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철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금곡동제철유적
- 철기시대
- 단야구
- 철촉
- 횡성둔내철기시대주거지유적
연구성과물(1,812)
사전(715)
- 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류가 철(鐵)로 만든 무기‧도구‧기구의 총체. [철기의 탄생] 인류는 처음엔 석기(石器) 다음엔 청동기(靑銅器), 그 다음엔 철기(鐵器)를 사용하였는데, 철기의 사용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철은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에서...
- 유철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금릉 땅의 재상을 지낸 뒤 오십에 하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농업에 힘쓴다. 가산은 넉넉하나 자식이 없어 근심하던 차에 청의동자가 나와서 자식을 점지하는 꿈을 꾼 뒤 아들 신을 얻는다. 꿈속의 청의동자가 유신의 천정배필은 청릉 땅에 있으니 천정을 어기지 말라는 당부를 기억...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철기시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철기시대란 인류가 철을 이용해 도구로 사용하게 된 시기를 말한다. [개 설] 고고학에서의 시대구분은 19세기 덴마크 국립박물관의 톰센(Thomsen,C.J.)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는 1836년에 간행된 덴마크 국립박물관 안내책자에서
- 박철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대도독이다. 위만성[위봉월]이 번역국의 항복을 받은 뒤 설임도 총도사가 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주조 철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녹인 쇳물을 미리 제작된 주형에 주입하여 제작한 그릇이나 기구정의녹인 쇳물을 미리 제작된 주형에 주입하여 제작한 그릇이나 기구 | 문광부표기jujo cheolgi | MR표기chujo ch’ŏl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철기 이범석 평전 [대한민국정부 초대 내각의 각료 평전 | 한성대학교]저자 : 황민호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211215이 책은 일제강점기 북로군정서의 교관과 광복군 참모장으로 활동하였고, 해방 후 조선민족청년단을 창단하여 대한민국정부의 수립에 기여하였고, 초대 내각의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으로 활동한 철기 이범석 평전이다. 책의 구성은 제1부 「대륙에서 품은 독립된 민족국가의 꿈」, ...
논문(1)
- 한반도 남서지역 군곡리유적 해안 농경의 적소 구축: 초기철기시대-삼국시대 식물고고학 자료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Hyunsoo Lee | 게재정보 : Journal of Field Archaeology
고서·고문서(503)
- 치과 보철기공학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치과 보철기공학사전 의약학 치의학 치과교정학 치과 보철기공학사전 이병기등저 대학서림 서울 1994 치과교정학; 치과교정기;...대표표제어치과 보철기공학사전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치의학 | 소분류치과교정학
- 민병철기초생활영어1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민병철기초생활영어1 김 남자 경상북도 울진군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중학교 2 1 민병철기초생활영어1,대표표제어민병철기초생활영어1 | 성씨김
- 민병철기초생활영어2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민병철기초생활영어2 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철로분국 설계분소 2 2 민병철기초생활영어2, 민병철...대표표제어민병철기초생활영어2 | 성씨최
- 鄭喆基를 書稟할 계획이라는 別紙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929 2362_01 鄭喆基를 書稟할 계획이라는 別紙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문부 종가, 사회관계, 종가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JMB256.JPG 鄭喆基를 書稟할 계획이라는 別紙 簡札 24.3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민병철기초영어생활영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민병철기초영어생활영어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신화서점 1 1 민병철기초영어생활영어, 이야기한국사...대표표제어민병철기초영어생활영어 | 성씨김
구술자료(15)
- 강릉단오제 민요경창대회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동기달 김철기 윤흥용 최찬덕2) 강릉학산오독떼기 \"어에 쟁거럴오게 저메저메 쟁거럴오게\"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 최덕규 박종대3) 곡명 미상 \"에헤에요 에헤에요 에헤디요\"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철기
- 횡성 대동놀이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pdf F-275.jpg jpg F-275A.mp3 F-275B.mp3 mp3 이보형 김철기 1927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철기
