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청구시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3)
- 임진자(壬辰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임진자 임진자 壬辰字 금속활자(金屬活字) 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 오주갑인자(五鑄甲寅字) 갑인자(甲寅字), 『국조보감(國朝寶鑑)』, 『신정자수(新訂字數)』, 『주자사실(鑄字事實)』, 『청구시초(靑丘詩鈔』 교육 출판출판/인쇄 개념...상위어금속활자(金屬活字) | 동의어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 오주갑인자(五鑄甲寅字) | 관련어갑인자(甲寅字), 『국조보감(國朝寶鑑)』, 『신정자수(新訂字數)』, 『주자사실(鑄字事實)』, 『청구시초(靑丘詩鈔』
- 공무도하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 있다. 이 노래와 설화를 최초로 수록한 책은 후한(後漢)말 채옹(蔡邕)이 엮은 『금조(琴操)』이지만 『고금주』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것을 조선시대 문인들이 『해동역사(海東繹史)』‧『대동시선(大東詩選)』‧『청구시초(靑丘詩抄)』‧『열하일기(熱河日記)』 등에 옮...이칭별칭공후인
- 금속활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라의 옛 금속활자는 1883년(고종 20)에 설치된 박문국(博文局)에 일본에서 신식 연활자가 도입된 이후 병용되다가 서서히 대치되어 한말에 이르렀다. 그 마지막 인본은 1914년에 개최된 조선박람회(朝鮮博覽會)에 전시되었던 임진자본(壬辰字本) ≪청구시초 靑丘詩鈔≫가...
고서·고문서(3)
- 청구시초(靑丘詩鈔)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청구시초(靑丘詩鈔)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청구시초(靑丘詩鈔)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2)
-
청구시초 / 靑丘詩抄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총집류(總集類) 조선총독부편, 금속활자본(壬辰字), 조선총독부, 1915, 불분권 1책(32장). 청구는 조선의 별칭으로 단군조선부터 고려이전까지의 시가(詩歌) 170여 수를 뽑아 엮은 책이다.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의 거행으로 총독부에서 발
-
공무도하가 / 公無渡河歌 [문학/고전시가]
후한(後漢)말 채옹(蔡邕)이 엮은 『금조(琴操)』이지만 『고금주』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것을 조선시대 문인들이 『해동역사(海東繹史)』·『대동시선(大東詩選)』·『청구시초(靑丘詩抄)』·『열하일기(熱河日記)』 등에 옮겨 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