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천보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4)
- 천보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 [내용] 조총(鳥銃)보다 성능이 뛰어난 총으로 1725년(영조 1)부터 개발하여 1737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사정거리는 1,000보(步)였다. 수성용(守城用)으로 서북방...
- 천보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정의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eon bo chong | MR표기ch’ŏn po ch’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천보총(千步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천보총 천보총 千步銃 화기(火器), 군기(軍器) 총(銃) 조총(鳥銃), 화총(火銃), 총통(銃筒), 화창(火槍), 삼안총(三眼銃), 장총(長銃), 평총(平銃), 지총(紙銃), 화약(火藥), 연환(鉛丸), 화승(火繩), 포수(砲手), 군...상위어화기(火器), 군기(軍器) | 동의어총(銃) | 관련어조총(鳥銃), 화총(火銃), 총통(銃筒), 화창(火槍), 삼안총(三眼銃), 장총(長銃), 평총(平銃), 지총(紙銃), 화약(火藥), 연환(鉛丸), 화승(火繩), 포수(砲手), 군기시(軍器寺), 화기도감(火器都監), 조총청(鳥銃廳), 월과화약(月課火藥)
- 근대신어 : 천보총(천보춍)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2813 천보총 차항 천보춍 네가 가면 어로 나 이 총이 쳔보춍이라 네가 가면 어디로겠나. 이 총이 천보총이다. 이인직 치악산 1908 136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2, 231면 무기...계통분류 [정치경제] 무기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평총(平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총 평총 平銃 화기(火器), 군기(軍器) 총(銃) 화총(火銃), 총통(銃筒), 화창(火槍), 삼안총(三眼銃), 천보총(千步銃), 지총(紙銃), 화약(火藥), 연환(鉛丸), 화승(火繩), 포수(砲手), 군기시(軍器寺), 화기도감(火器都...상위어화기(火器), 군기(軍器) | 동의어총(銃) | 관련어화총(火銃), 총통(銃筒), 화창(火槍), 삼안총(三眼銃), 천보총(千步銃), 지총(紙銃), 화약(火藥), 연환(鉛丸), 화승(火繩), 포수(砲手), 군기시(軍器寺), 화기도감(火器都監), 월과조총(月課鳥銃), 월과화약(月課火藥)
고서·고문서(4)
- 덕포(德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我鎭卒, 前遮後擁, 以千步銃·車機弓, 沖東擊西, 而以石硫黃火箭, 衝火於賊船, 則賊亦全沒海曲, 可謂一夫當關, 萬夫莫開之險矣。 夫所謂念駐項, 則乃在於月串·濟物之間, 而孫石項, 則亦在於德浦·草芝之間也。 夫濟物·草芝鎭, 若置其戰防船各一隻, 則其於渡海禦敵之道, 俱無失措之弊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德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我鎭卒, 前遮後擁, 以千步銃·車機弓, 沖東擊西, 而以石硫黃火箭, 衝火於賊船, 則賊亦全沒海曲, 可謂一夫當關, 萬夫莫開之險矣。 夫所謂念駐項, 則乃在於月串·濟物之間, 而孫石項, 則亦在於德浦·草芝之間也。 夫濟物·草芝鎭, 若置其戰防船各一隻, 則其於渡海禦敵之道, 俱無失措之弊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전기홍 판결서(全基弘 判決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일에 부하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이 되어 대동창의단을 조직하였다. 첫 전투는 영광 불갑산 전투였다. 7월 25일에 삽시간에 일본군에게 포위당하자, 선봉장이 천보총을 쏘아 두어 명을 사살하고 곧이어 선치에서 매복하였다가 적을 유인하여 기마병들을 죽이고 무기를 포획하였다....제목전기홍 판결서(全基弘 判決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 추안급국안 :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심문기록(2)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此庭罪固 當死矣○問汝聞建燮如許如許之說何爲隨往而前招中 以爲如許者汝所謂不軌之說而今乃不告何也○供其時則 但聞殊常之說而非隨往之時也○問所薦鄭觀民之事一一 詳告也○供到此地頭豈敢不直告乎丁建燮來言俄逢鄭觀 民而觀民有膂力江華能扛五柄千步銃云則其爲壯士可知矣 自雲峴有伐倭之意兄主以此意言及于觀民勸...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3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천보총 / 千步銃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 조총보다 성능이 뛰어난 총으로 1725년(영조 1)부터 개발하여 1737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박영준이 개발한 총으로 사정거리는 1,000보였다. 수성용으로 서북방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1871년에 조사한 어영청의 화기 중에도 1병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