- 강릉 학산리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악조사자료이다. 2) \'강릉학산오독떼기\'는 1988년 5월 18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고, 동기달, 김철기, 조원, 조경재, 최찬덕, 윤흥용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모내기 소리(자진아라리), 논매는 소리(오독떼기, 잡가, 사리랑, 꺾음오독떼기, 담송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철기
- 강릉단오제 민요경창대회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동기달 김철기 윤흥용 최찬덕2) 강릉학산오독떼기 \"어에 쟁거럴오게 저메저메 쟁거럴오게\"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 최덕규 박종대3) 곡명 미상 \"에헤에요 에헤에요 에헤디요\"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동기달
- 강릉단오제 민요경창대회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동기달 김철기 윤흥용 최찬덕2) 강릉학산오독떼기 \"어에 쟁거럴오게 저메저메 쟁거럴오게\"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 최덕규 박종대3) 곡명 미상 \"에헤에요 에헤에요 에헤디요\" 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김영식 이영석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흥용
기초학문(21)
-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남규, 게재일 : 200206252 이남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2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2
- 베이비붐세대의 적응역량이 디지철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미령, 게재일 : 201252010 김미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베이비붐세대의 적응역량이 디지철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금속학적 분석을 통해 본 원삼국∼백제 한성기 철기제작기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성정용, 게재일 : 201447486 성정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4 금속학적 분석을 통해 본 원삼국∼백제 한성기 철기제작기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윤, 게재일 : 201664536 김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기성, 게재일 : 201818647 이기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청동기학회 2018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119)
- 琺瑯鐵器의 生産統制協議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琺瑯鐵器의 生産統制協議 1937년 6월29일 부산 부산 조선법랑철기동업조합은 부산의 신공장건설 계획으로 인해 26일대표표제어琺瑯鐵器의 生産統制協議 | 연월일1937년 6월29일 | 지역부산
- 崔鍾鉉(東亞琺瑯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崔鍾鉉(東亞琺瑯商會) 서울 崔鍾鉉 東亞琺瑯商會 孔德町 34 가정용품 - 법랑철기(琺瑯鐵器) 제조 40.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崔鍾鉉(東亞琺瑯商會) | 지역서울 | 품목가정용품 | 영업종목법랑철기(琺瑯鐵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笹本米市(富田琺瑯工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笹本米市(富田琺瑯工場) 서울 笹本米市 富田琺瑯工場 京町 40-39 가정용품 - 법랑철기(琺瑯鐵器) 제조 183.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笹本米市(富田琺瑯工場) | 지역서울 | 품목가정용품 | 영업종목법랑철기(琺瑯鐵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朝鮮琺瑯株式會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朝鮮琺瑯株式會社(-) 부산 朝鮮琺瑯株式會社 - 瀛仙町2 - 주식회사 법랑철기 - 887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朝鮮琺瑯株式會社(-)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법랑철기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인물계_1957_01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선화-이상범 론 26 33년을 법조계에-김영호 론 27 인간철기와 정치가철기 김대중 28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멀티미디어(42)
