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청유법”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남에게 자기와 어떠한 행위를 함께 할 것을 제의하는 문체법. [내용] “좀 쉬어서 가자.”, “명절을 조용히 보냅시다.”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설명법‧의문법‧명령법 등과 마찬가지로 은 종결어미에 의하여 실현되며, 그 종결...
  • 명령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까운 미래나 혹은 먼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수행될 것이므로, 이 서법에는 특별한 시상(時相) 표시와 함께 쓰일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요구를 나타내는 서법에는 명령법 이외에도 의문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의문법은 청자가 말...
  • 불완전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는 온전동사(穩全動詞)라고 한다. 그러나 어떤 동사가 몇 개의 특정한 활용형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여 이를 불완전동사라고 하지 않는다. 예컨대 ‘얼다[永], 흐르다[流]’ 등은 그 어간에 이나 응낙법의 어미인 ‘‧자, ‧마’가 연결되어 쓰이지 못한다. ...
  • 의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명령법‧‧감탄법’과 함께 문장서법의 뜻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의문법은 문장을 물음의 방식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상대높임법에 따라 형태가 바뀐다. 그 활용표를 보이면 다음과
  • 감탄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의문법‧명령법‧과 같이 감탄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문장을 감탄하는 뜻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품사와 상대높임법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활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주제어사전(2)

  • / [언어/언어/문자]

    남에게 자기와 어떠한 행위를 함께 할 것을 제의하는 문체법. “좀 쉬어서 가자.”, “명절을 조용히 보냅시다.”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설명법·의문법·명령법 등과 마찬가지로 은 종결어미에 의하여 실현되며, 그 종결어미는 경어법에 따라 해라체·하게체·하오체 등으

  • 감탄법 / 感歎法 [언어/언어/문자]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의문법·명령법·과 같이 감탄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용어이다. 문장을 감탄하는 뜻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품사와 상대높임법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