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첨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37)
사전(872)
- 첨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병이 더해짐. 向時不安節候 更無添肆之慮否, 김흥락(金興洛), 12-13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정3품 동궁관(東宮官). [내용] 동궁의 서무를 관장하는 첨사부(詹事府)의 관직으로, 1068년(문종 22)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때 품계는 정3품, 정원은 1인이었다. 이후 1098년(숙종 3)과 1116년(예종 11)에도
- 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궁내부 왕태자궁(王太子宮)의 사무를 총괄하던 관직. [내용] 1895년(고종 32) 4월 신설되었으며, 정원은 1인, 직급은 칙임관(勅任官) 3등 내지 4등이었다. 같은 해 11월 궁내부 관제개편 시 직급이 주임관(奏任官) 6등...
- 첨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춘매와 유씨부인이 죽었다 살아나자 이 사실을 천자에147) 제후의 나라이거나, 혹은 실재했던 나라가 아닌 허구적인 나라로 생각된다. 148) 정명기 소장 [유씨부인전]에서 절도 문첨사가 천자에게 이춘매와 유씨부인이 살아 돌아온 일을 알게 알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첨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각 진영(鎭營)에 속한 종3품의 무관.정의조선시대 각 진영(鎭營)에 속한 종3품의 무관.[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cheomsa | MR표기ch’ŏm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7,127)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402 B050402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中京誌 卷之十 武科 _ ...朴壽年 李載曄[後廣玄孫庚戌增追錄] 李載暹[後廣女孫慶尙虞候追錄]李東奎[後廣五代孫縣監追錄] 李鏞[戊午式昌濡子追錄] 孔學周[甲辰榜利原縣監追錄]孔彦周[庚申榜萬傾縣令追錄] 孔鈺[丁卯庭試追錄] 孔鐵...출처전거中京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403 B050403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15年 2月 29日_003 ○備邊司啓曰, 卽見申景瑗狀啓, 則前日申景瑗·李培元書狀內, 所謂笑而不受云者, 乃是焚船代給之船也。 淸將所求兵船, 別無卻退之事, 而兩道兵船, 一時潰散, 及至今日, 督發如此。 申景...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404 B050404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17年 6月 20日_022 ○兵批, 安慶直爲多大浦僉使, 金成一爲西生浦僉使, 朴宗一爲德浦僉使, 鄭爲鐵串僉使, 兪知三·李禎·慶有定·金廷立同知, 許崝·林天祚·李時亨爲訓鍊習讀, 金大乾爲京畿水使, 任夢□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405 B050405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1月 4日_007 書李景奭進, 參判李景□進, 參議金世濂病, 承旨鄭廣敬進。 兵批, 判書李時白進, 參判未差, 參議洪得一 缺參知李省身進, 左副承旨趙廷虎進。 吏批, 以柳晉三爲注書, 洪得一爲兵曹參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406 B050406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4年 4月 18日_017 ○兵批啓曰, 德浦僉使李元老, 瘡疾重發, 不能赴任云, 遞差,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김여막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12 A면 김여막 대담 1) 단가 사철가(04:56) 소리 김여막 북 이보형B면 김여막 대담 1) 수궁가 중 왕왈 연화다~방첨사 조개 등장(01:36) \"왕왈 연하다 수연이나 창망헌 진세간으\"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어부에게 모두 다 잡히어 속절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여막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어, 한림학사(翰林學士), 대사성(大司成) 도루목, 방첨사(蚌僉使) 조개, 해운공(蟹運公) 방게, 병사(兵使) 청어, 군수(郡守) 해구(海狗), 현감(縣監) 홍어, 주부장(部將) 조구(조기), 부별랑청 장대, 승대, 교리(校理), 수찬(修撰), 낙지, 고등어, 지평(持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어, 한림학사(翰林學士), 대사성(大司成) 도루목, 방첨사(蚌僉使) 조개, 해운공(蟹運公) 방게, 병사(兵使) 청어, 군수(郡守) 해구(海狗), 현감(縣監) 홍어, 주부장(部將) 조구(조기), 부별랑청 장대, 승대, 교리(校理), 수찬(修撰), 낙지, 고등어, 지평(持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기초학문(2)
- 현대몽골어의 양태첨사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6889 한국연구재단 한국몽골학회 2003 현대몽골어의 양태첨사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보조동사 '-(어)주다'의 통사적 특성과 기능: 여격 표지로서의 분석 가능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목정수, 게재일 : 2008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5633&local_id=10024988 보조동사 '-(어)주다'의 통사적 특성과 기능- 여격 첨사로서의 분석 가능성 - https://www.krm.or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4)
