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천어” 에 대한 검색결과 5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5)

사전(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崔時亨)이 사용한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뜻의 용어. [내용] 최시형은 사람의 말(人語)이 곧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하면서, 새소리나 베 짜는 소리도 시천주(侍天主)의 소리라고 하였다. 그런데 와 인어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태] 육봉형인 산는 4∼5월경에는 체측의 전단부는 황금색으로 변하고 복부는 은백색이 되지만, 여름이 지나 가을이 되면 이러한 색은 없어지고 체측은 검은 빛을 띤다. 등쪽은 황록색이며 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산재되어 있다. 복부는 은백색이다. 성체의...
  • 은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 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유적. [내용] 금호강(琴湖江) 남안의 구릉 경사면에 위치한다. 1918년 사태로 인해 토사가 붕괴된 자리에서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됨으로써 ...
  • 관모리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경성군 관모리에 서식하는 곤들메기.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31호. 관모리 포로천 상류 20㎞ 구간에서 서식하고 있다. 산는 곤들메기의 북한명이다. 이 물고기는 맑은 하천의 상류에만 사는 연어과 어류의...
  • 석리석불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어석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내용] 높이 4.32m.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7호. 머리 위의 천개(天蓋)를 제외한 불신(佛身)은 허벅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2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신라 법...
    연계항목이천어석리석불입상(利川於石里石佛立像)

고서·고문서(428)

  • 1 第一統統首良人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里 1 第一統統首良人屯 統第一戶陞戶良人屯{年參拾肆}辛卯本星州父正兵龍伊祖軍功部將碩曾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僉正福外祖正兵金鶴只本金 海妻良女七禮年貳拾伍{庚子本}--{父}正兵應生祖正兵應龍曾祖正兵...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里
  • 20 第二十統統首仁者未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내상면(內廂面) 1765년 내상면(內廂面) 東門內里 20 第二十統統首仁者未 第二十統一戶慶州案付騎保仁者未年肆拾貳甲辰本羅州父正兵泰宗祖嘉善大夫鎰壽曾祖通政石萬外祖學生金白煥 本安東妻金召史年參拾貳甲寅本金海父正兵厚邑時祖正兵芿叱山曾祖夫之外祖不支等...
    연도_면이름1765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東門內里
  • 其選士之法,各自其坊,受諸聚,坊老修籍,上之于鄕ㆍ遂大夫。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80 經世遺表 卷十三 ITKC_MP_0597A_1180_020_0050 其選士之法,各自其坊,受諸聚,坊老修籍,上之于鄕ㆍ遂大夫。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黃海道庄土文績_제38책 : 黃海道信川郡加羅洞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58. 嘉慶十五年五月日慶安宮屬黃海道信項右楸垌新買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3462 奎 19303 黃海道庄土文績 제38책 : 黃海道信川郡加羅洞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38-058 58. 嘉慶十五年五月日慶安宮屬黃海道信項右楸垌新買畓量案 궁방양안 30 30.6x40.2 한지, 관인, 郡守의 押, 접혀서
    자료명黃海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庄土文績_제38책 : 黃海道信川郡加羅洞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60. 嘉慶十五年四月日黃海道信項左東山坪新買田畓結卜斗數懸價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3466 奎 19303 黃海道庄土文績 제38책 : 黃海道信川郡加羅洞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38-060 60. 嘉慶十五年四月日黃海道信項左東山坪新買田畓結卜斗數懸價成冊 전답결복두수현가성책 26 22.9x35.5 한지, 관인, 관...
    자료명黃海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2)

  • 인천 어요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요 인천광역시 나나니타령 주대소리 채짖는소리 민요 1988-11-05 인천 17:24 00:00 A면 1) 나나니타령[독창: 차영녀] (00:00): \"나나나나 나니로구나 나니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차영녀
  • 인천 어요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요 인천광역시 나나니타령 주대소리 채짖는소리 민요 1988-11-05 인천 17:24 00:00 A면 1) 나나니타령[독창: 차영녀] (00:00): \"나나나나 나니로구나 나니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희섭
  • 인천 어요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요 인천광역시 나나니타령 주대소리 채짖는소리 민요 1988-11-05 인천 17:24 00:00 A면 1) 나나니타령[독창: 차영녀] (00:00): \"나나나나 나니로구나 나니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선구
  • 인천 어요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요 인천광역시 나나니타령 주대소리 채짖는소리 민요 1988-11-05 인천 17:24 00:00 A면 1) 나나니타령[독창: 차영녀] (00:00): \"나나나나 나니로구나 나니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주원관
  • 판소리 송제 발표회 공연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후의 소리는 녹음되지 않음 3) B면에는 \'고고천변 대목\'과 \'승종 무가\'를 끝으로 공연이 끝나고, 이후 공연 뒷풀이(술자리)에서 펼쳐지는 대화가 17분부터 약 3분 20초동안 녹음되어 있는데, \'잽이가 들어가는 지역은 거제도까지이고, 거제도를 지나가면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신문·잡지(2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藤川圓藏(藤店) 서울 藤川圓藏 藤店 榮町 22-1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33.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藤川圓藏(藤川魚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石川甚一(石店) 서울 石川甚一 石店 南山町 1-5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35.5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石川甚一(石川魚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長町忠吉(仁仲買組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長町忠吉(仁仲買組合) 인천 長町忠吉 仁仲買組合 內里 - 동업조합 -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長町忠吉(仁川魚仲買組合)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宮谷松太郞(藤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宮谷松太郞(藤店) 서울 宮谷松太郞 藤店 本町 3-38-14 市場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3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宮谷松太郞(藤川魚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八部로나뉜數彙 個別的으로査定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64 1935 1 7 1 1 八部로나뉜數彙 個別的으로査定 주야겸행으로사정중인바 六日까지 會議延期 신문 조선중앙일보 석간 2면 1단 기사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標準語査定委員會 A19350107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민물고기[]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52_18세기_중반_민물고기[] 경제_1552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9)

