 오언절구 13수, 육언절구 4수, 칠언절구 131수, 오언율시 50수, 오언배율 5수, 칠언율시 37수, 오언고시 1수, 삼오칠언 5수,
-
유희경 / 劉希慶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촌은집』을 저술한 시인. 아버지는 종7품인 계공랑(啓功郎)유업동(劉業仝)이고 어머니는 허씨(許氏)이다. 박순(朴淳)으로부터 당시(唐詩)를 배웠으며 어려서부터 효자로 이름이 났다.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으로 나가 싸운 공으로 선조(宣祖)로부터 포상과 교지를 받
-
풍월향도 / 風月香徒 [문학/한문학]
조선 선조 때에 활동한 일군(一群)의 시인들을 지칭하는 시단(詩壇). 이식(李植)이 이 시단의 맹주격이던 유희경(劉希慶)의 시문집 『촌은집(村隱集)』 발문에서 처음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발문에 의하면 유희경·백대붕(白大鵬) 등을 당시 사람들이 ‘풍월향도(風月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