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초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금전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순조순원후가례도감의궤純祖純元后嘉禮都監儀軌의 왕비 자적립(紫的笠)과 순종순명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明后嘉禮都監儀軌의 왕세자빈 청초립(靑綃笠)에 금전지 3장반이 각각 소용되었다. 縫造鴉靑紫的紅眞絲各二錢金花紋次貼金一束五貼二張金箋紙次紙金七十二張五色絨絲各一兩六錢香囊纓子次藍...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남광사노의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大紅鄕織帶藍廣紗露衣帶一自紫的羅首紗只之此十七種判付內自內備置之靑綃笠一部除眞珠, (가례1819/026ㄴ07~09)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라대요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자적라로 만들고 종이 같이 얇게 만든 금조각인 첩금으로 장식한 허리띠이다. 인조장렬후가례도감의궤仁祖壯烈后嘉禮都監儀軌 등에도 자적라노의대가 보인다. 白綃衫兒一紫的羅帶腰一靑綃笠一部除眞珠黑漆家一部內外裹紅紬四幅裌袱一件單袱一件, (가례1762/017ㄱ09~1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면사(面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사 면사 面紗 너울[羅尤], 자초립(紫草笠), 청초립(靑草笠)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쓰개 왕실 가례(嘉禮), 부녀자 외출용 [정의] 얼굴을 가리기...관련어너울[羅尤], 자초립(紫草笠), 청초립(靑草笠)
- 너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초립을 착용하고, 빈궁은 자적라에 청초립을, 기행나인은 흑주(黑紬)에 청상립(靑箱笠)을, 상궁‧시녀‧유모는 조라(皂羅)와 청상립을, 숙의‧공주는 조라에 청초립을, 이상의 수종인들은 조주(皂紬)에 청상립을 착용한다. 궁인의 능행(陵行)시의 너울은 정조 능행도에서...
주제어사전(1)
-
청초립 / 靑綃笠 [정치·법제]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의 가례 시 사용되는 쓰개. 왕세자빈의 가례 <순조순명후가례도감의궤>와 왕세손빈 가례 <정조효의후가례도감의궤>때 의대 물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청초립은 청초 1척 5촌으로 겉을 바르고, 안은 남주 3척으로 바른다. 매듭에 쓸 대홍진사 1량 5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