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책보” 에 대한 검색결과 6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6)

사전(230)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제작하였다. 는 협의로 옥책과 금보만을 가리키지만 광의로 죽책과 은인까지도 포괄하여 사용되기도 하였다. 內侍說權置案於殯殿外近限又設權置褥位於殯殿西階下東向行禮時至引儀分引宗親及文武百官入就位, (상호1805/025ㄱ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묘(宗廟)에 봉안된 역대 제왕ㆍ후비의 를 모아놓은 책. [개설] 1책. 필사본. 실별로 봉안된 에 대하여 동장(東藏)ㆍ서장(西藏), 그리고 층별로 기록하여 각 실에 봉안된 것과 그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보(金寶), 보인(寶印), 옥보(玉寶), 옥책(玉冊), 죽책(竹冊), 책문(冊文)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임민혁 [정의] 왕과 세자 및 비빈을 책봉하거...
    관련어금보(金寶), 보인(寶印), 옥보(玉寶), 옥책(玉冊), 죽책(竹冊), 책문(冊文)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시보(諡寶) 및 ()를 올려놓아 읽던 상. 직사각형의 천판(天板)과 호랑이 발[虎足] 모양의 네 다리에 운각(雲角) 장식을 덧붙인 구조이며 전면에 주칠(朱漆)을 하였다. 주로 존호(尊號)를 올리는 의례나 책봉례(冊封禮) 또는 흉례(凶禮)에서 시보나 를 놓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상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궁중 의례 시 ()를 놓았던 상(床)과 안(案). 직사각형의 천판(天板)에 네 개의 호랑이 발[虎足] 모양의 다리가 달려 있으며 사용자의 위계에 따라 왕과 왕비의 것은 주칠(朱漆)을 세자와 세자빈의 것은 흑칠(黑漆)을 하였다. 옥책(玉冊)이나 죽책(竹冊), 왕...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26)

  • 跋乙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340 跋乙卯帖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종묘등록(宗廟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등록은 「종묘등록구서(宗廟謄錄舊序)」, 「종묘등록증수범례(宗廟謄錄增修凡例)」, 「종묘등록증수신서(宗廟謄錄增修新序)」, 「종묘등록증수속범례(宗廟謄錄增修續凡例), 「종묘목록(宗廟目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묘구등록서」는 155...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장렬왕후수개도감의궤(莊烈王后修改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양주 조씨(楊州 趙氏) 창원(昌遠)의 딸이다. 숙종대에 대왕대비(大王大妃)의 자리에 있었는데, 1687년(숙종13) 9월 2일 처소인 만수전(萬壽殿)에 화재가 일어나 보관중이던 ()들이 손상되었다. 이에 9월 22일 숙종이 대왕대비의 를 수개(修改)할 도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韓國 時調大事典 : 別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韓國 時調大事典 : 別遺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韓國 時調大事典 : 別遺 朴乙洙 編著 아세아문화사 서울 2007 ...
    대표표제어韓國 時調大事典 : 別冊補遺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吉林將軍衙門爲已將琿春中俄書院上年用過各項銀兩戶部核銷事致琿春副都統衙門咨文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중아서원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東北邊疆檔案文獻叢書. 琿春副都統衙門檔(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中國第一歷史檔案館合編) | 발신일1895.03.08

구술자료(12)

  • 끼고 앞에가는 저여자/가창유희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콩주머니 던지며 부르던 노래를 불러 준 후, 김금옥이 그 노래와는 상관 없지만 떠오르는 노래가 있다면서 이 노래를 불러주었다. 어 릴 적, 친정어머니가 바느질을 하면서 한심스러운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친정어머니가 지금 살아 계신다면 104세 정도 가...
    조사일시2011. 2. 20(일 | 조사장소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3리 도덕동길 13 잠곡3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금옥(#2)
  • 런 거 등따리에 매고 옷이든 뭐든 기억도 안 나지. 이런 거 뭐 자기 메고 [조사자 : 자기 메고 그러고 가고.] 응 뭐 고생도. 고생도 많이 하고 우리 동생도 거 가가 자리도 내가지고 [조사자 : 먹지도 못하고] [조사자 : 계속 도망가서 어디쯤 가셨는지 기억
    조사지역경북 의성 | 조사일2014년 4월 28일
  • 모르지. 우리가 그쪽 따라 들어가서 산쪽에 있다가 그냥 나왔으니까. 그리고는 나와서 몰라. 아 주 그때 내 따리도 황해도에 버렸어. 내가 그래도 공부 할려고 따리도 가지고 다녔잖아. 그랬더니 황해도이설랑 따리에 영어 인제 노어 책이지 노어. [조사자 : 러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9일
  • 비행기 폭격에 소가 죽을까봐 미리 소를 잡아먹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물 건너, 강 건너 거 갔는데 그때는 3학년 때인데 갔는데 를 이래 짜 멨어, 전에는 이래 짜 메고 갔는데 다락에다 그걸 언 져놓고 를 놔두고 집에 왔다구요! 집에 오다가 방턱에 방턱이라고 고서로 한 20리쯤 되는데 오이께로 신장로에 아무차도 안 댕기고 미국사람
    조사지역충남 예천 | 조사일2014년 4월 29일
  • 죽은 처녀들의 영혼이 변한 인어 로사올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로사올카, 루살카, 물의 요정, 물의 신, 인어, 저주, 변신, 사이렌, 유혹, 오페라, 풍년, 김알라, 러시아, 고려인, 경기도, 오산시 제가 이번에는 동화다는 주인공. 그러니까 옛날에는 되게 여러 가지 신 보다는 뭐 예수 같은 거, 뭐 불교, 러시아에서는
    국가러시아 | 제보자김알라 [러시아(고려인3세), 여, 1977년생, 결혼이주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외규장각의 봉안과 봉출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129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5 외규장각의 봉안과 봉출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06)

