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책례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48)
- 책례도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왕세자ㆍ왕세손ㆍ왕세제ㆍ빈궁 및 왕비 등의 책봉에 관한 의식ㆍ절차를 맡은 임시 기구. 관원으로는 도제조 1인, 제조 3인, 도청(都廳) 및 낭청(郎廳) 6∼7인으로 구성되었다. 책례도감은 의궤를 작성하였는데, 광해군 2년(1610) 이후 조선 말기까지 저궁책...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책례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시대에, 국왕이나 왕세자의 책봉식을 치르기 위해 설치한 임시 기구정의조선 시대에, 국왕이나 왕세자의 책봉식을 치르기 위해 설치한 임시 기구 | 문광부표기Chaengnye Dogam | MR표기Ch’aengnye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책례도감(冊禮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책례도감 책례도감 冊禮都監 가례(嘉禮), 도감(都監) 봉숭도감(奉崇都監), 책례도감의궤(冊禮都監儀軌), 책저도감의궤(冊儲都監儀軌), 책봉의궤(冊封儀軌), 진봉의궤(進封儀軌) 책봉도감(冊封都監) 책저(冊儲), 진봉(進封), 고명(誥命),상위어가례(嘉禮), 도감(都監) | 하위어봉숭도감(奉崇都監), 책례도감의궤(冊禮都監儀軌), 책저도감의궤(冊儲都監儀軌), 책봉의궤(冊封儀軌), 진봉의궤(進封儀軌) | 동의어책봉도감(冊封都監) | 관련어책저(冊儲), 진봉(進封), 고명(誥命), 책명(冊命), 책봉사(冊封使), 추봉(追封), 건저(建儲), 복위(復位), 존숭(尊崇), 봉작(封爵), 왕실봉작(王室封爵), 봉건제도(封建制度)
- 책례도감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궁책례의궤류에는 왕세자‧왕세손‧왕세제의 책봉 기록 외 대비전(大妃殿)‧왕후의 존호를 올리는 기록, 중궁이나 저궁의 책봉 기록, 세자의 관례(冠禮) 기록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책례도감의궤≫는 대개 권두에 목록이 있고 이어 좌목(座目)‧전교(傳敎)‧의주(儀註...
- 책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왕세자ㆍ왕세손ㆍ왕세제ㆍ빈궁 및 왕비 등을 책봉하던 의식. 책례도감(冊禮都監)이라는 임시 기구를 설치하여 책봉과 관련한 업무를 주관하도록 하였고, 책례도감은 관계 기록 일체를 자세히 정리한 의궤를 작성하였다. 長杠橫杠及柱漆色則依壬申冊禮時例以黑色奉行何如手決...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영조 자손 자료집 1-효장세자, 효순현빈-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5.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효장세자 및 사도세자의 생애와 그 자료 丙申追崇儀註 追崇封遠日記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孝章世子)殯宮都監儀軌》 《孝章世子喪禮儀軌》
고서·고문서(37)
-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仁宣王后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왕비와 왕세자, 왕세손 및 그 빈(嬪)등을 책봉하는 의식을 ‘책례(冊禮)’라고 하며, 책례도감(冊禮都監)이 설치되어 행사 전반을 주관하였다. 조선시대에 세자는 왕이 승하하면 곧바로 왕위에 올랐던 반면, 세자빈은 선왕(先王)의 국상(國喪) 기간이 끝난 후에 왕비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현종왕세손책례도감의궤(顯宗王世孫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위한 뒤 1651년(효종2)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659년 제18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조선시대에 책례(冊禮)는 왕비, 왕세자, 왕세손과 그 빈(嬪)을 책봉하는 의식을 가리키며, 책례도감(冊禮都監)을 설치하여 행사를 주관하게 하였다. 현종의 왕세손 책례는 나이 8...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현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등을 책봉하는 의식을 ‘책례(冊禮)’라고 하며, 책례도감(冊禮都監)이 설치되어 행사 전반을 주관하였다. 본 의궤는 1651년(효종2) 5월 준비를 시작하여, 8월 9일 세자 관례(冠禮)를 시행하고, 8월 28일 책례 의식이 거행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담고 있다. 책봉...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명성왕후책례도감의궤(明聖王后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51년(효종2) 세자빈이 되었고, 1661년(현종2) 왕비에 책봉되었다. 왕비와 왕세자, 왕세손 및 그 빈(嬪) 등을 책봉하는 의식을 ‘책례(冊禮)’라고 하며, 책례도감(冊禮都監)이 설치되어 행사 전반을 주관하였다. 조선시대에 세자는 왕이 승하하면 곧바로 왕위...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숙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肅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책례(冊禮)’라고 하며, 책례도감(冊禮都監)이 설치되어 행사 전반을 주관하였다. 본 의궤는 1666년(현종7) 1월부터 이듬해인 1667년(현종8) 1월 22일 책례 의식이 거행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담고 있다. 여타 책례 의식에 비해 준비 기간이 긴 것은, 당초...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6)
- 1649년(인조 27) 왕세손 책봉과《[顯宗]王世孫冊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01330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49년(인조 27) 왕세손 책봉과《[顯宗]王世孫冊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645년(인조 23) 왕세자 책봉과《[孝宗]王世子及嬪宮冊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01405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1645년(인조 23) 왕세자 책봉과《[孝宗]王世子及嬪宮冊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907년 純宗皇帝의 즉위와《隆熙兩皇后復位時冊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상태, 게재일 : 200402193 김상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907년 純宗皇帝의 즉위와《隆熙兩皇后復位時冊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690년(숙종 16) 장희빈의 중궁 책봉과《[玉山大嬪陞后]冊禮都監都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02201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90년(숙종 16) 장희빈의 중궁 책봉과《[玉山大嬪陞后]冊禮都監都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667년(현종 8) 肅宗 王世子 冊封과《[肅宗世子受冊時]冊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정희, 게재일 : 200502348 이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67년(현종 8) 肅宗 王世子 冊封과《[肅宗世子受冊時]冊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유형논문 | 게재일2005
주제어사전(3)
-
책례도감 / 冊禮都監 [정치·법제]
조선 시대 왕세자ㆍ왕세손ㆍ왕세제ㆍ빈궁 및 왕비 등의 책봉에 관한 의식ㆍ절차를 맡은 임시 기구. 관원으로는 도제조 1인, 제조 3인, 도청 및 낭청 6∼7인으로 구성되었다. 책례도감은 의궤를 작성하였는데, 광해군 2년(1610) 이후 조선 말기까지 저궁책례에 관한 의
-
도청 / 都廳 [정치·법제]
조선 시대 가례도감ㆍ책례도감ㆍ존호도감 등 국가의 중요 의례 행사를 위하여 설치하였던 임시 관서의 관직. 정원은 2인이었다. 품계는 3∼5품관을 차출하였는데, 보통은 홍문관의 응교ㆍ교리가 임명되었다. 그들은 도감의 실무 책임자들로서 행사의 준비와 시행을 총괄하는 구실
-
조돈 / 趙暾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1790). 1740년(영조 16)에 유학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정언을 거쳐 홍문록에 오르고, 부수찬·수찬·교리·헌납·집의를 역임하였다. 1750년에 북평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정배되었다가 부응교·사간·책례도감낭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