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청동향로”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밝히고 있어서 그 소속 사찰을 분명히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는 고려시대의 향로 중에서 크기가 크고 형태가 특이한 것 중의 한 예에 속한다. 형태는 노신(爐身)‧노대(爐臺)‧뚜껑의 세 부분을 각기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였다....
    연계항목청동향로(靑銅香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용주사(龍珠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로. [내용] 높이 20㎝.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호. 8각형의 몸체에 네 개의 다리가 붙어 있고, 두 개의 손잡이가 붙어 있는 청동제의 이 향로는 조선시대의 ...
    이칭별칭용주사청동향로
  • 대정4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정4년명 고려시대의 향로. 높이 26.5cm. 일본 경도시 고려미술관 소장. 현존하는 고려시대 은입사향완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오랜 작품이다.
  • 지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맷돌‧가마솥‧ 등 세 가지 보물을 지니고 있었다 하여 지보사라 불렀다. 그러나 창건 이후 근대까지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1942년에는 천오(天梧)와 동허(東虛)가 중수하였고, 1972년에는 만오(晩悟)가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 금동향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헌세자(莊獻世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침(園寢)을 양주(楊州)에서 화산(華山)으로 옮겨 장사하고, 자복사(資福寺)로서 용주사를 창건한 후 와 함께 이곳에 하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향로는 네모꼴로서 일반적인 향로와는 형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네...
    이칭별칭용주사금동향로 | 연계항목금동향로(金銅香爐)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1)

  • 량의 통일신라시대 토기, 기와편을 모아 사찰의 명맥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음을 판단할 수 있었고 특히 청동약사여래불은 삼국시대의 요소를 충분히 살리고 있었으며 통일신라, 고려시대의 금동불상 및 신장상, , 여러 개체분의 청동 탑의 상륜부 등 의 출토로 보아 사세의...
    발행연도1994 | 발굴기관부여문화재연구소/익산군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4)

  • / [예술·체육/공예]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는 고려시대의 향로 중에서 크기가 크고 형태가 특이한 것 중의 한 예에 속한다. 형태는 노신(爐身)·노대(爐臺)·뚜껑의 세 부분을 각기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였다. 노대는 원반 위에 2단으로 된 높은 받침을 조

  • 대정4년명 / 大定四年銘 [예술·체육/공예]

    일본 경도시(京都市) 고려미술관(高麗美術館)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로. 높이 26.5cm, 입지름 25.5cm. 기록된 명문에 의하면 대정 4년인 1164년(의종 18)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어 현존하는 고려시대 은입사향완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오랜 작품이다.고려시대

  • 봉업사명 / 奉業寺銘 [예술·체육/공예]

    불교 의식구의 하나인 고려시대 향로. 보물 제1414호. 봉업사지(奉業寺址) 출토 는 통일신라의 거향로에서 고려시대의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향로는 대부(臺部)와 노신(爐身),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향로의 대부는 원형

  • 금동향로 / 金銅香爐 [예술·체육/공예]

    楊州)에서 화산(華山)으로 옮겨 장사하고, 자복사(資福寺)로서 용주사를 창건한 후 와 함께 이곳에 하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향로는 네모꼴로서 일반적인 향로와는 형태가 다름을 볼 수 있다. 네 개의 다리와 고리모양의 손잡이가 두 개 달려 있으며, 네모꼴의 몸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