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초주지” 에 대한 검색결과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

사전(38)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주문(奏文)을 쓰는 데 사용하는 고급종이의 한 종류. 닥나무로 만든 저주지(楮注紙)와 함께 주문(奏文)을 쓰는 데 사용하였다. 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재료는 알 수 없으나 저주지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으로 보아 매우 고급의 종이였음을 알 수 있다. 는 초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이 계목지(啓目紙), 공사지(公事紙), 저주지(楮注紙), 주지(注紙), 초기(草記) 교육 출판출판/종이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손계영 어람용 책자, 문서, 업무용 용지 ...
    상위어종이 | 관련어계목지(啓目紙), 공사지(公事紙), 저주지(楮注紙), 주지(注紙), 초기(草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427 물품도구 () 왕명(王命)을 받아 초안을 잡는 데에 쓰이는 종이. ()는 왕이 보도록 만들어진 어람용(御覽用) 문서에 사용하는 최고급 한지로, 다른 한지에 비해 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유형분류물품도구
  • 태항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것을 다시 더 큰 항아리에 넣는데, 먼저 항아리 밑에 솜을 깔고 태항아리를 넣은 다음, 다시 그 주위의 공간을 솜으로 메운다. 솜을 태항아리의 입 높이까지 가득 채운 뒤 ()로 다시 그 위를 덮는다. 이리하여 안의 태항아리가 움직이지 않게...
    이칭별칭태봉
  • 공격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씩 넣어 장책하였으며, 봉안건(奉安件)에도 이용되었다. 그러나 반사건(頒賜件)에는 표지 안쪽에 격지 한 장만을 이용하였으며 공격지는 들어가지 않았다. 진상‧진헌건의 지의(紙衣)와 격지 및 공격지에 소용된 종이는 ()이며 반사건에는 저주지(楮注紙)가 이용되었다...

고서·고문서(32)

  • 且備局年例納箭竹三分之一, 每年送置江都事, 竝爲定式, 申飭,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寅明曰, 近來試紙之用好品, 廟堂連有禁令。 而今番庭試初試, 與他賜第之科, 尤爲有間, 試紙宜令從薄。 而當初禮曹節目, 循例以磨鍊。 則紙品, 與供上紙同, 雖以庭謁聖正草言之, 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備局年例納 箭竹三分之一, 每年送置江都事, 竝爲定式, 申飭,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寅明曰, 近來試紙之用好品, 廟堂連有禁令。 而今番庭試初試, 與他賜第之科, 尤爲有間, 試紙宜令從薄。 而當初禮曹節目, 循例以磨鍊。 則紙品, 與供上紙同, 雖以庭謁聖正草言之, 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五百九十六兩, 長興庫, 供上․草常注紙․楮注紙․六張付油紙帒․六油芚․四油芚․白紋席․柳笥․柳筽․柳箕等價折錢八千八百六十四兩, 豐儲倉, 搗鍊楮注紙․等價折錢四千四百三十七兩, 司宰監, 大口魚․石首魚․靑魚․眞魚․白蝦醢 ...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330 B030330 궁삭 弓槊 경제산업 江原道邑誌 杆城郡邑誌 杆城郡 貢案 ... 牛黃白茯令蘗皮蓁芃木通蟬殼天南星地楡海藻典醫監白芍藥惠民署藜蘆花白花蛇司僕寺次楮常注紙豊儲倉早藿常藿藿耳義盈庫全漆鞍技工曹鄕角弓弓絃絲狄磨箭片箭鄕牛角牛筋雉羽雜羽弓槊木高佐木熟獐皮軍器寺按地只錄上...
    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䆃寺牛黃白茯令蘗皮蓁芃木通蟬殼天南星地楡海藻典醫監白芍藥惠民署藜蘆花白花蛇司僕寺次楮常注紙豊儲倉 ...
    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

    주문을 쓰는 데 사용하는 고급 종이의 한 종류. 닥나무로 만든 저주지와 함께 주문을 쓰는 데 사용하였다. 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재료는 알 수 없으나 저주지에 비해 가격이 비싼 것으로 보아 매우 고급의 종이였음을 알 수 있다. 는 초벌만으로 도배를 끝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