  • 物資節約의 大運動에 商店工塲街와도 呼應 물건서러 갈 를 가지고 가고 상점에서는 표장지를 절약 公私消費節約으로 銃後報國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物資節約의 大運動에 商店工塲街와도 呼應 물건서러 갈 를 가지고 가고 상점에서는 표장지를 절약 公私消費節約으로 銃後報國 19...
    대표표제어物資節約의 大運動에 商店工塲街와도 呼應 물건서러 갈 책보를 가지고 가고 상점에서는 표장지를 절약 公私消費節約으로 銃後報國 | 연월일1938년 4월16일 | 지역서울
  • 청국선교사 민 목사 41 야고보편지 라부열 박사 53 빌닙보대지 신학박사 배위량 목사 59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1) 조선의 지위문제 China and Korea(淸韓論)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88년 2월 3일 데니 『데니문서』(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81)(pp.283-336) 서신/정고서 55 필자에 따르면, 조약을 체결하고,
    대표표제어China and Korea(淸韓論)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데니 | 출처『데니문서』(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81)(pp.283-336) | 키워드주권국가, 반독립(국가), 종속(국가), 조공 관계, 예속
  • (1) 조선의 지위문제 Letter Forty-Six 外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88년 6월 13일 데니 『데니문서』(서울:국사편찬위원회,1981)(pp.107-148) 서신/정고서 73 조선의 지위를 둘러싼 청나라와의 갈등이...
    대표표제어Letter Forty-Six 外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데니 | 출처『데니문서』(서울:국사편찬위원회,1981)(pp.107-148) | 키워드이홍장, 문명국, 국제적 절차, 조약, 교섭의 권리
  • 조선국 내정개혁에 관한 조선국 주차 오오토리공사에의 훈령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 조선의 지위문제 조선국 내정개혁에 관한 조선국 주차 오오토리공사에의 훈령안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94년 6월 27일 육오종광(陸奥宗光) 일본외교문서 권27 제1책 서신/정고서 13 필자는 일본이 “동양대국(大局)”을
    대표표제어조선국 내정개혁에 관한 조선국 주차 오오토리공사에의 훈령안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육오종광(陸奥宗光) | 출처일본외교문서 권27 제1책 | 키워드동양대국(大局), 평등의 권리, 통상의 편익, 독립국, 묵수

기타자료(1)

  • UNRRA policy on interchange of relief and rehabilitation item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zones of Korea / Clyde B. Sargent Director UNRRA Mission in Korea 발신 ; I. M. Chistiakov Colonel General Commanding General Soviet Forces in Korea 수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북한 사이에 긴장완화와 회복을 위한 상호 교환에 관한 UNRRA의 정고함. Clyde B. Sargent, Colonel General I. M. Chistiakov, UNRRA Policy, United Nations Relief and Rehab...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lyde B. Sargent, Director UNRRA Mission in Korea. | 수신자Col. General I. M. Chistiakov, Commanding General, Soviet Forces in Korea.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왕과 왕비의 옥책과 보인을 일컫는 말. 왕이나 왕비에게 존호 또는 시호를 올릴 때나 왕비를 책봉할 때에는 옥책과 보인을 만들어 올렸다. 옥책은 존호와 시호를 올릴 때 그 업적을 칭송하는 글을 옥에 새겨 만든 책문이다. 보인은 시호나 존호를 새긴 도장인데 금보 또는 시

  • 안 / 讀 [정치·법제]

    시보 및 를 올려놓아 읽던 상. 직사각형의 천판과 호랑이 발 모양의 네 다리에 운각 장식을 덧붙인 구조이며 전면에 주칠을 하였다. 주로 존호를 올리는 의례나 책봉례 또는 흉례에서 시보나 를 놓고 서서 읽기 위한 용도이다. 대부분 독보상으로 표기한다.

  • 봉교명거안자 / 捧敎命擧案者 [정치·법제]

    라 진행한다. 이때 매 안마다 2인이 공복을 입고 마주 든다. 따라서 교명ㆍ옥책ㆍ인ㆍ명복를 올려놓아 둔 책상을 둔 2인의 내직별감이 거교명명복안자이다.

  • 대전왕대비전중궁전가상존호내입홀기 / 大殿王大妃殿中宮殿加上尊號內入笏記 [정치·법제]

    1892년(고종 29)에 익종과 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추상하고 고종과 헌종의 계비인 명헌왕후, 고종의 비 명성왕후에게 존호를 가상할 때 만든 기록의 일부로 가상존호를 궐내로 들이는 의식 절차를 적은 홀기. <대전왕대비전중궁전가상존호내입의>가 들어 있는데 이

  • 경효전(명성태황후)추상휘호·진·개제주·환안제친행시응행절목 / 景孝殿(明成太皇后)追上徽號·進·改題主·還安祭親行時應行節目 [정치·법제]

    1921년 3월 9일 명성황후 여흥민씨에게 휘호와 후호를 추상하기 위해 그 옥보를 올리는 의식 등을 친행할 때 순종과 종척 등이 거행해야 할 내용과 절차를 기록한 절목. 이 절목의 작성주체는 이왕직으로 추정된다. 본문의 글씨는 철필(鐵筆)로 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