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촌락” 에 대한 검색결과 1,0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4)

사전(5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생활의 단위로서, 인간생활의 기본단위인 가족 또는 집들이 모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루고 있는 지역집단. [내용] 마을‧골〔谷〕‧동리‧부락‧취락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의 개념과 그것에 대한 연구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연촌(自然村), 지역촌(地域村), 행정촌(行政村) 사회향촌/취락 개념용어 전국 전시대 전시대 이규대 [정의] 주민들의 거주 및 생산 활동 공간인 마을 공동체. [개설]...
    관련어자연촌(自然村), 지역촌(地域村), 행정촌(行政村)
  • 동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성동본의 씨족성원들이 한 마을에 집단거주하여, 그 동성집단의 조직과 기능이 안의 타성가구를 포함한 전체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 [내용] 동성의 역사적 형성은 후삼국시대로부터 고려 초기에 걸쳐 성립된 각 지방의
    이칭별칭동족부락
  • 각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 안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지연적 유대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마을. [내용] ‘혼성’‧‘비동족’‧‘잡성’‧‘근린’ 등의 용어를 쓰기도 하여 그 명칭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동성이 반촌(班村)의 성격을 띠는...
  • 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신화는 대개 짧은 단편으로 되어 있으나, 서당굿이나 당굿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마을굿이나 별신굿의 구연과정을 보면 상당히 긴 것도 많다. 이들 굿의 내용에는 ‘박혁거세신화(朴赫居世神話)’나 ‘김수로왕신화(金首露王神話)’를 회고하고 있는...

단행본(1)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42. 입역 43. 향탄산 44. 조포사 45. 속사 46. 능내의 지명 47. 동구 바깥의 48. 위전 49.

고서·고문서(256)

  • 033신라문서1. 앞면.jpg 2. 뒷면.jpg [1면]  當縣沙害漸村見內山盖地周五千七百卄五步合孔烟十一計烟罒余分三■■■■■■■■■■■■■■■■■■■■二■■■■■■■■■■■■■此中仲下烟罒下上烟二下■烟五合人百卌七此中古有■■■■■■■■■人三年間中産并合人百卌五以丁廿九以奴...
    연대695 | 서체해서와 행서 | 소재지日本 正倉院 事務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695년 신라 장적(帳籍)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695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신라시대 의 장부이다. 1933년 일본의 정창원(正倉院)에 소장된 ‘화엄경론제칠질(華嚴經論第七帙)’을 수리할 때 우연히 발견된 것으로, 자료의 복원으로 현재 실물은 확인할 수는 없고 사진자료만이 남아 있다. 작성연대를 두고 695...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적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일본 정창원
  • 지방제도조사(경주‧울산‧동래)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중추원 조사과 속(屬) 마사키 카오루(正木薰)이 경상북도 경주와 경상남도 울산, 동래군 지역의 지방제도를 조사하라는 중추원의 명령에 따라 1931년 3월 10일부터 18일까지 조사한 사항에 대해 정리하여 4월에 보고한 복명서이다.
    분류제도조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지방제도조사(전주‧광주‧목포‧군산)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중추원 촉탁(囑託) 장행원(張行遠)이 고원(雇員) 김완규(金完珪)를 대동하고 1930년 10월 구관조사를 위해 전주, 광주, 목포, 군산 등지에 출장하여 12월에 조사를 마치고 보고한 복명서이다.
    분류제도조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식량저장창고를 보유하고 있는 수찬 읍내 마을 목록과 가구, 인구, 남성, 여성 인구 수, 촌락별 거리 및 읍과의 거리, 식량저장창고 및 창고에 저장된 식량의 양 등에 대한 보고
    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97

기초학문(20)

  • 일제하 식민권력의 침투와 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민철, 게재일 : 2010
    41762 김민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일제하 식민권력의 침투와 사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식민지기 지배와 ‘중간지배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해동, 게재일 : 2006
    41153 윤해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식민지기 지배와 ‘중간지배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 -경상남도 의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심광택, 게재일 : 2009
    41238 심광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지리학회 2009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 -경상남도 의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경관 비교 연구: 반촌과 민촌적 배경의 간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종한, 게재일 : 2009
    27406 전종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경관 비교 연구: 반촌과 민촌적 배경의 간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앵글로-색슨의 정주유형과 공동체의 형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심재윤, 게재일 : 2002
    48249 심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사학회 2002 앵글로-색슨의 정주유형과 공동체의 형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131)

