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첩정식”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계개(計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개 계개 計開 금개(今開) 자문(咨文), 해유이관(解由移關), 해유(解由)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조선시대 조선시대 문숙자 [정의] 조선시대 공문서 등에서 물목 등을
    동의어금개(今開) | 관련어자문(咨文), 해유이관(解由移關), 해유첩정식(解由牒呈式)
  • 이문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아니나,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① 문서의 허두와 결말부분을 보인 것, ② 문서의 본문부분에 나타나는 한자어구와 이두를 들어 보인 것, ③ 흔히 쓰이는 이두만을 나열한 것, ④ 공문서의 결사(結辭)의 형식을 『경국대전』 권3 예전(禮典)의 ()...
  • 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찰사나 겸순찰사(兼巡察使)에게 해유(解由)을 보내게 되어 있었다. 해유첩정을 받은 관찰사는 이를 검토하고 이상이 없을 때 후임관으로부터 받은 해유첩정을 첨부해 호조 또는 병조에 해유이관을 보낸다. 관찰사의 해유이관을 받은 호조‧병조는 이를 검토해 이...
  • 해유장(解由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완료된다. 해유이관식과 해유은 『경국대전』 문서식에 수록되어 있다. 그에 앞서 『경국대전』에는 평관식과 이 수록되어 있어 관부와 관부 사이에 주고받는 문서의 격식은 대체로 이 두 가지 형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유이관식과 해유이...
    동의어유장(由狀) | 관련어해유(解由), 해유이관(解由移關), 해유첩정(解由牒呈)
  • 홍무예제(洪武禮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에는 『홍무예제』에 나오는 문서식 중에서 증장식(呈狀式)은 『경국대전』이 반포되기 이전은 ()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경국대전』에 들어 있는 첩정(牒呈)이라는 문서식을 이전으로 소급하는 방법으로써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증장식(呈狀式)은 문서의 명...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첩정의 문서양식. 첩정의 초두에는 첩정 관사나 첩정인의 관직을 쓰고 내용을 쓴 다음 받을 관사명을 썼다. 그리고 연기(年記) 다음에 관인을 찍고 그 옆에는 작은 글씨로 무슨 내용(某事)에 관한 첩정임을 밝히고 서명을 하였다. 첩정을 받으면 받은 날짜를 쓰고 그 위에

  • 이문대사 / 吏文大師 [언어/언어/문자]

    는 한자어구와 이두를 들어 보인 것, ③ 흔히 쓰이는 이두만을 나열한 것, ④ 공문서의 결사(結辭)의 형식을 『경국대전』 권3 예전(禮典)의 ()·평관식(平關式)·체식(帖式)에 따라 각각 2행으로 써 보인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①과 ② 부분만을 수록하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