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체언” 에 대한 검색결과 1,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3)

사전(10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어미활용을 하지 않고 조사를 취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대명사‧수사를 총칭하는 술어. [내용] 용언에 대립된다. 은 격조사와 함께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와 같은 문장의 근간성분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사어‧관형어와 같...
    이칭별칭임자씨
  • 관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법의 형태론에 있어서 품사의 하나. ‘매김씨’라고도 한다. 이나 형을 수식하는 자리, 즉 앞에 놓이는 활용하지 않는 단어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뒤에 오는 의 의미를 더 자세히 밝히고, 을 꾸미는 구실을 한다. [내용]
    이칭별칭매김씨|어떤씨
  • 관형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장 성분의 하나. 이나 형 앞에서 그것들의 의미를 더 자세히 밝히는 구실을 하는 수식성분을 말한다. 이들은 에 얹혀서 그 이 이루는 주어부‧서술어부 등을 확대시키며 부사어와 더불어 문장의 수의적(隨意的) 성분이 된다. [내용] ...
  • 관계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사를 그 기능이 관계적인 데 있다 하여 부르는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 [내용] 기능에 따른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에는 관계언 이외에 , 용언, 수식언, 독립언이 있다. 관계언은 일반적으로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
    이칭별칭걸림씨
  • 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내용]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어간과 활용어간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어간은 어간 자체가 자립형식인 이나 ...

고서·고문서(893)

  • 嘉言 “未知爲人父母之道而有子”, 其子自童幼()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5:2:27 “未知爲人父母之道而有子”, 其子自童幼觀而學習, 及長反不. 子又有子, 亦如此, 每下駸駸然, 遂成大同之俗. 雖英才出於其間, 終不免浸染而混淪矣. 世道之漸降, 宜哉.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第十六章 “誠”者, 實而已矣. 推本而言, 則曰“眞”;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DM_16:7 “誠”者, 實而已矣. 推本而言, 則曰“眞”; 擧跡而言, 則曰“無妄”. 故下文只云“無非實者”. 蓋以, 則曰“眞實”; 以用言, 則曰“無妄”. 以理言, 則曰“眞”; 以心言, 則曰“實”.
    서명중용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301583 B301580 험찰 驗察 인물 承政院日記 高宗 23年 5月 11日_005 ... 雲之例, 至於金堤郡定配罪人金俊文, 亦與凶徒, 同惡相濟者也。 揆以王章, 不可任置, 亟施邦憲, 以重獄。 措辭見上 請光州牧定配罪人沈聃應, 任實縣定配罪人林根實, 玉果縣定配罪人金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1611 B301608 험찰 驗察 인물 承政院日記 高宗 23年 5月 12日_014 ... 雲之例, 至於金堤郡定配罪人金俊文, 亦與凶徒, 同惡相濟者也。 揆以王章, 不可任置, 亟施邦憲, 以重獄。 措辭見上 請光州牧定配罪人沈聃應, 任實縣定配罪人林根實, 玉果縣定配罪人金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442 B035442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5月 22日_021 ○又以義禁府意啓曰, 五衛將趙德常, 鞫體何等嚴重, 而非所關而, 事之可駭莫此爲甚, 南海縣投畀事, 命下矣。 趙德常, 依例發遣府書吏, 押送配所,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5)

  • 어 연구의 생태학적 관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순, 게재일 : 2002
    08832 김영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2 신어 연구의 생태학적 관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2-5세 일반 아동의 어휘 발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미, 게재일 : 2014
    57067 김정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2-5세 일반 아동의 어휘 발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문법관계와 의 유표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59737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9 문법관계와 의 유표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신어 대조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리샤오원, 게재일 : 2012
    11007 리샤오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신어 대조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어의 의미와 화용:인지학적 접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43738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2 신어의 의미와 화용:인지학적 접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3)

  • 년 11월 10일 45 서광순 상급학년에 있어서 이미 2학년용을 다 취급하였다고 보아 이제 3학년용 『국어문법』 취급에 대해 류의할 바를 말하려 한다. 3학년에 있어서는 출발점의 활용과 단 중모음 동화작용 장단 및 명사 대명사 수사 과 □와□ 관계 동...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 湖南鐵道會社趣書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設이尤有關니旅客之搭乘과貨物之運輸에無風兩險阻之憂而萬里瞬息이오除嶺海跋涉之勞而涯角北隣야百日之功이不費十日而晏然坐成니所謂壺公縮地와劉安昇天은殊屬荒誕이니舉此而北擬則果何如哉오 所以經營國家者ㅣ莫不汲汲於斯야領横聯絡을如蛛綱碁線야猶恐一日之或緩며一處之或遺야遠及殊邦히請得敷設之權...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재무통계월보_196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대한손해재보험공사설립에 관한 건의보고서- A. F. Fortescue, D. N. Crowther 139 대한손해재보험공사설립에 관한 건의보고서-한국보험산업의 발전 A. F. F...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3

멀티미디어(132)

  • 과 용언_3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과 용언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과 용언_3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과 용언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과 용언_3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과 용언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과 용언_3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과 용언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 과 용언_3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과 용언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주제어사전(24)

  • / [언어/언어/문자]

    어미활용을 하지 않고 조사를 취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대명사·수사를 총칭하는 술어. 용언에 대립된다. 은 격조사와 함께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와 같은 문장의 근간성분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사어·관형어와 같은 지엽성분이 되기도 한다. 이 서술

  • 관형사 / 冠形詞 [언어/언어/문자]

    문법의 형태론에 있어서 품사의 하나. ‘매김씨’라고도 한다. 이나 형을 수식하는 자리, 즉 앞에 놓이는 활용하지 않는 단어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뒤에 오는 의 의미를 더 자세히 밝히고, 을 꾸미는 구실을 한다. 을 꾸미는 뜻에 따라 ① 뒷

  • 관계언 / 關係言 [언어/언어/문자]

    조사를 그 기능이 관계적인 데 있다 하여 부르는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 기능에 따른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에는 관계언 이외에 , 용언, 수식언, 독립언이 있다. 관계언은 일반적으로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관계언

  • 어간 / 語幹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어간과 활용어간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어간은 어간 자체가 자립형식인 이나 상당어구(相當語句)이므로 그냥

  • 곡용 / 曲用 [언어/언어/문자]

    의 굴절(屈折). 단어들의 어형변화를 굴절이라 하는데, 그 중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어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일이 굴절이므로, 곡용은 명사 어간에 곡용어미가 결합하여 그 곡용어미가 담당하는 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