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철부” 에 대한 검색결과 8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4)

사전(1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534(법흥왕 21). 신라 상대의 대신. [내용] 531년 이찬(伊飡)의 관등으로 상대등(上大等)이 되어 백관의 위에서 국사를 총괄하였다. 죽을 때까지 약 3년 동안 재임하였다. 상대등 직책은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기였다. [개설]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는 중국의 전국시대와 관련된 주조품(鑄造品)의 도끼이다.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청동유물과 함께 이러한 중국제 도끼가 출토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황해도 봉산군 송산리 유적을 들 수...
    이칭별칭쇠도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쐐기 모양의 날의 머리 부분에 구멍을 뚫어 나무 자루를 박아 사용하는, 나무를 찍거나 패는 철제 연장
    정의쐐기 모양의 날의 머리 부분에 구멍을 뚫어 나무 자루를 박아 사용하는, 나무를 찍거나 패는 철제 연장 | 문광부표기cheolbu | MR표기ch’ŏl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쇠로 만든 솥
    정의쇠로 만든 솥 | 문광부표기cheolbu | MR표기ch’ŏl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8_S_0005 여자 詩 S_26_01_26 성호사설 26권 1장 26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6권 1장 2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48)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지 김 여자 경상북도 예천군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이하 한자 잘 모르겠음) 7 7 지, 무정한...
    대표표제어철부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지 박 남자 요녕성(辽宁省) 신빈현(新宾县) 왕청문향왕청문선족촌 2 1 지, 족카, 삼춘, 소식, 알게, 꿈인듯,...
    대표표제어철부지 | 성씨
  • 經史門9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詩》云: “成城, 傾城. 懿厥, 爲鴞爲鴟.” 愚謂, “哲”, 從口折聲, 在六書, 爲偕聲, 明斷之謂也. 婦人, 行不獨成, 事無專制, 務在於織絍、饋食而已. 故曰: “國不可使與政, 家不可使幹蠱.” 婦人而以明斷稱, 知閨儀之已失其軌矣. “鴞”者, 夜噪; “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제2차 러시아군 철군 재촉 ; 러시아군은 이미 철군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29年02月~光緒29年10月;1903-03~1903-12
  • 목숨걸고休戰線(휴전선)넘 나드는『불가살이』古隊(고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목숨걸고休戰線(휴전선)넘 나드는『불가살이』古隊(고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대표표제어목숨걸고休戰線(휴전선)넘 나드는『불가살이』古鐵部隊(고철부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비무장지대, 납북, 납치, 북괴, 민간인

구술자료(5)

신문·잡지(92)

  • 失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상오륙시에 룡산텰도감부에셔 불이나셔 그감부젼가 몰소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李) 서울 李 山手町 81 기계기구 - 주물 주조 14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喆培(李喆培)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주물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古閑(-) 인천 古閑 - 新町 39 - - 서양신,고무신.게타(下駄),기타신발(履物) 도소매 12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
    대표표제어古閑徹夫(-)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서양신,고무신.게타(下駄),기타신발(履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國澤 滿總裁戱墨 (구니자와 만총재 희묵)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国沢新兵衛(1864-1953)기사+사진
    작품명_원문國澤 滿鐵副總裁戱墨 | 게재일19170617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3-3
  • 國澤 滿總裁戱墨 (구니자와 만총재 희묵)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国沢新兵衛(1864-1953)기사+사진
    작품명_원문國澤 滿鐵副總裁戱墨 | 게재일19170617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3-3

멀티미디어(7)

  • 울산 무거동 상밭골 유적(울산 부곡동 112-1 유적 부록)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12-1_분청사기 ll5-0129_3_1_2015-05-07_5278_울산 부곡동 112-1_분청사기.jpg ll5-0129_4 유물 울산 부곡동 112-1유적_철조 ll5-0129_4_1_2015-05-07_4239_울산 부곡동 112-1유적
    제목울산 무거동 상밭골 유적(울산 부곡동 112-1 유적 부록)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성남-장호원 도로 개설 구간 내 광주 봉현리 유물산포지 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진61.단도편, 사진62.편, 사진63.철제고리편, 사진64.철정편 2013-11-18_0.8701898_사진61.단도편, 사진62.편, 사진63.철제고리편, 사진64.철정편.jpg
    제목성남-장호원 도로 개설 구간 내 광주 봉현리 유물산포지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남원 대곡리 유적 -남원시 폐기물 처리시설 조성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cc2-0107_7 유물 남원 대곡리 나지구 건물지 출토 2014-10-17_0.5141107_남원 대곡리 나지구 건물지 출토 .jpg
    제목남원 대곡리 유적 -남원시 폐기물 처리시설 조성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증평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증평 미암리유적 I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g h2-0036_5 유물 가지역 1호 폐와무지 출토유물_ 2013-10-15_0.5500299_가지역 1호 폐와무지 출토유물_ .jpg h2-0036_5 유물 나지역 수혈유구 출토유물 _ 철솥 2013-10-15_0.930
    제목증평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증평 미암리유적 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접시 2013-10-15_0.747555_A지구 5호 민묘 출토유물_ 청동합청동접시.jpg h2-0052_8 유물 B지구 소성유구 출토유물_ 2013-10-15_0.1166193_B지구 소성유구 출토유물_.jpg h2-0052_8
    제목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56)

  • 장간;張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798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32면 장간;張間 경기 제9회 193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정;新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995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22면 신정;新井 함남 북청군 신북청면 무우대리 제17회 194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호;木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0000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25면 목호;木戶 龍仁郡 용인면 유방리 347 제17회 194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본;高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477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7면 고본;高本 옥구군 임피면 월하리 288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본;松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277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42년 1942―12―30 373면 송본;松本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9)

  • / [역사/선사시대사]

    철기시대 이후로 사용되었던 철제 공구이자 무기. 리 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는 중국의 전국시대와 관련된 주조품(鑄造品)의 도끼이다.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청동유물과 함께 이러한 중국제 도끼가 출토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황해도 봉산군 송산리

  • 여잠 / 女箴 [문학/고전산문]

    구성되어 있다. 앞부분은 「여잠」이고, 뒷부분은 「고금현완열녀전(古今賢頑烈女傳)」이다. 「여잠」에서는 먼저 음양론에 입각한 부부의 성격을 밝히고, 역대 중국의 재왕가(宰王家) 현인(賢人)으로 아황(娥皇)·여영(女英)·간적(簡狄)·강원(姜嫄)·태강(太姜)·태임(太

  • 간돌도끼 / [역사/선사시대사]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간석기의 출현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고, 간돌도끼는 이 시대의 가장 대표

  • 부여합송리유적 / 扶餘合松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 세문경 1점, 원개형동기 1점, 동탁 2점, 이형동기 1점, 유리관옥 8점, 철제품으로 2점, 철착 1점, 그리고 토기로 검은간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 함흥이화동유적 / 咸興梨花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우연히 발견되어 함흥력사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유물은 주로 3곳에서 나왔다. 바닥 서남쪽에서 세형동검(細形銅劍)·동모(銅鉾)·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등이, 서북쪽 바닥 위에서 잔무늬거울〔細文鏡〕 2점이, 동북쪽에서 쇠도끼〔〕 1점과 토기(土器) 파편 2개체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