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도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9)
사전(38)
- 청도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깃발. 황후 의장 중 청도기는 청색바탕에 홍색의 화염각(火炎脚)을 달았다. 홍주칠을 한 대나무 자루에 납염한 정철로 창모양의 머리 장식을 만들어 달고, 그 아래에 상모를 늘어뜨린다. 길이는 1장 2자 5치이다. 1897년 명성황후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도기(淸道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368 물품도구 청도기(淸道旗) 청도기 淸道旗 사행 때 앞서 가면서 길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는 깃발. 원래는 행군할 때 사용하는 군기(軍旗)의 일종이다. 남빛 바탕에 가장자리와 화염(火焰)은 붉은빛이며, ‘淸道’라고 쓰여 있다....유형분류물품도구
- 청도기수(淸道旗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369 제도 청도기수(淸道旗手) 청도기수 淸道旗手 청도기(淸道旗)의 기수(旗手). 청도기를 들고 가는 사람이며, 청도수(淸道手)라고도 한다. 청도기는 행군할 때 앞에 서서 '길을 비켜라'라는 뜻을 나타내는 군기(軍旗)의 일종으...유형분류제도
- 조순백(趙順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청도기수(淸道旗手)로서 김재운(金再云)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유형분류인물
- 김재운(金再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德川家治)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이방(二房) 소속 청도기수(淸道旗手)로서 조순백(趙順白)과 함께 사행에 참여하였다. 南玉,『日觀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index.jsp)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80)
- 5 第五統統首鹽干金是巾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二十長生浦里 5 第五統統首鹽干金是巾 統第一陞戶 府案付鹽干金是巾年貳拾肆丙辰本蔚山父承還祖者音同母私婢吾今年肆拾柒癸巳曾祖亂山外祖私奴於屯伊本蔚山 上典忠淸道居李尙日妻私婢公伊年貳拾伍乙卯父李生本蔚山母不春上典忠...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二十長生浦里
- 대청도( 大靑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724 B048724 대청도 大靑島 도서 인천광역시 承政院日記 高宗 8年 2月 5日_011 ○又啓曰, 卽見黃海水使尹U+231CD狀啓騰報, 則枚擧白翎僉使徐相龜, 馳報本鎭, 大靑島居民乘艇獨出, 爲彼人所捉, 而磨黃紙一片書以給後, 還向外洋云矣。 今此投書, 卽不過窮寇之計...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 第五統統首私奴奉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本淸道上典淸道居幼學李鶴老父私奴日萬祖私奴卜孫曾祖萬孫母私婢春伊外祖私奴春同本忠淸道 妻私婢生春年肆拾柒辛巳本安東上典安東[居]幼學權希父私奴生同祖正兵文實曾祖六孫外祖進孫本蔚山母私婢希春率子 南倉下典有昌年貳拾參乙巳率女四女年拾柒辛亥率子有男年柒辛酉率婢莫今年貳拾肆甲辰愛生戶以來甲子戶口相准 第...연도_면이름1687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六公須里
- 4 第四統統首私奴愛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率女松今年陸己未辛酉戶口相准 第二戶府案付束伍軍私奴今山年肆拾柒戊寅本淸道上典淸道居幼學朴演淳父正兵希龍祖正兵連好曾祖朴仲外祖私奴春生本 新寧母貴今妻班婢世春年參拾捌丁亥本蔚山父私奴而元祖私奴銀金曾祖銀石外祖私奴鐵命本蔚山母私婢金德今 各戶去率子世哲上典捉去率女病人世介年玖丙辰辛酉戶口相准 第三...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一鉢里坊
- 20 第二十統統首奉祥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十二西生里 20 第二十統統首奉祥 統第一戶西生土兵私奴奉祥年參拾陸己丑本淸州上典忠淸道居幼學李成光父私奴雪生祖私奴世奉曾祖乞同外祖寺奴萬夫本蔚山 母私婢日春妻私婢順良年參拾參壬辰本慶州上典東萊居白士信父寺奴龍業母寺...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二西生里
기타자료(1)
- 음성-생극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내 음성 하당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음성 하당리 유적에서는 청도기시대 주거지 6기, 삼국시대 이후 석곽묘 2기, 고려시대 이후 토광묘 8기, 석렬유구 1기, 수혈유구 3기 등 20기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구순각목 구연부를 비롯하여 29점이 출토되었다. 토광묘는 모두 8기가 조사되...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1)
-
청도기 / 淸道旗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깃발. 황후 의장 중 청도기는 청색 바탕에 홍색의 화염각을 달았다. 홍주칠을 한 대나무 자루에 납염한 정철로 창모양의 머리 장식을 만들어 달고, 그 아래에 상모를 늘어뜨린다. 길이는 1장 2자 5치이다. 1897년 명성황후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