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첩해몽어” 에 대한 검색결과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익(李瀷)의 <몽학삼서중간서 蒙學三書重刊序>에 의하면 이 때에 ≪몽어노걸대≫와 ≪몽어유해 蒙語類解≫는 자음(字音)만 수정하였음에 대하여 ≪≫는 자음과 어투(語套)를 아울러 수정하였다고 한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 모두 이 마지막 개간본이다. 규장각도서와 가람문고,...
    이칭별칭신번첩해몽어
  • 몽어유해보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설] 1790년(정조 14) 몽고어와 중국어 및 국어의 대역 어휘집인 ≪몽어유해≫에서 빠진 단어를 모아 그 속편으로 편찬한 책. 1권 1책. 목판본. [편찬/발간경위] 편찬경위는 ≪ ≫에 실린 이익(李瀷)의 <몽학삼서중간서 蒙學...
  • 어사잠(御史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사잠 어사잠 御史箴 역학(譯學), 몽학(蒙學) 몽학팔책(蒙學八冊),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조선전기 사역원으로 추정 미상 미상...
    상위어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몽학팔책(蒙學八冊),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 백안파두(伯顔波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안파두 백안파두 伯顔波豆 역학(譯學), 몽학(蒙學)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고려후기 통문관이나 사역원으로 추정 미상 미상 미...
    상위어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 고난가둔(高難加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난가둔 고난가둔 高難加屯 잡학(雜學), 역학(譯學), 몽학(蒙學) 역과(譯科),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 정치인사/선발 문헌 정광 미상 조선전기 사역원으로 추정 미...
    상위어잡학(雜學), 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역과(譯科),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첩해몽어(捷解蒙語)』

고서·고문서(41)

주제어사전(3)

  • /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사역원에서 간행한 몽학서(蒙學書)의 하나. 4권 1책. 안명렬의 <몽어노걸대서>에 한학과 청학에 능통한 사람들이 북경에 가서 난해한 것과 함께 법칙이 될 만한 것을 물어 가며 이룬 것을 다시 몽학 1737년(영조 13)에 이세효 등을 보내어 고치게 한 것이라

  • 몽어유해보편 / 蒙語類解補編 [언어/언어/문자]

    1790년(정조 14) 몽고어와 중국어 및 국어의 대역 어휘집인 『몽어유해』에서 빠진 단어를 모아 그 속편으로 편찬한 책. 편찬경위는 『()』에 실린 이익(李瀷)의 「몽학삼서중간서(蒙學三書重刊序)」에 소상히 설명되어 있다. 그에 의하면, 일찍이 이억성(

  • 몽어유해 / 蒙語類解 [언어/언어/문자]

    大)』·『()』와 함께 이 책을 개간하였는데, 이 세 책에 대한 서문인 「몽학삼서중간서(蒙學三書重刊序)」에 의하면 그 중 『몽어유해』는 주로 자음(子音)을 고쳤고, 「보편(補編)」과 『어록해(語錄解)』를 새로 추가하였다고 한다. 본서는 상권·하권·보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