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철인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21)
- 철인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왕후(明純徽聖正元粹寧敬獻莊穆哲仁王后)이고, 능호는 예릉(睿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원당읍 원당리 서삼릉(西三陵)내에 있다.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이칭별칭 경헌장목(敬獻莊穆), 효휘(孝徽)
- 예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제25대왕 철종과 비 철인왕후(哲仁王后)의 능. [내용] 사적 제200호. 고양시 원당읍 원당동에 있다. 능호는 1864년(고종 1)에 정하였다. 왕릉과 왕비릉을 나란히 놓아 난간으로 연결된 쌍릉제도(雙陵制度)를 취하고 있으며, 팔...
- 효휘전(孝徽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효휘전 효휘전 孝徽殿 혼전(魂殿) 철인왕후(哲仁王后)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이현진 [정의] 창경궁에 있던 철종의 비 철인왕후(哲仁王后)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 ...상위어혼전(魂殿) | 관련어철인왕후(哲仁王后)
- 유자/놋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놋쇠로 만든 조리 기구. 차자표기 鍮煮는 한글의궤인 경뎐진쟉뎡례의궤에 나오는 유자와 대응한다. 기물의 모양은 철인왕후국장도감의궤哲仁王后國葬都監儀軌의 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도설에는 자(煮)와 모양이 유사한 석자[㐥煮]도 함께 보인다. 이 그림들을 참고하...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예릉(睿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예릉 예릉 睿陵 능원(陵園) 정릉(靖陵), 철인왕후(哲仁王后), 철종(哲宗) 왕실왕실건축/능 원 묘 능 원 묘 대한민국 조선 이혜원 1864년(고종 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 자...상위어능원(陵園) | 관련어정릉(靖陵), 철인왕후(哲仁王后), 철종(哲宗)
고서·고문서(29)
- 철인왕후국휼등록(哲仁王后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철인왕후는 안동김씨 김조근의 딸로 1837년(헌종 3)에 태어났고 1851년(철종 2) 8월에 철종비로 간택되었다. 그녀는 딸 하나를 낳았으나 6개월만에 죽었다. 그녀는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흥선군과 밀계하여 흥선군의 셋째 아들 명복을 대통을 잇도록 하였고 신왕을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철인왕후국장도감의궤(哲仁王后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철인왕후(哲仁王后 金氏)(1837-1878)는 김문근(金汶根)의 딸로 1851년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858년 원자를 낳았으나 6개월만에 죽고 말았다. 안동 김씨 세도기의 마지막 왕후로, 1863년철종이 승하함에 따라 결국 자손 없이 42세의 일기로 승하하였다(18...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철인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哲仁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철종비 철인왕후(哲仁王后)(1837-1878)는 김문근(金汶根)의 딸로 1851년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858년 원자를 낳았으나 6개월만에 죽고 말았다. 안동 김씨 세도기라 불리는 시기의 마지막 왕후로, 1863년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대왕대비인 신정왕후(神貞王...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철인왕후예릉산릉도감의궤(哲仁王后睿陵山陵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철종비(哲宗妃) 철인왕후(哲仁王后)(1837-1878)는 김문근(金汶根)의 딸로 1851년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858년 원자를 낳았으나 6개월만에 죽고 말았다. 안동 김씨 세도기라 불리는 시기의 마지막 왕후로, 1863년철종이 승하함에 따라 결국 자손 없이 42세...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철인왕후부묘도감의궤(哲仁王后祔廟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철종비 철인왕후(哲仁王后 金氏)(1837-1878)는 김문근(金汶根)의 딸로 1851년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858년 원자를 낳았으나 6개월만에 죽고 말았다. 안동 김씨 세도기라 불리는 시기의 마지막 왕후로, 1863년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대왕대비인 신정왕후(...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2)
- 1880년(高宗 17) 哲仁王后의 祔廟와《哲仁王后祔廟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508778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880년(高宗 17) 哲仁王后의 祔廟와《哲仁王后祔廟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878년(고종 15) 哲宗妃 哲仁王后의 國葬과《[哲仁王后]睿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래, 게재일 : 200301403 김경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78년(고종 15) 哲宗妃 哲仁王后의 國葬과《[哲仁王后]睿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유형논문 | 게재일2003
주제어사전(2)
-
철인왕후 / 哲仁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837년(헌종 3)∼1878년(고종 15). 조선 제25대왕 철종의 비. 아버지는 문근, 어머니는 이용수의 딸이다.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근친으로 1851년(철종 2) 왕비에 책봉되어 어의동 본궁에서 가례를 올렸으며, 1858년 원자를 낳았으나 곧 죽었다. 존호를
-
종척집사별단 / 宗戚執事別單 [정치·법제]
1878년(고종 15) 철인왕후의 국상을 위해 차출된 종척집사의 별단. 우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비점이나 밑줄, 꺽쇠 등의 표기가 있다. 철인왕후는 철종의 비로, 1878년 5월에 승하하자 국상의 진행을 위한 각종의 인원을 차출하였다. 이 문서는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