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천지공사”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안심(安心), 안신(安身)하게 함으로써 구원하는 데 있다. 이 점에서 보면 는 천•지•인의 삼계를 모두 구제하는 구원관(救援觀)이면서도 개벽관(開闢觀)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원의 순서는 제1단계로 하늘의 운세를 여는 것에서 시작하여...
  • 대순철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經)』을 편집, 발행하는 등 증산의 사상을 깊이 연구한 뒤, 이 책을 저술하였다. 서론에서는 종교 일반에 대한 견해가 개관되어 있고, 본론 서두에서 증산의 생애와 성도(成道)를 약술하고 있다. 이어 증산사상에 나타난 신관(神觀), 증산의 ()ㆍ도덕...
  • 증산진법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년부터는 매년 『증산사상연구』라는 학술논문집을 간행하였다. 이 논문집은 1995년 특집으로 출판된 배용덕과 황정용(黃正容) 공저의 『증산사상중심의 인류갱생철학개론』을 끝으로 중단되었다. 배용덕은 『증산이념과 』ㆍ『증산이념과 여성관』ㆍ『하느님의 강세와 ...
    이칭별칭증산사상연구회
  • 김형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4년(고종 31) 10월 동학군이 서울을 향해 진군할 때 청주병영 근처에서 강증산을 처음으로 만났다. 1901년 강증산이 ()를 시작할 때부터 8년 동안 시중들었으며 딸을 강증산에게 수부(首婦)로 내어주는 등 수제자 구실을 다하였다. ...
    이칭별칭 태운장(泰雲長)
  • 미륵불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姜一淳, 호는 甑山)이 ()를 시작할 때부터 8년 동안 강일순의 측근에서 많은 활동을 하였다. 강일순이 사망하고 고부인(高夫人)이 태을교(太乙敎)를 세우자, 그도 강일순의 본처였던 정씨(鄭氏)를 내세워 수련시키면서 신력(神力)이 나타날 것을 기대하...

고서·고문서(3)

  • 국, 길림성, 연길시, , 설비장
    대표표제어김씨 | 성씨
  • 월 진묵에동남풍 빌어다가 남이화에 불을살너금광철을 아낼제 천지도사 묘엿든가이다리는 뉘다린가 경상도 놋다리라십오야 발근달은 다도발고 명라한우리졍 놋대졍 천지수단 손에잇녜정첨지 헛첨지 바람대로 도라가고활〃가서 자세보니 남에남산 무진갠가 시작할제 우물가에 터을...
    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 正 놋대정 天地手端 손에 잇내 젓 僉知은 虛僉知요 바람대로 도라가고 훨훨가서 仔細본이 南의 南山 무지개요 始作할 제 우물가에 터을 딱아 九年洪水 마가낼 제 차돌 싸서 防川하내 盡心竭力 지나간이 雨雨風風 苦生이라 苦生 끗해 榮華되고 昨非不知 君子로다 우리 同飽...
    구분잡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신종교]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후천세계를 건설한다는 증산교(甑山敎)의 중심교리. 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것은 모든 공사가 인존을 세우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하늘도 신명도 삼계에 있는 모든 사물도 결국은 사람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라는 사상이 내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