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장관전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5)
사전(257)
- 청장관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민족문화추진회에서는 1978년에 규장각본을 주로 하고, 약간의 결본은 다른 곳의 것을 복사해 ≪청장관전서≫ 13책을 간행했으나, 아직도 결본 가운데 서목만 알고 내용을 모르는 것이 있다. [내용] 존결(存缺)을 포함한 전체의 구성 서목은 다음과 같다...
- 청장관전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저술 총서.정의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저술 총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Cheongjanggwan jeonseo | MR표기Ch’ŏngjanggwan chŏ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우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기인ㆍ환술가(幻術家). [내용]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의 「한죽당필기(寒竹堂筆記)」에는, 가정연간(嘉靖年間, 1522∼1566)에 역질을 도술로 예방하였다고 하며,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본래 서울 출신...
- 한죽당섭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견문기 겸 만록(漫錄). [내용] 저자의 유고집 『청장관전서』 제32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저자가 1783년(정조 7) 경상도 함양군 사근역 찰방(沙斤驛察訪)으로 부임하였을 때, 영남지방의 명승‧고적과 고금인...
- 해채(海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어(大口魚)·문어(文魚)·고도어(古道魚) 및 각색 해채 등의 물품을 때맞추어 미리 준비하게 하고, 또 봄철에 준비한 건어(乾魚)도 딴 곳에는 사용하지 말도록 하소서.” 이덕무(李德懋)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아정유고(雅亭遺稿)」에 보면, 곽(藿)은 콩잎인데 해채...관련어곽(藿), 미역
고서·고문서(6)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熱河避暑錄 凡例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朴榮喆本 권 3 국립중앙도서관 古3648-25-90. 『靑莊館全書·淸脾錄』 奎章閣本 권 31~34 서울대학교 규장각 奎4917. 『靑莊館全書·雅亭遺稿』 奎章閣本 권 9~20 서울대학교 규장각 奎4917. ○ 이 책...대표표제어熱河避暑錄 凡例 | 목차熱河避暑錄
- 楊梅詩話 凡例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종이다. 『張志淵全書8·北征錄』 張志淵本 301~312면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1986. 『靑莊館全書·淸脾錄』 奎章閣本 권 32 서울대학교 규장각 奎4917. 『日知錄·科擧』 黃汝成本 권 16~18 상해...대표표제어楊梅詩話 凡例 | 목차楊梅詩話
- 與仲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自覺渺小, 莽然生愁, 乃發歎曰: “假令彈丸小島, 饑饉頻年, 風濤粘天, 不通賑貸, 當奈何; 海寇竊發, 便風擧帆, 逃遁無地, 當奈何; 龍、鯨、鼉、蜃, 緣陸而卵, 噉人如蔗 蔗 : 저본에는 ‘麻’로 되어 있으나 『靑莊館全書』 권62 「西海旅言」과 신호열·김명호 옮김 『연암...대표표제어與仲存 | 목차映帶亭賸墨○尺牘
- 雅亭李公行狀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놓았음. 처음에 써놓은 대로 읽거나 동그라미를 쳐 놓은 것을 삭제 표시로 여겨 읽거나 모두 불완전함. 『靑莊館全書』 所載 朴趾源 撰 「行狀」에 근거하여 ‘嗟乎’ 2자를 보충하였음. 遊三十年, 於其平日出處言行, 宜無所不悉矣, 旣辭不獲, 謹爲之狀. 曰: 傳不云乎? 誦其詩,...대표표제어雅亭李公行狀 | 목차[補遺]
기초학문(2)
- 이덕무 문집 『청장관전서』소재(所載) 인물일화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균태, 게재일 : 200829663 김균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이덕무 문집 『청장관전서』소재(所載) 인물일화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중국 언어 문자 연구 조망 ― 李德懋의 《靑莊館全書》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준혜, 게재일 : 201235958 문준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 2012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중국 언어 문자 연구 조망 ― 李德懋의 《靑莊館全書》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9)
-
청장관전서 / 靑莊館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의 저술 총서. 33권 71책. 아들 광규가 편집, 이완수가 교정하였다. 권1·2에 영처시고, 권3∼5에 영처문고, 권6∼8에 영처잡고·예기억, 권9∼20에 아정유고(권13·14·17·18은 결본), 권21∼24에 편서잡고, 권25·26에 기년아
-
동명왕신화 / 東明王神話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건국신화. <동국이상국집>, <삼국유사>, <삼국사기> 광개토왕릉비문의 서두, <여지승람>의 평양조, <청장관전서> 등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에 관한 문헌들의 기록은 서로 차이를 보인다. 동명왕신화는 영웅서사시로 일컬어지고 있다.
-
기유북한 / 記遊北漢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북한산 기행문. 작자의 저서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3 영처문고(嬰處文稿) 1에 실려 있다. 체재는, 자서(自序)에 해당하는 머릿말이 있고, 이어서 자신이 유람한 북한산의 사찰과 암자·정자·누각 등을 하나하나 서술하는 형식으
-
관자허전 / 管子虛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嬰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관씨(管氏)의 본성은 죽씨(竹氏)주 01)이다. 그의 선조가 황제에게 발탁되어 황종의 음률을 만들게 되었
-
속담대사전 / [문학/구비문학]
)마다 ‘해(解)’·‘주(註)’·‘고(考)’ 등의 구별을 두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찾기에 편리하도록 색인을 달았으며, 유사속담이나 반대속담을 함께 기록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부록으로 『순오지(旬五志)』·『열상방언(洌上方言)』·『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이담속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