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철기시대” 에 대한 검색결과 6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0)

사전(36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란 인류가 철을 이용해 도구로 사용하게 된 시기를 말한다. [개 설] 고고학에서의 시대구분은 19세기 덴마크 국립박물관의 톰센(Thomsen,C.J.)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는 1836년에 간행된 덴마크 국립박물관 안내책자에서
  • 함흥이화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남도 함흥시 회상구역 이화동 에 있는 초기의 토광묘(土壙墓) 유적. [개설] 반룡산의 주봉(主峰)인 치마대가 남쪽으로 뻗어 내린 작은 구릉 위에 자리잡았다. 그 곳은 주위의 평지보다 10...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2917 차항 三曰니其後에漸知鑄鉄法이自是로文化가漸進니라 셋째는 이니 그 후에 점차 주철법을 알았으니 이로부터 문화가 점차 발전하니라. 張志淵 萬國事物紀原歷史 1 皇城...
    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시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대동상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리 에 있는 초기의 분묘 유적. [개설] 1932년 만포선(滿浦線) 철로공사 때 토사(土砂)를 채굴하던 중 유물들이 발견되어 알려졌으며, 발견 직후 일본...
  • 무산범의구석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북도 무산군 호곡동 에 있는 신석기에서 에 걸친 주거지 유적. [개설] 일명 ‘무산 호곡동’이라고도 한다. 두만강 상류의 계곡과 성천(城川)이 합류하는 주변에는 선사 유적이 넓게 분포되어...
    이칭별칭무산호곡동유적

논문(1)

고서·고문서(20)

  •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파지리크 쿠르간 2호 불명 파지리크 쿠르간 ?(?/?) 투엑타와 바샤다르 50.43.01 88.03.05 초기 BC4~3세기 ...
    대표표제어파지리크 쿠르간 2호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파지리크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초기철기시대
  •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파지리크 쿠르간 1호 불명 파지리크 쿠르간 ?(?/?) 투엑타와 바샤다르 50.43.01 88.03.05 초기 BC4~3세기 ...
    대표표제어파지리크 쿠르간 1호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파지리크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초기철기시대
  • 유적조사팀 1973 흉노시대 BC 2세기~BC 1세기 원형 토석혼축(6단 적석) 지하식 목관묘 목관1.76*0.64*0.52 1개체 철편 동부 KR001
    대표표제어골 모드 MF-21D호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골 모드 | 무덤조성연대흉노시대
  • 골 모드Ⅱ 1호 배장묘 5호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
    련 역사문화조사단 청동기-초기 유적조사팀 1975 흉노시대 BC 2세기~BC 1세기 원형 토석혼축 석렬 지하식 1.6**0.86 고리편 1점 동부 KR001
    대표표제어골 모드Ⅱ 1호 배장묘 5호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골 모드 | 무덤조성연대흉노시대
  • 48.24 75.23 초기 추정불가 동부 RU052
    대표표제어베가지 쿠르간 2호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베가지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초기철기시대

기초학문(2)

  • 한중러 접경지역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윤, 게재일 : 2016
    64536 김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중러 접경지역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성, 게재일 : 2018
    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2966&local_id=10076042 석기에서 철기로 - 청동기시대~초기의 도구 변화 -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2)

  • 자제에게 신학문을 가르치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 기상예보, 신대륙, 자유모(自由母) 소년한반도번역문.pdf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초기의 문화유적 최순자 64 이를 빼는데 적합한 시간 65 힘장사 왈렌찐 디꾸르 M.챠레스끼 66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4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128)

  • 횡성 화전리 청동기‧ 집자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1-0178 유구 2015-03-02_0.4779627_횡성 화전리 청동기‧ 집자리 유적_표지.jpg 횡성 화전리 청동기‧ 집자리 유적 橫城 花田里 靑銅器‧ 집자리 遺蹟 1998 강원고고학연구소 185 최복규,김남...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강원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강자유적(崗子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강자유적(崗子遺址) 중국 강자유적(崗子遺址) 주거유적 청동기시대 / 초기 / 요·금대 / 청대 길림성 돈화시(敦化市) 관지진(官地鎭) 강자촌(崗子村) 동쪽 강자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
    대표표제어강자유적(崗子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강자유적(崗子遺址)
  • 교하서유지(橋河西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교하서유지(橋河西遺址) 중국 교하서유지(橋河西遺址) 주거유적 발해 / 초기 흑룡강성 동녕시(東寧市) 동녕진(東寧鎭) 서남외자촌(西南崴子村) 동북쪽 교하서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
    대표표제어교하서유지(橋河西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교하서유지(橋河西遺址)
  • 단결유적(團結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단결유적(團結遺址) 중국 단결유적(團結遺址) 주거유적 초기 / 발해 흑룡강성 동녕현(東寧縣) 대두천향(大肚川鄕) 단결촌(團結村) 북쪽 대두천하 우안 단결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
    대표표제어단결유적(團結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단결유적(團結遺址)
  • 오배서유적(五排西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오배서유적(五排西遺址) 중국 오배서유적(五排西遺址) 주거유적 초기 / 발해 흑룡강성 동녕시(東寧市) 도하진(道河鎭) 오배촌(五排村) 서쪽 200m 오배서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
    대표표제어오배서유적(五排西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오배서유적(五排西遺址)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04)

  • / [역사/선사시대사]

    인류가 철을 이용해 도구로 사용하게 된 시기부터 역사시대 이전까지의 시기. 한국 고고학에서 란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서기전 300년경부터 삼국이 정립된 서기 300년경까지를 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고고학자들은 이 시대를 두 시기로 나누어 서기전 300년에서

  • 횡성둔내주거지유적 / 橫城屯內住居址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에 있는 초기 의 주거지 유적. 출토품은 무문토기 16점, 김해식 토기 4점, 접시형 무문토기 5점, 철도자(鐵刀子) 3점, 철제낫 2점, 철촉 1점, 철창 1점, 마제석촉 2점, 마제숫돌 2점, 옥구슬(목걸이용) 17점 등이었다.

  • 동제검자루 / 銅製劍─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와 초기에 사용된 청동제 검자루. 청동기시대와 초기의 동검·초기철검은 검신(劍身)과 검자루가 별도로 만들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검자루는 나무나 동(銅) 또는 양자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동제 검자루는 ‘T자’형과 대쪽형〔長鼓形〕의 두 종

  • 강릉강문동유적 / 江陵江門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에 있는 의 주거지 유적. 이 유적은 경포호수의 남쪽 동해변의 해안사구에 위치한다. 1992년 이 곳에서 초당식품 공장 신축공사 중 유구와 유물이 발견되어 강릉대학교 박물관이 발굴하여 움집터(竪穴住居址) 1기를 확인하였다.

  • 은율운성리유적 / 殷栗雲城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은율군 운성리에 있는 초기의 고분군 유적. 가말리마을과 고분골 사이의 동서로 가로지른 나지막한 산의 경사면에 위치한다. 이 곳에는 고분 외에 토성·우물 등이 있으며, 1955년부터 1966년에 걸쳐 5차례의 발굴조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