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8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266)
사전(8,754)
- 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여러 사람. 주로 상중(喪中)에 있는 형제들을 가리킴. 省式暑熱不審僉孝履支安 日月不居 奄迫再期, 김창협(金昌協), 23-16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욕되게도. 行不才.第 幸則幸矣, 박행의(朴行義), 21(禮)-26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恬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3_D_0425 恬 심리·감정 安, 靜 D_20_06_28 대동운부군옥 20권 6장 2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6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栝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545 栝 식물 柏葉松身, 楺曲, 櫽, 正方 D_19_03_33 대동운부군옥 19권 3장 3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3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槧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0_D_0088 槧 도구 기타 上聲 D_17_07_10 대동운부군옥 17권 7장 1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7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송성수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10225한국의 경제성장 혹은 산업화에 관한 기존 논의는 주로 국가ㆍ정부, 재벌ㆍ대기업, 그리고 노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기술ㆍ기술혁신은 일종의 블랙박스로 간주되어왔다. 이렇듯 한국의 산업화가 상당한 기술의 발전을 동반해왔다는 점을 본격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결과 기술발전...
-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노영구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7182022년 6월 21일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정상궤도 진입은 한국인들에게 크나큰 자부심을 안겨주었다. 일각에서는 우리의 로켓 개발 능력이 독자적으로 확보된 것이냐에 대해 회의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누리호를 최종적으로 만든 것도, 이를 발사한 것도 ...
- 중국 내 한중통역 교육과정 개선 연구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왕첨 ... | 출판사 : (한국)신성출판사 | 출판일 : 202205이 책은 전문 한중 통역사를 양성하기 위해 중국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중통역 석사 학위 교육과정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네가지 국면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법 및 교육평가에 대해 전문적으로 검토...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8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石山遺稿 虛白亭集 僑軒集 愚谷集 月澗集 白潭集 可庵遺稿 無忝齋集 草堂集 審幾
고서·고문서(26,373)
- 瞻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060_0100 瞻卬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첨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첨부 김 남자 평안남도 대동군 길림성(吉林省) 휘남현(辉南县) 조양진 공농행 삼위구조 을-402호 3 3 첨부,대표표제어첨부 | 성씨김
- 첨단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첨단 강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황고구(皇姑区) 明廉? 明永里 十二? 5 3 첨단, 개척, 문학, 적절...대표표제어첨단 | 성씨강
- 첨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첨부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금마향(金馬乡) 단결1대 2 2 첨부, 문제풀이, 120번째, 답, 일...대표표제어첨부 | 성씨김
- 첨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첨약 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릉현(穆稜县) 마도석향 대전자촌 4 3 첨약, 사용하는책, 일평생, 회답, 미안대표표제어첨약 | 성씨박
구술자료(133)
- 이첨지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벽소령에 관계된 이야기를 하던 중에 음정마을에 유래되는 이첨지소에 관한 전설을 이야기해 주었다. 이장님이어서인지 조사의 취지를 잘 알고 있어서 적극적으로 제보해 주었다.조사일시2009.07.23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음정마을 | 제보자박영현(남,75세)
- 화사첨족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중국(한국계) 20181109_031_001_중국B_01_박영숙_F_화사첨족 민담 화사첨족 2018. 11. 09(금) 오전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박영숙 [중국(한국계),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8년차] 조사자 포함 5인 김정은, 강새미 안산 다문화작은도서관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박영숙 [중국(한국계),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지첨서(池簽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승에 다녀 온 사람의 이야기’가 끝났다. 조사자가 요청하지 않았는데도 계속하여 이 이야기를 했다. 제보자는 이 얘기가 끝난 후에, 지첨서와 함께 세 사람이 배를 타고 제추도에 왔었는데, 그 중에서 이씨가 먼저 죽어서 좋은 묏자리를 차지했기 때문에 지금도 제주도...조사일시1981-05-16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 개구리 첨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민요에 이어서 불렀다. 이것도 평탄조로 읊었다.*조사일시1984-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산시 북정동 | 제보자김석보
- 좆첨지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뜻 얘기하기를 주저했다. 이런 얘기해도 욕 얻어 먹지 않겠느냐고 물어 , 괜찮다고 하자 시작했다.*조사일시1981-08-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상주군 공검면 병암리 | 제보자안복순
기초학문(107)
- 再論《續添洪武正韻》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곡효운, 게재일 : 201352065 곡효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再論《續添洪武正韻》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과 효율적인 첨삭지도 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민, 게재일 : 201114731 박상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작문학회 2011 첨삭지도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과 효율적인 첨삭지도 방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어간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신, 게재일 : 201343029 이상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3 어간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현대몽골어의 양태첨사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6889 한국연구재단 한국몽골학회 2003 현대몽골어의 양태첨사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홍어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희숙, 게재일 : 200931266 조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식생활학회/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9 홍어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5,986)