- 횡성 화전리 청동기‧철기시대 집자리 유적 s1-0178_#1 유구 지도 1. 횡성 화전리 유적 위치 2015-03-02_0.1127436_지도 1. 횡성 화전리 유적 위치.jpg s1-0178_#2 유구 그림 2. 화전리 Ⅱ지구 유제목횡성 화전리 청동기‧철기시대 집자리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무등산 금곡동 -조선시대 철 및 철기생산유적- bb6-0141_#1 유구 제철로 2015-02-23_0.638653_제철로.jpg bb6-0141_#2 유구 정련로 2015-02-23_0.1305353_정련로.jpg bb제목무등산 금곡동 -조선시대 철 및 철기생산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진 96. 1호 수혈건물지 출토유물(①).jpg s1-0062_3 유물 사진 97. 1호 수혈건물지 출토유물 2013-10-12_0.7574884_사진 97. 1호 수혈건물지 출토유물.jpg s1-0062_4 유물 원색사진 8. 철기,제목춘천 우두동 롯데인벤스 우두파크 신축부지 내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용인 보정리 청자요지 –죽전택지개발지구 내 12‧14지점 발굴조사보고서-[본문‧도면],[사진]‧[형식분류 DATA]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g j3-0031_3 유물 도면111. 도기 2013-12-11_0.6626551_도면111. 도기.jpg j3-0031_4 유물 도면124. 청동기 및 철기 2013-12-11_0.4674646_도면124. 청동기 및 철기.jpg제목용인 보정리 청자요지 –죽전택지개발지구 내 12‧14지점 발굴조사보고서-[본문‧도면],[사진]‧[형식분류 DATA]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지 평면 및 단면도.jpg l6-0011_#4 유구 천천리 사진59.통일신라시대 2호석곽묘 및 출토토기 및 철기 2013-09-22_0.0264551_천천리 사진59.통일신라시대 2호석곽묘 및 출토토기 및 철기.jpg l6-0011_#5 유제목화성 천천리 청동기시대 취락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95)
- 김철기;金徹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김철기;金徹基 경상남도 의령 소화15년 3월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철기;金澈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444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0면 김철기;金澈基 滿洲國 北安東 海倫商工금융합작사 제10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철기;金澈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74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47면 김철기;金澈基 충청북도 영동군 황금면 관리 450 新令 제10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철기;李徹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067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95면 - 이철기;李徹基 1941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철기;金哲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451 북한 평남 평양의학전문학교 평양의학전문학교일람 1933 75면 1. 30. 생도;1) 씨명 (50음순);(3) 제2학년 김철기;金哲沂 평남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종일 | 서울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한국인의 기원 신 연구 –생물인류학과 고고학의 융합적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배기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3 | 국내 | 경기
-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성주 | 경북대학교 | 2013 | 국내 | 대구
주제어사전(122)
-
철기 / 鐵器 [역사/선사시대사]
인류가 철(鐵)로 만든 무기·도구·기구의 총체. 한반도에서는 중국제의 철기를 먼저 사용하게 되었는데, 기원전 3세기경 명도전(明刀錢: 明자를 칼의 자루 끝에 양각한 돈)이 압록강 유역의 위원·강계·전천과 청천강 유역의 영변, 대동강 유역의 영원·덕천 등지에서 다수 출
-
철기시대 / 鐵器時代 [역사/선사시대사]
인류가 철을 이용해 도구로 사용하게 된 시기부터 역사시대 이전까지의 시기. 한국 고고학에서 철기시대란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서기전 300년경부터 삼국이 정립된 서기 300년경까지를 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고고학자들은 이 시대를 두 시기로 나누어 서기전 300년에서
-
이범석 / 李範奭 [역사/근대사]
1900-1972년. 독립운동가·군인·정치가. 아버지는 문하, 어머니는 연안이씨이다. 8세 때 김해김씨를 새어머니로 맞이하였다. 1915년 여운형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1916년 항저우체육학교, 원난강무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19년 신흥무관학교 교관, 북로
-
횡성둔내철기시대주거지유적 / 橫城屯內鐵器時代住居址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출토품은 무문토기 16점, 김해식 토기 4점, 접시형 무문토기 5점, 철도자(鐵刀子) 3점, 철제낫 2점, 철촉 1점, 철창 1점, 마제석촉 2점, 마제숫돌 2점, 옥구슬(목걸이용) 17점 등이었다.
-
동제검자루 / 銅製劍─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에 사용된 청동제 검자루.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동검·초기철검은 검신(劍身)과 검자루가 별도로 만들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검자루는 나무나 동(銅) 또는 양자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동제 검자루는 ‘T자’형과 대쪽형〔長鼓形〕의 두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