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초립” 에 대한 검색결과 3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7)

사전(9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관례(冠禮)를 치른 후 흑립(黑笠)을 쓰기 전까지 착용하는 쓰개, 혹은 별감, 세악수, 취타수 등이 쓴 쓰개. 삿갓, 방갓, 패랭이에서 후세의 흑립으로 이행되는 과정에 생겨난 쓰개이다. 고려 시대 우왕 32년에는 백을 쓰는 것이 유행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례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윤명호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관례(冠禮)를 치른 소년이 쓰던 갓. [내용] 누런 빛깔의 가는 대를 결어 만든다. 조선 초기의 실록에는 왕이 신하의 평거(平居) 때의 쓰개로 내린 기록이 많고, ≪경국대전≫에도 선비의 은 50죽, 서인의 은 30죽으로 구별하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비들이 평상시에 머리에 쓰던, 말총으로 만든 관
    정의선비들이 평상시에 머리에 쓰던, 말총으로 만든 관 | 문광부표기chorip | MR표기ch’or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425 의복 () 조선시대 선비나 일반 서민, 또는 관례를 치른 나이 어린 남자가 쓰던 갓. 형태는 갓과 비슷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결어서 만들었다. 조선 초기에는 대나무를 가늘게 오려 엮어
    유형분류의복

고서·고문서(272)

구술자료(10)

  • 댕이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문덕 1동 | 제보자김말선
  • 이여송과 동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날씨도 춥고 방이 차가와서 처음에는 19명이 모였던 청중이 반으로 줄어들자, 신종옥씨가 이제는 방안에서 나가지도 들어오지도 못하게 하라고 새마을 지도자 인 김판조씨에게 일러 놓고는, 막걸리를 한 잔씩 권했으나, 제보자는 술을 못 한다면서, 다른 사람들이 술 마시기...
    조사일시1980-12-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김재열
  • 동이를 살린 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자청하여 계속 구술한 것이다. 뱀의 앙갚음을 도사의 도움으로 면하게 되었다는 줄거리로서 [설화10] ‘큰 뱀은 사람 말을 알아 듣는다(2)’와 유사한 내용이다.*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 제보자박차생
  • 동이와 할머니 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노래를 하다가 중단하고 이야기도 잊어버려서 못하겠는데 이 이야기는 교회에 가서 하면 박수깨나 받을 것이라고 하며 시작한 것이다. *
    조사일시1981-07-18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신창면 | 제보자오원선
  • 이여송(李如松)을 쫓아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장군 이야기가 계속되자 옆에서 듣고 있던 제보자가 나서서 구술하였다. 꽤 긴 이야기인데 기억을 조금밖에 못 한다며 대강대강 줄여서 이야기했다. 그러나, 전체적인 줄거리는 서는 것 같았다. 이여송이, 조선에 명산이 많아 인재가 많이 날 것을 두려워해서 명산을 찾아 ...
    조사일시1982-08-2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 제보자박정제

신문·잡지(13)

  • 正誤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일잡보즁 농상공부에셔 산회샤 인허를 한슈얏단 말은그샤원의말을거즉무근지셜이라고 남셔미동리근영씨집등이 별감을구타얏단말은 각궁쳥직이로 평복별감 홍근호씨등과 피상얏스나 과 홍의를 파상얏단말은 허언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근에 처음 듯 희소식 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녀교육회 회쟝 김운곡씨등이 우리나라의 의관제도가 졈졈 변야감을 보고 깁히 근심바이 잇셔셔 제조 풀로 모의 모본을 만드러 농샹공부에 쳥원되 남녀의 쓰 모 우리나라 소산지물로 제조야 팔겟슨즉 특별히 인허라 얏 다만 쵸립 제조 풀안이...
    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논설
  • 무용이다. 다음으로는 고구려시대의 벽화에서 그려진 전아한 여인 무대에서 바든 인상 유구한 이 나라의 자손을 길러온 천년 전 어머니를 무용화한 「고구려시대의 벽화에서」라는 곡목도 있다. 「동」이라는 곡목은 지난 달 어린 신랑 동이가 새 옷에 새 을 쓰고 아장...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507_04 | 날짜1947년 5월 7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의관의졔도 일뎡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사의 닙고쓰거슨 언으나라던지 일뎡규모가 잇슨후에 그나라 인민의향도 균일거시오 마암도 온젼터이오 만일 의관이 균일치 못고 사마다 다각기 긔 의향로 쳥황젹흑 오으로 의복을 지어닙던지 녀가 벙거지쓰던지 을쓰던지 삿갓을쓰던지 산아희가 아얌을쓰고 쟝...
    게재일1906년 5월 30일 | 기사분류논설
  • 김규 10 헌법개정론의 일절 홍종인 12 신춘국내정계전망 동 15 트루만씨...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9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67_18세기_중반_() 경제_1867_18세기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9)

  • / [생활/의생활]

    관례를 치른 소년이 쓰던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를 결어 만든다. 조선 초기의 실록에는 왕이 신하의 평거 때의 쓰개로 내린 기록이 많고, ≪경국대전≫에도 선비의 은 50죽, 서인의 은 30죽으로 구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초기에는 선비나 서인이 함께 사용하였으

  • / 靑 [정치·법제]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의 가례 시 사용되는 쓰개. 왕세자빈의 가례 <순조순명후가례도감의궤>와 왕세손빈 가례 <정조효의후가례도감의궤>때 의대 물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청은 청초 1척 5촌으로 겉을 바르고, 안은 남주 3척으로 바른다. 매듭에 쓸 대홍진사 1량 5전,

  • 동 / [예술·체육/무용]

    1937년 최승희가 조선민족의 정서를 담아 창작한 무용 작품. 「동」이라는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소년화혼(少年花婚)은 전통시대에 가문의 혈통을 이어가는 것을 자식 된 도리로 여겨 온 우리나라에 널리 성행한 풍속으로, 고구려의 조혼 풍속인 데릴사위와 민며느리라는 결

  • / 黃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전ㆍ궁의 별감과 사복내외시 거달, 내취 등이 행행 할 때 쓰는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로 만들며, 위는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의 모옥과 원형의 양태로 되어 있다. 모정이 평평하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서는 견마배가 청의를 입고 황을 썼다.

  • 목포 갓바위 / 木浦─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해안가에 있는 바위. 2009년 4월 27일에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갓바위는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큰 것이 8m이고 작은 것이 6m 정도이다. 목포8경의 하나이며, 2008년 4월에 영산강변을 따라 해상보행교가 설치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