  • 박병국;朴炳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85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31면 박병국;朴炳國 창원군 웅천면 웅업조합 이사 제11회 192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능등국에 도착한 발해 사신을 가하국으로 옮겨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해 발해→일본 【번역】 (2월 4일 경인) 발해국사신이 능등국(能登國)에 도착하였다. 이 날 조를 내려 가하국(加賀國)으로 옮겨 편한 곳에 안치하도록 하였다. (『日本三代實錄』 2 淸和紀) 【원문】 (二月四日庚寅) 渤海國客着能登國 是日 詔加賀國安置便處 (『...
    대표표제어능등국에 도착한 발해 사신을 가하국으로 옮겨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건황 2/唐 大中 13/日本 天安 3, 貞觀 1)
  • 능등국에 도착한 발해 사신을 가하국으로 옮겨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古代史地名事典』, 雄山閣, 476쪽).으로 옮겨 편한 곳에 안치하도록 하였다. (『日本三代實錄』 2 淸和紀) 【원문】 (二月四日庚寅) 渤海國客着能登國 是日 詔加賀國安置便處 (『日本三代實錄』 2 淸和紀)
    대표표제어능등국에 도착한 발해 사신을 가하국으로 옮겨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 신라 진성왕이 당 소종에게 詔書 두 函을 내린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표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孫固服之無斁 至如開元御㝢 海不揚波 頻錫王言 誕敷文德 仍以臣先祖興光憲英父子 但能慕善 累賜八分御札 莫不龍騰鳳飜 綵牋由是益光 神筆至今猶潤 分寶玉於伯叔之國 則甞聞之 賜銀鉤於夷狄之鄕 所未見也 其詔旨則曰 殆比卿於魯衛 豈復同於蕃服 又至大曆年中 降曰 在九州之外 可比諸侯 於萬國之中...
    대표표제어신라 진성왕이 당 소종에게 詔書 두 函을 내린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표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 北魏 孝文帝가 고구려 문자왕[高雲]에게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晩至 大禹所以垂威 東國闕敬 周公所以親駕 斯豈急急於兩夫 遄兵甲者哉 但以縱之則萬國同奢 戮之則九宅齊肅故也 從叔之朝 乃西蕃常事 今於旅見之辰而同之 歲時之使 於卿之懷 寧可安乎 卿之親弟及卽鄒二人 隨卿所遣 必令及元正到闕 若言老病者 聽以四牝飛馳 車輿涉路 須待卿親至此 然後歸反 群后重...
    대표표제어北魏 孝文帝가 고구려 문자왕[高雲]에게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천도교]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崔時亨)이 사용한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뜻의 용어. 최시형은 사람의 말(人語)이 곧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하면서, 새소리나 베 짜는 소리도 시천주(侍天主)의 소리라고 하였다. 이런 주장에는 온갖 사물 속에 하느님의 자취를 체득하려는 종교적인

  • 은동유적 / 永隱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유적. 출토유물 및 발견상태 등으로 미루어 움무덤[土壙墓]계통임이 확실하다. 유물은 한(漢)의 일광경(日光鏡)을 비롯해 방제경(倣製鏡), 팔찌, 호형(虎形)ㆍ마형(馬形)띠고리, 장식단추, 사슴머리[鹿頭], 작은

  • 동복천 / 同福川 [지리/자연지리]

    량이 많고 물이 깨끗하기로 유명하며, 상류에서 잡히는 은어는 복(福)라 하여 예로부터 왕에게 진상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변에는 붉은 암벽을 이루고 있는 명승지인 적벽(赤壁)이 있으며, 천연동굴과 안암바위 등이 있어 주변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만경대가 있

  • 능귀강 / [지리/자연지리]

    어 이포리에서 허천강으로 흘러든다. 강에는 산·열목어·버들치 등이 많이 서식하며, 식생은 이깔나무·분비나무·황청나무·버드나무들이 있다. 이 강물은 주변의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제공하기도 하며, 특히 전력생산에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