  • 沃川消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폭도의 일부분은 타고 옥쳔디경을 범엿스며  신탄진에 들어온다 소문이낫더니 다만 화젹십륙명이 달녀들어 에 불을노앗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쥬근쳐에셔 동학당이 다시 닐어나셔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근쳐에셔 동학당이 다시 닐어나셔 으로 다니며 산을 겁냑고로 디방병뎡으로 진압겟다고 경에 뎐보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長水賊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슈군 륙십령에 화젹이 둔야 근쳐에 노략며 인의 물을 탈야 봉변치 안은쟈업더니 군슈 권직상씨가 그근쳐 쟝뎡을 초야 방슈다더라
    게재일1903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외보번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항근쳐 영안 근방에 촌민 쳔명이 비도를 엄습다가 도로혀하야 근 이쳔명이 쥭엇대 그비도들이 큰두곳을 츙화후에 촌민 명을 쥭인지라 관병이천명이 촌민을 구조기위야 나갓대 거월 이십이일경에 졉전이될터이라더라
    게재일1900년 11월 7일 | 기사분류논설
  • つの<アジア史>の在り方 松田壽男 32 內地のと朝鮮の 鈴木榮太郞 55 硏究錄-第二回硏究發表會に於にける 7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3

기타자료(36)

  • 송촌격;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906 남한 충남 홍성농업전수학교 동창회명부 1944―07―27 26면 송촌격;松 예산군 신양면 죽천리 제7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홍성농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낙양;鄭樂陽;죽촌낙양;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5241 남한 충남 공주농업고등학교 공주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7(1938)~1945) n.r. 18면 5. 제5회 정낙양;鄭樂陽;죽촌낙양;竹陽 충청남도 1941년 12월 28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0cm 여러 두루마리를 싼 책질이다. "화엄경론 제7질"의 표제가 있다. 삼베심을 종이에 끼우고 테두리에 무늬가 있는 종이를 돌린다. 안쪽에 신라 관계 문서의 반고(反故)가 붙어있다. 신라 문서는 2편 5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1933년(昭和8)의 수리에 즈음하...
    대표표제어29.화엄경논질(華嚴經論帙)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 유고유적(油庫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유고유적(油庫遺址) 중국 유고유적(油庫遺址) 발해 길림성(吉林省) 무송현(撫松縣) 소재지 남쪽 유고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대표표제어유고유적(油庫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유고유적(油庫遺址)
  • 조칙을 내려 여러 물품을 발해 사신 및 수령에게 지급하고 본국으로 돌려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민의 유력자 출신으로서, 작은 의 촌장이었으며 신라의 촌주와 같은 존재였다고 믿어진다. 즉 수령은 발해사회에서 에 대한 국가의 지배를 담당하였으며 조(租)나 공납품의 수납, 역역이나 병력의 동원 같은 일들을 처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崔根泳 외, 1994...
    대표표제어조칙을 내려 여러 물품을 발해 사신 및 수령에게 지급하고 본국으로 돌려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12년(壬申/신라 효공왕 16, 神德王 1/발해 諲譔 7/후백제 견훤 21/태봉 궁예 水德萬歲 2/後梁 太祖 乾化 2/日本 醍醐天皇 延喜 12)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58)

  • / [사회/촌락]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생활의 단위로서, 인간생활의 기본단위인 가족 또는 집들이 모여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통합을 이루고 있는 지역집단. 마을·골〔谷〕·동리·부락·취락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의 개념과 그것에 대한 연구의 관심은 여러 학문 분야에 따라 각기 다르

  • 각성 / 各姓 [사회/촌락]

    안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지연적 유대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마을. 동성이 반촌(班村)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각성은 대체로 민촌인 경우가 더 많다. 그리고 동성은 대체적으로 유교적 향약의 촌규(村規)와 씨족의 결합력이 강한 데 비하여,

  • 동성 / 同姓 [사회/촌락]

    동성동본의 씨족성원들이 한 마을에 집단거주하여, 그 동성집단의 조직과 기능이 전체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 동성의 기본구조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혈연관계이다. 우리 나라의 가족이나 씨족에서는 부계혈연을 통한 남자 개인의 자격이 여타의 어떤

  • 신화 / 神話 [문학/구비문학]

    마을에서 섬기는 신의 내력에 관한 이야기. 많이 전승되고 있지 않지만 단편적인 것이 여기저기 전승되어 오고 있다. 주인공은 그 마을의 신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거의 전설처럼 되어가고 있다. 신을 섬기는 마을사람들로서는 신화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지방의 사람이 보면 전설

  • 민촌 / 民村 [사회/촌락]

    양반이 아닌 상민이 모여 사는 마을. 반촌(班村)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백정·무녀·관노와 같은 천민들의 마을은 특수촌으로 분류하여 민촌에서 제외시킨다. 따라 순수한 민촌은 상민 또는 양인들의 집단거주마을이라 규정지을 수 있다. 신분계급이 존재하던 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