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천문학” 에 대한 검색결과 8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1)

사전(65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8년에 정영택(鄭永澤)이 지은 서. [내용] 신활자본. 240쪽. 보성관(普成館)에서 발행하였다. 이 책은 서양의 천문지식을 전통적인 동양의 에 새로운 용어로써 도입한 일반 책이다. 유럽의 서적에서 직접 옮겼다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는 우리 나라에도 중국의 천문사상과는 관련이 없는 특유한 적인 지식이 발달되었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사의 기록에 남아 있는 것이라든지 고분벽화 등에 그려진 그림, 그 밖의 물품에 보이는 것들은 모두 중국 의 영향을 받...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양학(陰陽學) 금루관(禁漏官), 삼력관(三曆官), 수술관(修述官), 총민(聰敏) 문화과학 개념용어 김일권 [정의] 관상감 삼학(三學)의 하나로 천문(天文), 역수...
    상위어음양학(陰陽學) | 관련어금루관(禁漏官), 삼력관(三曆官), 수술관(修述官), 총민(聰敏)
  • 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종6품 관직. [내용] 1466년(세조 12) 관제를 정비하면서 정식으로 설치하였다. 정원은 1인으로 처음에는 문신으로 하여금 겸직하게 하였으나『경국대전』에는 잡과출신자에게 제수하는 것을
  • 훈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정9품 관직. [내용]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官制更定) 때 정원 1인으로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변동없이 존속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

단행본(1)

논문(2)

고서·고문서(35)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강요 최 남자 서울특별시 은평구 섬서성(陕西省) 서안시(西安市) 치금건축학원 물리교연실 3 1 강요,...
    대표표제어천문학강요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저작 김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팔일공사 래승대대 18 6 저작, 두사람, 저작,...
    대표표제어천문학저작 | 성씨
  • 용어집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용어집 자연과학 일반 용어집 한국회 편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2003 [고려대]중앙도서관/제1...
    대표표제어천문학용어집 | 대분류자연과학 | 중분류천문학 | 소분류천문학일반
  • 용어집〉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문학 〈용어집〉 해제 ■정의 이 용어집은 용어를 통일하고 우리말로 바르게 정립하기 위하여 한국회 용어심의위원회에서 편찬하고 서울대학교출판부에서 2003년 출간한 '용어집'으로, 표제어 8500여개를 한-영과 영-한으로 비교 정리한 전문용...
    대표표제어〈천문학용어집〉 해제 | 편저자 한국천문학회 편 | 권수 1책
  • 작은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문학 〈 작은사전〉 해제 ■정의 이 사전은 천문 우주에 관심 있는 동호인들을 위해 '월간 하늘' 편집부에서 편찬하여 가람기획에서 1998년 발간한 사전으로, 천문 우주과학 관련 용어 2,500여개를 'ㄱ-ㅎ' 순으로 수록한 국내 최초의 소규모 천문...
    대표표제어〈천문학 작은사전〉 해제 | 편저자 월간 하늘 편집부 | 권수 1책

구술자료(1)

  • 전을 볼 수 있는 이야기거든요. 하늘의 별을 봤을 때 이잖아요. 직녀성 견우성을 사람들이 보면서 이제 전설이 나온 거겠죠. 견우라는 사람은 우(牛)가 소죠. 소를 끌고 다니는 이런 남자애인데 사실은 어렸을 때는 좀 부유했나 보죠. 그래도 좀 잘 살았던 형아와 부모
    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9)

  • 전통적 역산의 단절과 근대의 유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303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전통적 역산의 단절과 근대의 유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셰익스피어와 한국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영림, 게재일 : 2012
    53140 한영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영어영문학회 2012 셰익스피어와 한국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자 집단의 논증과정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효녕, 게재일 : 2010
    25115 이효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두 자 집단의 논증과정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과학대중화 담화에서의 은유 : 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노윤채, 게재일 : 2012
    51714 노윤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프랑스학회 2012 과학대중화 담화에서의 은유 : 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희수, 게재일 : 2003
    37578 김희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구과학회 2003 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73)

  • 민세안재홍전집 : 뒤지는安在鴻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24 1934 8 15 1 1 紳 士 硏 究 (1) 뒤지는安在鴻氏 잡지 삼천리 53호, 6권 8호 64쪽 동정 과학 간접자료 선집외 B19340815삼천0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강담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강담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6호 講談 1907.11.24. 講壇/學園 411~412 558~559 앙천자(仰天子) 대한제국     에 대한 강담 ...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강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강화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0호 講話 1908.03.24. 學園 531~532 711~713 앙천자(仰天子) 대한제국     에 대한 강화 행성, 태...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에 대한 강론(1)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에 대한 강론(1)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4호 講談(一) 1907.09.24. 講壇/學園 364~365 495~497 앙천자(仰天子) 대한제국     에...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雙魚宮과春分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 天王星, 뉴턴 A19351221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40)

  • 고려로의 이행과 _2주차_1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3주 조선 전기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이행과 _2주차_2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3주 조선 전기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이행과 _2주차_3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3주 조선 전기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이행과 _2주차_4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3주 조선 전기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고려로의 이행과 _2주차_5차시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전북대학교]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3주 조선 전기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
    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기타자료(2)

  • (특집 교육자료) 습의 지도상의 문제점과 학습자료 제작 활용 방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교육자료) 습의 지도상의 문제점과 학습자료 제작 활용 방안 (특집 교육자료) 습의 지도상의 문제점과 학습자료 제작 활용 방안 (特輯 敎育資料) 習의 指導上의 問題點과 學習資料 製作 活用 方案 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종섭 | 사료철명교육전남
  • Conversion of currency:Records/ROK Government, UNCACK Advisio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현재 통화 체계는 금융운영에 적인 돈이 들고 환율, 물가 수준 및 임금 수준들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크게 왜곡되어 대중의 신뢰도가 떨어짐, 이에 따라 통화의 전환이 필요하고...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연구과제(2)

  • 일본 동북지역 내 한국학 기반조성:재해와 재일한국인을 중심으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이 인자 | 東北大學 (Tohoku University) | 2019 | 국외 | 해외

  • 일제 말(1937~1945) 조선인 국방헌납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호 | 동의대학교 | 2022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25)

  • / [과학/과학기술]

    관련이 없는 특유한 적인 지식이 발달되었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사의 기록에 남아 있는 것이라든지 고분벽화 등에 그려진 그림, 그 밖의 물품에 보이는 것들은 모두 중국 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에는 아주 일찍

  • 교수 / 敎授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종6품 관직. 1466년(세조 12) 관제정비때 정식으로 설치. 정원은 1인. ≪경국대전≫에는 잡과출신자에게 제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규정. 1762년(영조 38)에 겸 교수 3인을 두되, 1인은 에 할당하

  • 훈도 / 訓導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정9품 관직.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때 정원 1인으로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변동없이 존속되었다.

  • 문신습독관 / 文臣習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잡학에 정통한 문신을 양성하기 위하여 두었던 관직. 문신습독관에는『경국대전』에 한학습독관(漢學習讀官) 30인, 의학습독관(醫學習讀官) 30인,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 20인, 습독관(習讀官) 10인이 있었다고 되어 있으며, 양반자제들이 임용되었다.

  • 음양과 / 陰陽科 [역사/조선시대사]

    행하였다. 그 시취액수는 초시에 10인, 지리학 4인, 명과학 4인이었고, 복시에 5인, 지리학 2인, 명과학 2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