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첨정” 에 대한 검색결과 3,0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30)

사전(840)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아들을 낳음. 是尊家大慶 況老人旣抱之樂 其喜可.何等奉賀, 김정희(金正喜), 33-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知府事)가 1470년(성종 1) 4월에 으로 개칭되었고, 봉상시 등 정3품 당하아문은 1392년(태조 1) 7월의 신정관제(新定官制) 이후 태종 때인 1401년 7월, 1403년 6월, 1414년 1월 등 여러 차례의 관제개혁을 통하여 처음 소경‧소감으로 설관되었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정(副正), 실직(實職), 음직(蔭職), 참상관(參上官) 돈녕부(敦寧府) (), 장악원(掌樂院) (), 전의시(典醫寺) (), 종부시(宗簿寺) (), 판관(判官), 훈련원(訓鍊院) ()
    상위어부정(副正), 실직(實職), 음직(蔭職),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돈녕부(敦寧府) 첨정(僉正), 장악원(掌樂院) 첨정(僉正), 전의시(典醫寺) 첨정(僉正), 종부시(宗簿寺) 첨정(僉正), 판관(判官), 훈련원(訓鍊院) 첨정(僉正) | 관련어부사(副使), 부지사(副知事), 소윤(少尹)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황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를 무시하여 버린 채, 생후 불과 3일의 갓난아기까지 군적에 등록시켜놓고 세포(稅布)와 세미(稅米)를 강제로 징수하는 것이 예사였는데, 이를 황구이라 한다. 이와 같이 진행된 군정의 이면에는 많은 부정과 협잡이 개재되어 극도의 부패상을 자아내었다.

고서·고문서(1,848)

  • 內資寺(申公)墓碣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墓碣銘 16 內資寺(申公)墓碣銘 17_071_050.jpg 內資寺(申公)墓碣銘 內...銘: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內” 앞에 “通訓大夫行”이 더 있음. 公諱汝樑, 字士幹, 姓申氏, 高靈人。 高祖文忠公諱叔舟, 相光廟, 勳業載...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혼춘(琿春) 도문강(圖們江)의 北岸에서 조선의 유민(流民)들이 국경을 넘어와 개간한 지무(地畝)를 관원을 파견해 정확하게 측량하고 또한 간민(墾民)을 사(社)를 설치해 갑(甲)으로 편성하고 칙례에 의거해 승과(升科)하고 임시로 국(局)을 설치하여 개간을 돌보도록 한 ...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98.12.07-1899.05.09.
  • 收布之法,始於梁淵,至于今日,流波浩漫,爲生民切骨之病,此法不改而民盡劉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80 牧民心書 卷八 ITKC_MP_0597A_1280_030_0010 收布之法,始於梁淵,至于今日,流波浩漫,爲生民切骨之病,此法不改而民盡劉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牧民心書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24. 崇德三年-戊寅-三月十三日同姓三寸姪子鄭宗男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849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5-024 24. 崇德三年-戊寅-三月十三日同姓三寸姪子鄭宗男處明文 토지매매문기 1 18-24 31.7x51.2 한지, 관인, 우수장...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2책 : 京畿道楊州郡蘆原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89. 順治元年-甲申-四月二十日前李文達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468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2책 : 京畿道楊州郡蘆原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42-089 89. 順治元年-甲申-四月二十日前李文達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86-90 50.7x48.3 한지, 관인, 수결 1...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김해 김씨와 이(李)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토요일 오전에 수업을 마치고 오후에 김노인 댁을 찾았다. 서로의 안부를 묻고 앉았는데, 육지 인물이면서 제주도에 와 어떤 일을 했던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 보라면서 들려 준 것이다. 이 이야기중에는 아기장수형 전설과 흡사한 김해 김씨의 이야기도 들어 있다. *
    조사일시1981-05-16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신문·잡지(111)

  •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草家六間文券을放賣次로去七月分에出給於該洞家僧김昌根矣러니中間遺失이오니該文券을內外國人間拾得와도休紙施行홈 廣告人 李鍾弼 고
    게재일1905년 12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草家六間文券을放賣次로去七月分에出給於該洞家僧김昌根矣러니中間遺失이오니該文券을內外國人間拾得와도休紙施行홈 廣告人 李鍾弼 고
    게재일1905년 12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草家六間文券을放賣次로去七月分에出給於該洞家僧김昌根矣러니中間遺失이오니該文券을內外國人間拾得와도休紙施行홈 廣告人 李鍾弼 고
    게재일1905년 12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西署盧契尾洞第一百一統七戶李鍾弼所居草家六間文券을放賣次로去七月分에出給於該洞家僧김昌根矣러니中間遺失이오니該文券을內外國人間拾得와도休紙施行홈 廣告人 李鍾弼 고
    게재일1905년 12월 3일 | 기사분류광고
  • 西署盤松坊盧契尾洞苐九十八統二戶地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西署盤松坊盧契尾洞苐九十八統二戶地伏在瓦家二十四間半與田一日耕庫乙欲爲放賣故玆仰布오니願買人은보시고可合시거든公洞德人高率基家로來臨興成시오 朴昌俊 告白
    게재일1902년 9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30)

  • 정남진;鄭南鎭;동원용;東原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162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00면 정남진;鄭南鎭;동원용;東原勇 경성부 죽3정목 543;京城高麗病院, 경성부 죽3정목 54 제12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배선영;裵善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549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219면 배선영;裵善翎 경성부 죽 186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순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339 남한 경성 덕성여자실업학교 1-25 제8회 졸업기념 1943 0 송본순복 경성부 죽 3정목 3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덕성여자실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병국;金秉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466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40면 김병국;金秉國 경성부 죽3정목 250-33 제3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용필;李鎔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0339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9면 이용필;李鎔弼 경성부 죽3정목 369;미상 제6회 191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돈녕부·봉상시 등에 소속된 종4품 관직. 돈녕부는 1401년(태종 1) 1월에 처음 설치시 종4품 부지부사(副知府事)가 1470년(성종 1) 4월에 으로 개칭되었고, 봉상시 등 정3품 당하아문은 1392년(태조 1) 7월의 신정관제 이후 태종 때인 14

  • 신확 / 申濩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광필이다. 진사로서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도시을 지냈다. 글을 잘 지어 문명이 있었다.

  • 남치원 / 南致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성종의 부마. 충간공 지 증손, 아버지는 선산부사 경이다. 성종의 넷째딸 경순옹주를 맞아들여 의성위에 봉해지고 성동의 저택을 하사받았다. 평시서제조, 훈련원을 역임하였다.

  • 윤명운 / 尹明運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비경이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스승 송시열을 변호하다가 해미에 유배되고, 1694년 갑술옥사 때 풀려나와 선릉참봉을 역임하였으며, 사재감이 되었다.

  • 이응윤 / 李應胤 [종교·철학/유학]

    1573∼1620.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기 후손, 부친은 이대립이다. 한백겸의 문인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벼슬은 에 이르렀다. 광해군 때 낙향하였다. 저술로『삼서집의록』,『관향요결』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