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동방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27)
- 청동방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러한 청동방울 4종이 세트를 이루며 발견된 전(傳) 논산, 덕산, 상주의 출토 사례가 있다. 발굴조사된 것으로 함평 초포리, 화순 대곡리 목관묘유적의 사례가 있는데, 이들 사례는 서기전 2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서기전 1세기경으로 내려오면 포탄형 청동방울...이칭별칭청동령(靑銅鈴)
- 청동방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정의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eongdong bangul | MR표기ch’ŏngdong pang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보 제146호. 의식를 행할 때 흔들어 소리를 내던 청동기시대의 청동방울.정의국보 제146호. 의식를 행할 때 흔들어 소리를 내던 청동기시대의 청동방울.[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eon Nonsan Cheongdong Bangul Ilgwal | MR표기Chŏn Nonsan Ch’ŏngdong Pangul Ilgw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충남출토청동방울일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理局, 1990)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청동기시대의 청동제 유물. 팔주령 1쌍, 쌍두령 1쌍, 조합식쌍두령 1점, 간두령 1쌍. 국보 255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개골의 남연군묘 근처의 구릉에서 발견된 것이...연계항목전충남출토청동방울일괄(傳忠南出土靑銅방울一括)
- 요령누상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돌덧널무덤에는 원형포식(圓形泡飾)‧청동장식을 발견하였으며, 제3호 돌덧널무덤에는 청동단검 4자루, 자루장식‧청동칼‧청동방울[銅鈴]‧청동장식‧단추장식 등 다수의 청동제품과 함께 철제낫‧명도전을 발견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3호 돌덧널무덤에 전형적인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이칭별칭누상묘(樓上墓)
고서·고문서(2)
- 전라남도_ST2017013174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대·안치 지석묘 N/A 청동방울1대표표제어전라남도_ST2017013174 | 유적명신안리 안치
- 볼쉐카가란스키 무덤 8호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동복 1점 가위 다량, 도자편 다량, 대금구편 다량 청동방울부착 그릇 1점 38점 조개 1점 중부 RU002대표표제어볼쉐카가란스키 무덤 8호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볼쉐카가란스키 무덤 | 무덤조성연대BC3~2세기
멀티미디어(3)
- 고양 중산지구 문화 유적 발굴조사보고서-더부골 고분군(2) 발굴조사 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진42 청자무문완2.JPG b7-0003_4 유물 사진52 B지역 출토 청동방울 2013-07-24_0.2828638_사진52 B지역 출토 청동방울.JPG b7-0003_4 유물 사진50 B지역 출토 청동칼 2013-07-24_6.3제목고양 중산지구 문화 유적 발굴조사보고서-더부골 고분군(2) 발굴조사 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묘군 철제가위.jpg bb6-0070_5 유물 대구 내환동분묘군 관정 2014-12-12_0.3004419_대구 내환동분묘군 관정.jpg bb6-0070_6 유물 대구 내환동분묘군 청동방울 2014-12-12_0.2711603_대구제목대구 내환동분묘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유물 화성동탄_청동숟가락 2015-01-23_0.4231684_화성동탄_청동숟가락.jpg n1-0144_8 유물 화성동탄_청동방울 2015-01-23_8.466738E-02_화성동탄_청동방울.jpg n1-0144_9 유물 화성제목화성 동탄지구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9)
- 화순 남산 고성지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 확인되었고 30~40cm 하부에는 생토층으로 판단되는 석비례가 혼입된 황토층이 드러났다. 수습된 유물은 토기류, 자기류, 기와류 등이며 트렌치 2에서 청동방울 1점이 출토되었다. 기와는 평기와만이 수습되었는데 2점을 제외하고 모두 암키와이다. 외면 문양은 1점의...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전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전주 마전유적(I‧II구역)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되었다. 1호토광묘의 감실 내부에서 청동방울 6점과 청동숟가락 1점, 청동거울 1점이 부장되어 확인되었다. 3호토광묘의 북동쪽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동벽에서 청동숟가락이 노출되었다. 6호토광묘의 상부에서 쓸린 명기 4점, 자기 1점과 위치가 정확한 동벽 중앙부 상면에서...발행연도2008/09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전주시 | 발굴지역전라북도
- 고양 중산지구 문화 유적 발굴조사보고서-더부골 고분군(2) 발굴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만 청자편도 함께 출토되고 있다. 완형으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유구와 관련없이 독자적으로 출토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관련 유구가 도굴 등으로 파괴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밖에 한가지 특기할 점은 청동칼, 철제칼, 청동방울의 출토이다. 이것들은 그 형태로 보아 의...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한양대학교/경기도 | 발굴지역경기도
- 양주 대모산성-동문지.서문지-(본문)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로 보인다. 그리고 이후 어느 시점에 체성 외벽 보축과 문지가 보수, 개축되며 일정 기간 사용되었다가 다시 방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지가 마지막으로 폐기된 시점에 관해서는 동문지 바닥에서 출토된 청동방울과 13세기대로 추정되는 국화문 청자병으로 보아 일단 고려 중기...발행연도2002/06 | 발굴기관한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광주 대쌍령리 유적 -성남~장호원 도로건설공사(2공구)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Ⅳ.고찰 / Ⅴ.맺음말 / ▪부록 광주 대쌍령리 출토 금동‧청동방울의 과학적 보존처리 및 표면기법 조사 석곽묘는 모두 해발 97~105m 정도 높이의 완만히 뻗어 내린 가지능선의 남동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분포를 살펴보면, 1~6호 석곽묘와 7~14호 석곽묘가...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현 경기문화재연구원)/(주)현대건설‧서울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4)
-
청동방울 / 靑銅─ [역사/선사시대사]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청동기시대 말기∼초기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간두령(竿頭鈴) 등이 있다.
-
가지방울 /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주술적(呪術的)인 의기(儀器). 전자에는 또 곧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려 있는 아령형태의 봉상쌍두령(棒狀雙頭鈴)과 둥글게 휘어 뻗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린 환상쌍두령(環狀雙頭鈴)의 두 종류가 있다. 이 밖에 같은 유적에서 세트로 발견되는 청동방울로 방사
-
금야유적 / 金野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자귀ㆍ돌살촉 등과 함께 십자형 칼자루끝장식이 출토되었고, 부채도끼[扇形銅斧]ㆍ청동방울[銅鐸]ㆍ동모(銅矛)의 활석제 거푸집도 출토되었다. 청동기의 거푸집이 집터에서 출토된 것은 그 예가 드문 것으로, 청동기의 제작이 국내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팔두령 / 八頭鈴 [예술·체육/공예]
청동기시대 의구(儀具)의 하나. 팔주령(八珠鈴)·팔령구(八鈴具)라고도 하는, 흔하지 않은 청동방울로, 석관묘(石棺墓) 같은 무덤에서 한 쌍으로 나오고 있다. 불가사리꼴로 생겼는데, 납작한 판(體盤)에 여덟 방향의 방사꼴(放射形)로 퍼진 돌기 끝에 둥근 방울이 하나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