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청난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元) 등의 제의에 따라 이들을 3등으로 구분해 공신을 책록하였다. 1등의 홍가신에게 분충출기합모적의(奮忠出氣合謀廸義)을, 2등의 박명현‧최호(崔湖)에게 분충출기적의(奮忠出氣廸義)을, 3등의 신경행(辛景行)‧임득의에게 분충출기(奮忠出氣...
  • 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홍가신(洪可臣)과 함께 주장(主將)이 되어 홍산(鴻山)ㆍ임천(林川) 등지에서 난적을 소탕하여 공을 세웠다. 이듬해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칠천량해전에서 원균(元均)과 함께 패사하였다. 1604년 이몽학의 난 평정에 세운 공로로 () 2등에 추록되...
    이칭별칭 수부(秀夫)| 충원(忠元)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신(功臣) 분충출기합모적의(奮忠出氣合謀迪毅), 분충출기적의(奮忠出氣迪毅), 분충출기(奮忠出氣) 이몽학(李夢鶴)의 난(亂)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민국...
    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분충출기적의청난공신(奮忠出氣迪毅淸難功臣), 분충출기청난공신(奮忠出氣淸難功臣) | 관련어이몽학(李夢鶴)의 난(亂)
  • 충익공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4년(선조 37) 충익공 신경행(辛景行)에게 내린 녹권. [내용] 1첩(帖).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 신경행이 1596년(선조 29) 7월에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자, 1604년에 (...
  • 황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夢鶴)의 난이 1596년(선조 29)충청도에서 발생하자 보령현감으로서 역적들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 공로로 ()에 봉해졌고, 그 뒤 사헌부감찰과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명종실록(明宗實錄)』 ...
    이칭별칭 경우(慶遇)

고서·고문서(5)

  • 1646년 최효설(崔孝說)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46년에 인조가 최효설에게 절충장군의 품계를 내린 교지이다. 최효설이 품계를 받게 된 이유는 그의 할아버지인 최호가 이었기 때문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군산근대역사박물관
  • 1604년 최한정(崔漢禎)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4년 9월 17일에 선조가 증가선대부 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최한정을 증순충적덕보조공신 자헌대부 형조판서겸지의금부사계원군에 추증하는 교지이다. 최호가 2등에 추록되면서 최호의 아버지인 최한정에게 발급한 추증교지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군산근대역사박물관
  • 호성선무청난원종삼공신도감의궤(扈聖宣武淸難原從三功臣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01년(선조34) 3월부터 1605년 12월 사이에 호성공신(扈聖功臣)‧선무공신(宣武功臣)‧()을 녹훈(錄勳)하고, 정공신(正功臣)이 될 정도의 공을 세우지는 못했지만, 선조(宣祖)에 대한 호종(扈從), 왜군(倭軍)과의 전투, 이몽학(李夢鶴)의 모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十五功臣會盟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5 1권 1책 이숙기 종가 이철응(종손) 萬曆 32년(1604)에 간행된 회맹문이다. 임진왜란에 공을 세운 扈聖功臣과 宣武功臣, 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운 등이 1604년(선조 37) 10월 28일에 神武門 밖 會盟壇에 모여...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이철응(종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호성선무청난원종삼공신도감의궤(扈聖宣武淸難原從三功臣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선조(宣祖)를 의주(義州)까지 호종(護從)했던 호성공신(扈聖功臣)과 직접 군사를 이끌고 전공(戰功)을 세운 선무공신(宣武功臣), 전쟁 도중 발생한 이몽학(李夢鶴)의 모반(謀叛)을 평정(平定)한 () 등을 녹훈(錄勳)한 내용을 기...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선조 때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이에 1604년 영의정 이항복, 우의정 김명원 등의 제의에 따라 이들을 3등으로 구분해 공신을 책록하였다. 1등의 홍가신에게 분충출기합모적의을, 2등의 박명현

  • 김양보호성공신록 / 金良輔扈聖功臣錄 [언론·출판/출판]

    성공신(扈聖功臣), 선무공신(宣武功臣), () 중 호성공신은 서울에서 의주까지 줄곧 선조를 수종한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다. 당시의 일등공신은 이항복(李恒福)과 정곤수(鄭崑壽) 2인, 이등공신은 이우(李珝) 등 31인, 삼등공신은 정탁(鄭琢) 등 53인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