- 兩氏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첨 민봉식씨와 상례 김쥰한씨 금번 진하시에 령치 안이일로 면관되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依願免本官 電話課主事李文榮 免本官 秘書丞任百瑛 命同知敦寧院事 侍講院詹事趙東完 命侍講院詹事 奉常司提調閔衡植 命奉常司提調 從二品吳正根 命特進官 從一品鄭洛鎔 命特進官從二品閔泳璘 任秘書丞 六品許萬弼 任秘書郞 九品李文求 任江原道觀察府摠巡 九品崔養浩 任慶尙北道觀察府摠巡 六品具鍾...게재일1904년 10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設校憑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셔산 덕지거 젼첨 박동진씨 립학교를셜시고 일어에 련슉고 학문잇교를 광구즁인 월급은 죠셕을 공궤고 년오원가량을 쥬기로 다더라게재일1906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皇太子宮職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궁직원즁에 일강관이인은 칙임이니 홍문학봉상학가 례겸고 첨일인칙임이오 부쳠일인 시독이인 시죵관인은 쥬임이오셔연관은 칙임이니 유현으로 셔임되 뎡슈 업고 셔긔랑이 이인이니 판임이더라게재일1907년 8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시강원쳠 민경식 궁부특진관을 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시강원쳠 민경식 궁부특진관을 명고 동지돈령원 죠동완 시강원첨을 명고 궁부특진관 민경식 동지돈령원을 명다以上十月十四日 경무 륙군참장 리봉의로 호위대춍관무를 셔리다 以上十月十二日게재일1902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9)
- 제19차 유엔총회에 대비한 예비교섭 보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외무부 장관 숙명여자대학교 연호로 보고한 바와 같이 주재국 정부는 지난 13일부 공한(별첨사본)으로 주재국정부의 아국문제에 대한 지지의사를 표하여 왔기에 보고함. 아르헨티나, 정부, 한국문제, 지지, 의사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알헨티나 대사대리 | 수신자외무부 장관
- Letter from Minister of Foreign Affairs to Minister of Financ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외교부의 정무과가 재무부장관에게 1955년 6월 13일에 발행한 편지. 국제연합한국재건단 직원이 향유하는 특권 및 면제에 관한 건. UNKRA 단장은 별첨사본과 같은 문건에서 협의한 사항에 대해 안내함. 직원의 휴대품, 우편소포 및 기타 탁...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Y.T.Pyun,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 수신자Minister of Finance
- 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만약 이러한 상황에서 정벌을 하지 않으면 천하를 징벌하여 바로잡을 수 없을 것이다. 지금 대총관(大總管)·특진(特進)·태자첨사(太子詹事)·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을 먼저 파견하여, 군사와 말을 감독하고 이끌면서 곧바로 요동(遼東)으로 나아가게 하였고, 대총관·형부상...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義慈王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 당이 백제에 조문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였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서 정벌을 하지 않으면 천하를 징벌하여 바로잡을 수 없을 것이다. 지금 대총관(大總管)·특진(特進)·태자첨사(太子詹事)·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을 먼저 파견하여, 군사와 말을 감독하고 이끌면서 곧바로 요동(遼東)으로 나아가게 하였고, 대총관...대표표제어당이 백제에 조문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 당이 백제에 조문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매우 불쌍히 여기고 아파하였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서 정벌을 하지 않으면 천하를 징벌하여 바로잡을 수 없을 것이다. 지금 대총관(大總管)·특진(特進)·태자첨사(太子詹事)·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을 먼저 파견하여, 군사와 말을 감독하고 이끌면서 곧바로 요동(遼東)으로...대표표제어당이 백제에 조문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宣德王)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太宗 貞觀 19/倭 皇極天皇 4, 孝德天皇 大化 1)
주제어사전(26)
-
첨사 / 詹事 [역사/근대사]
구한말 궁내부 왕태자궁의 사무를 총괄하던 관직. 1895년 4월 신설되었으며, 정원은 1인, 직급은 칙임관 3등 내지 4등이었다. 같은 해 11월 궁내부 관제개편 시 직급이 주임관 6등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1897년 1월 왕태자궁이 왕태자궁시강원으로 개편되자, 여기에
-
동첨사 / 同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광정원과 자정원의 3품 관직.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자정원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자정원의 정3품 관직으로 동첨사를 두었다. 두 관부에서 모두 사(使)·동지사(同知事)·첨사 다음의 관직이었다. 그러
-
병마첨절제사 / 兵馬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거진의 장이다. 이들은 양계의 경직겸차하는 독진(獨鎭)의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목사(牧使)나 도호부사(都護府使)와 같이 격이 높은 수령이 겸하였으므로 문관으로 무관직을 겸대한 존재였다.
-
대호군 / 大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3품 관직. 고려 때의 대장군이 조선 초기 도위첨사(都尉僉事)로 개칭되었다가 태종초 대호군으로 변개되었다. 1466년(세조 12) 종3품관으로 확정되어 오위의 고급지휘관으로 법제화하였다.
-
서인충 / 徐仁忠 [종교·철학/유학]
1554-1610.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희, 모친은 전덕원의 딸이다. 1554년 9월 13일에 태어나 1591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다. 이후 다대진첨사, 부산진첨사를 역임하였다. 1610년 6월 10일 졸하였다. 박세온의 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