- 菾 賀 新 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內外書籍出版 敎科書類發售 新聞襍誌取次 學校用品俱備 皇 城 中 署 布 屏 下 朱 翰 榮 書 舘게재일1907년 1월 3일 | 기사분류광고
- 菾 賀 新 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內外書籍出版 敎科書類發售 新聞襍誌取次 學校用品俱備 皇 城 中 署 布 屏 下 朱 翰 榮 書 舘게재일1907년 1월 4일 | 기사분류광고
- 民具爾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각부대신이통감의집에불니여간말은이왕긔얏거니와 이등통감이 시졍션의 젼졍방침과 황상폐하압셔 려졍도치샤 이등통감에게 하슌시든말삼과 현졍부대신이 국에 진력지안이니 다시 죠직신다애 통감이 각대신을 구임쳑셩라고 쥬품말을 낫낫치 셜명지라 부대신 리지용씨...게재일1906년 4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失貨添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셩군거 젼창훈이라 쟈 지화몃원을 견실고 그일어발인돈을 다른사의게 징츌계획으로 지화오원을 이옷집에 감안이던지고 그지화를 장물로잡아 힐란다가 경무셔에 호소얏더니 언언즁 그간상이탈로되야 지화오원지속공고 무고지률을 당얏다 니 속언에일은말과갓치 소일허...게재일1906년 9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菾 賀 新 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內外書籍出版 敎科書類發售 新聞襍誌取次 學校用品俱備 皇 城 中 署 布 屏 下 朱 翰 榮 書 舘게재일1907년 1월 5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7)
- 18세기 중반 옻[添]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55_18세기_중반_옻[添] 경제_1755_18세기_중반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1월 19일 개최된 제6회 어린이 저금 복금추첨 영상.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5년 11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내 사천 방지리 유적Ⅲ - 고려‧조선시대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내 사천 방지리 유적Ⅲ - 고려‧조선시대 - ss1-0188_#1 유구 도면 226. 고려‧조선시대 유구배치도 2014-12-09_0.7454492_도면 226. 고려‧조선시대 유구배치도.jpg ss1-0188_#2제목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내 사천 방지리 유적Ⅲ - 고려‧조선시대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대구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신축부지내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대구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신축부지내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보고서 bb6-0064_#1 유구 도면4. 조사지역내 보완조사 유구배치도(S=1;100, 70%축소) 2015-03-13_0.5698664_도면4. 조사지역내 보완조사 유구배치도제목대구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신축부지내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h2-0052_#1 유구 발굴(시굴)조사현황도 및 발굴조사 대상 지역 표지도 2013-10-14_1.050967E-02_발굴(시굴)조사현황도 및제목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902)
- 임병첨;林柄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717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4면 1. A, B조 생도 명부 임병첨;林柄添 台灣 高雄州 岡山郡 湖內庄 大湖 709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첨환;金添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961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60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1을 김첨환;金添煥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첨환;金添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4773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85면 김첨환;金添煥 전남 제주도 신좌면 조천리 제9회 193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별첨 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별첨 1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1/12/14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2-09) [915] UN(유엔)총회, 제16차. N...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차관 | 수신자수석대표
- 별첨 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별첨 1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1/12/14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2-09) [915] UN(유엔)총회, 제16차. N...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차관 | 수신자수석대표
연구과제(41)
-
한국무가
한국 학술 번역사업 | 한영숙 | 제주대학교 | 2021 | 국내 | 제주
-
술라이마니의 이라크 아메리칸 유니버시티 (AUIS) 중동의 대표적 한국학 연구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Gianluca Spezza | American University of Iraq, Sulaimani (AUIS) | 2023 | 국외
-
다산 정약용 시집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이주행 | 다산학술문화재단 | 2014 | 국내 | 서울
-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학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5 | 국내 | 경기
-
냉전을 넘어서, 아시아의 공동체를 향하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권헌익 | University of Cambridge | 2016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574)
-
첨 / 添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첨가한 글자가 있을 경우 해당 글자를 입력한 뒤 그 글자의 앞에 표시하며 첨가된 글자 수만큼 숫자를 부기한다.
-
강첨 / 講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식년문과의 복시 초장과 명경과의 초시·복시에서 강경의 채점용 제비. 강경 채점은 통(通, 2점)·약(略, 1점)·조(粗, 0.5점)·불(不, 0점)의 네 종류로 구분되었다.
-
전첨 / 典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부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30년(세종 12) 11월에 종친부를 설치할 때 전첨사를 두어 요속으로 정4품의 전첨 1인, 종5품의 부전첨 1인, 종8품의 녹사 1인, 종9품의 부녹사 1인을 두었으나, 모두 일이 한가하여 타관이 겸직하였다.
-
첨가 / 添加 [언어/언어/문자]
공식적으로 일어난 현상을 의미한다. 음운 현상의 양상에 따라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첨가(添加)는 다섯 가지 유형 중에서 ‘없던 음소가 새로 끼어든 현상’을 의미한다. 첨가 대신에 ‘삽입(揷入)’과 ‘음운 첨가(音韻添加)’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후자는 음운과 관련
-
첨사 / 詹事 [역사/근대사]
구한말 궁내부 왕태자궁의 사무를 총괄하던 관직. 1895년 4월 신설되었으며, 정원은 1인, 직급은 칙임관 3등 내지 4등이었다. 같은 해 11월 궁내부 관제개편 시 직급이 주임관 6등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1897년 1월 왕태자궁이 왕태자궁시강원으로 개편되자, 여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