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청구영언” 에 대한 검색결과 1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4)

사전(114)

  • 주의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시조에서 쓴 말을 보고 그 작자를 생각하건대 그는 반드시 비연화중인(非烟火中人)일 것이며, 시조에만 능할 뿐 아니라, 몸을 공검하게 하였고 처심을 맑게 하여 군자의 풍도가 있었다.”고 말하였다. 시조는 14수만 전하며, 내용은 자연‧탈속‧계행(戒行) 및...
    이칭별칭 도원(道源)| 남곡(南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뜻한다(歌永言)는 말이다. 책명은 한글로 모두가 ‘’이지만, 한자로 쓰면, ‘’‧‘’‧‘’ 등으로 표기된다. 우리의 노래가 구전으로만 읊어지다가 없어짐을 한탄하여, 기록으로써 후세에 전하고자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8년 김천택(金天澤, ?-?)이 편찬한 가집(歌集).
    정의1728년 김천택(金天澤, ?-?)이 편찬한 가집(歌集).[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eonggu yeongeon | MR표기Ch’ŏnggu yŏ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맹상군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문고 청쳐라 살았을 제 놀리라. [의의와 평가] 『』에는 이 노래를 두고, 무명씨가 지은 것으로 대개 인간세상의 번화(繁華)란 일장춘몽과 같아서 죽은 뒤의 이름이 살았을 제의 즐거움만은 못함을 노래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노래의 형식으로 보아 사...
  • 회고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에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1수로 진본(珍本) 『()』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고려 말엽 정치의 어지러움을 보고 원주 치악산에 은거하였는데, 군적(軍籍)에 등록되므로 부득이 과거에 나아가...

고서·고문서(37)

기초학문(1)

  • (진본)』과 『古今和歌集』를 통해 본 한․일 시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지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화, 게재일 : 2010
    27174 김정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0 『(진본)』과 『古今和歌集』를 통해 본 한․일 시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지향 https://www.krm.or.kr/k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

연구과제(1)

  •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김원중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2)

  • / [문학/고전시가]

    1728년(영조 4) 김천택(金天澤)이 편찬한 가집(歌集). 1권 1책. 필사본. 『해동가요』·『가곡원류』와 함께 3대 시조집의 하나이다. ‘청구’는 본래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이고,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歌永言)는 말이다. 책명은 한글로 모두가 ‘’이지만,

  • 관등가 / 觀燈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 대학본 끝에 실려 있으며, 이본으로 필사본 ‘월령상사가(月令相思歌)’도 있다. 창작연대는 수록문집인 『』의 편찬연대로 보아, 1728년(영조 4) 이전으로 추정된다. 『』의 「관등가」는 일월령부터 오월령까지뿐인데

  • 방옹시여 / 放翁詩餘 [문학/고전시가]

    신흠(申欽)이 계축옥사(1613년)에 연루되어 김포로 쫓겨났던 시기에 지은 시조 작품 30수. 「방옹시여」의 시조 작품들은 신흠(1566∼1628)의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18세기 이후 가객들이 편찬한 『』,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의 가집

  • 김삼현 / 金三賢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 시조 작가 주의식(朱義植)의 사위이다. 정3품 절충장군(折衝將軍)의 벼슬을 지냈다. 시조 6수가 『』·『해동가요』·『가곡원류』 등에 전한다. 『』 홍씨본(洪氏本)에는 ‘한산인(閑散人)’으로, 『대동풍아(大東風雅)』에는 ‘숙종조

  • 김천택 / 金天澤 [문학]

    것 같다. 진본 『』을 김천택이 편찬한 최초의『』으로 보고 있는데, 여기에는 580수의 작품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