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천자문” 에 대한 검색결과 5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9)

사전(227)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漢文) 초학자를 위한 교과서 겸 습자교본.
    정의한문(漢文) 초학자를 위한 교과서 겸 습자교본.[두산백과] | 문광부표기Cheonjamun | MR표기Ch’ŏnja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9_O_0036 언어 東俗, 萬壽 東俗, 光宅寺 陳眉公繼儒, 周興嗣, 王右軍, 武帝, 顧炎武, 高祖, 蕭子範, 周興嗣, 顧寧人, 梁武帝, 興嗣, 子範, 周興嗣, 蕭子雲, 子範, 蔡薳, 王羲之, 鍾繇, 楊愼, 漢章帝, 黃魯直, 致堂...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6권 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5_J_0001 서적-문집 一千字, 每字片紙雜碎, 女慕貞潔, 紈扇圓潔, 潔字重疊, 貞潔, 作絜, 男女絜誠, 不絜其名, 以絜吾行, 貞烈 梁 周興嗣, 武帝, 韓濩 秦本記, 樂毅傳, 莊子 J_07_01_01 지봉유설 7권 1장...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5_S_0009 서적-문집 法帖, 梁人, 杜槀, 鍾隷, 布射, 嵇琴, 阮嘯, 倫紙, 千字, 次韻, 拘牽, 編次, 雅正, 梁文 梁, 漢時 劉後村, 周興嗣, 漢章帝, 綺, 漢惠, 漢惠章帝, 梁武, 殷鐵石, 右軍 S_29_01_86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9권 1장 8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10_J_0002 경서·경학 一夕編進, 鬚髮盡白, 兩目俱喪, 死時, 泥丸, 詩百篇, 落十二齒, 眉毛盡落, 七十六卷, 心血耗以卒, 傷生, 酒色, 爲害 周興嗣, 謝靈運, 孟浩然, 魏裳 楚史 J_07_01_02 지봉유설 7권 1장...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28)

구술자료(14)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당 이야기에 이어서 황석철씨가 들려준 이야기다. 이미 초면에 서먹한 분위기도 사라지고 술도 반감되여 구연이 한층 활기를 띄었다.*
    조사일시1979-08-12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 제보자황석철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자문 읽는 것을 해보겠다며 이 노래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10. 1. 20(수)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용주면 가호리 964-1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유철규
  • 뒷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민요를 마치니까, 좌중에서 제보자가 모심기 노래를 잘 한다고 하여 한토막 노래하고 그쳤다. 그리고 “천자뒷풀이”를 해 보라고 주위에서 권하니까, 다알지 못한다고 사양하다가 불렀다. 이 노래 뒤에 제보자가 설화를 구술하였다. *
    조사일시1981-01-1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동면 | 제보자민영곤
  • 가짜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회관에서 자연스럽게 구연하였다. 조사하는 도중에 할머니들이 한 분씩 한 분씩 들어오시고 또 민요조사를 왔다는 말을 듣고 일부러 오신 분들도 계셨다.
    조사일시2009.08.03(수) | 조사장소경북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인지리 441번지 인지리 손달회관 | 제보자김순식
  • 가짜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경로당에서 자연스럽게 구연하였다. 경로당이 큰길가에 있어 녹음에 어려움을 겪었다.
    조사일시2009.07.29(수) | 조사장소경북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2리 경로당 873-1159 | 제보자정말순

기초학문(10)

  • 石峰 板本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희하, 게재일 : 2011
    28705 손희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중인문학회 2011 石峰 板本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의 四體과 일본의 三體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병철, 게재일 : 2013
    49785 박병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3 한국의 四體과 일본의 三體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일제시대 의 종류와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미경, 게재일 : 2003
    06042 안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지학회 2003 일제시대 의 종류와 특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5세기 일본의 학습-東京大學 國語硏究室 소장『註』을 대상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미영, 게재일 : 2014
    61099 오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15세기 일본의 학습-東京大學 國語硏究室 소장『註』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5세기 일본의 학습 -동경대학(東京大學) 국어연구실(國語硏究室) 소장『주(註)』을 대상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미영, 게재일 : 2014
    15223 오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15세기 일본의 학습 -동경대학(東京大學) 국어연구실(國語硏究室) 소장『주(註)』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

기타자료(1)

  • 백제가 왜에 화이길사를 보내어 논어와 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백제가 왜에 화이길사를 보내어 논어와 을 바치다. 교류담당 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 太康 6/倭 應神...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화이길사를 보내어 논어와 천자문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85년(乙巳/신라 유례이사금 2/고구려 서천왕 16/백제 고이왕 52/晉 太康 6/倭 應神 16)

주제어사전(24)

  • / [언어/언어/문자]

    1583년 1월에 선조(宣祖)의 명에 따라 한호(韓濩)가 써서 간행한 『』 목판본. 『』 앞표지에 “() 내사(內賜)”라 쓰여 있는데 후대에 개장(改粧)하여 쓴 것으로 여겨진다. 안쪽은 오랜 사용으로 인해 종이가 낡아져 책장을 넘기는 귀퉁이를 종

  • 광주 / 光州 [언론·출판/출판]

    1575년(선조 8) 전라도 광주에서 간행된 <>은 한글의 석과 음을 보여주는 최고의 판본. ‘만력 3년(1575년) 광주 간상(萬曆 三年 月日 光州刊上)’이란 간기가 있다. 1권 1책 목판본. 판식은 사주 단변, 유계, 판심은 대흑구 상하내향 흑어미. ‘영수

  • 석봉 / 石峰 [언어/언어/문자]

    6세기 중국양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지은『』에 한글로 석과 음을 단 한자 교본. 『』은 6세기 중국양나라의 주흥사가 지은 책이다. 국내에는 백제 때 처음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나 우리나라 기록상으로는 고려충목왕(1344∼1348)이 을 배웠다고 하는

  • 역대 / 歷代 [언어/언어/문자]

    1911년에 이상규(李祥奎)가 간행한 형식의 학습서. 집안 아이들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혜산(惠山) 이상규는 고성 무양리에서 산청 묵곡으로 이거한 후에 1902년 학이재(學而齋)를 창건하였다. 이상규는 자질 교육을 위해 교재 편찬에 착수하여 1910년 책의 본

  • 주해 / 註解 [언어/언어/문자]

    1752년(영조 28)에 개원사(開元寺)에서 홍성원(洪聖源)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된 . 홍성원(洪聖源)은 기존의『』으로는 한문의 뜻풀이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잘못된 것들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매 한자가 갖는 다수의 뜻풀이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