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홍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7)
- 채홍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7(영조 13)∼1806(순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사술(士述). 호는 기천(岐川). 보령 출생. 대제학 유후(裕後)의 5대손이며, 수윤(壽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응조(應祖)이고, 아버지...이칭별칭 사술(士述)| 기천(岐川)
- 이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세히 보고하였다. 이어 대사헌ㆍ도승지, 예조참판ㆍ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오래 동안 대사헌에 재직하면서 남인의 영수 채제공(蔡濟恭)ㆍ채홍리(蔡弘履) 등을 탄핵하기도 하였다. 1783년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에게 호를 올리는 존호도감의 제조가 되고, 그 해에 병조...이칭별칭 신경(信卿)|이갑
- 역락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치관(金致寬)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96년 8대손 필화(弼華)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대진(金岱鎭)의 서문과, 권말에 채홍리(蔡弘履)와 후손 필화가 쓴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장서각...
- 호수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서관에 있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채홍리(蔡弘履)‧박규수(朴珪壽)의 서문과 권말에 목만중(睦萬中)‧김노진(金魯鎭)‧조성교(趙性敎)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세계도(世系圖), 권2에 성관향리(姓貫鄕里)‧연보, 권3은 유고로 시 23수, 서(書) 7편,...
- 홍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못되었다는 채홍리(蔡弘履)의 탄핵으로 종중추고(從重推考) 되었으나 이듬 해 2월 이조참의에 복귀하였다. 정조 즉위 뒤 승지로 있으면서 1778년(정조 2) 명릉(明陵)의 곡장(曲墻) 봉심(奉審)을 소홀히 한 예조 당상들을 신칙(伸飭)하지 않고 패초를 청했다는 영...이칭별칭 성오(省吾)
고서·고문서(37)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851 B01685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二十四年(1800) 夏四月 정조실록_12404026_002 ○以蔡弘履爲江華府留守。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078 B07107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4年 2月 16日_012 ○以東萊府使狀啓, 傳于蔡弘履曰, 卽爲回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843 B027843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4年 11月 17日_023 ○有政。 吏批, 判書李福源牌不進, 參判鄭民始進, 參議朴祐源進, 行都承旨蔡弘履進。 以朴天衡爲掌令, 宋樂爲掌令, 林錫喆爲校理, 李顯永爲宗簿正, 鄭麟煥爲司僕主簿, 閔義爀爲喬桐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081 B028081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閏6月 21日_006 ○以備忘記, 傳于蔡弘履曰, 日昨旣諭, 大臣·三司, 若待純同, 可謂無期, 鄭妻爲先削其爵號, 減死以次律, 喬桐府安置, 此所以恐傷先王之德, 而以先王之心爲心之意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284 B028284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0年 6月 29日_016 ○蔡弘履, 以義禁府言啓曰, 京畿喬桐府投畀罪人趙明鼎, 充軍罪人趙曮特放事, 承傳啓下矣。 竝卽放送事, 分付該道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채홍리 / 蔡弘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7∼1806). 1766년 정시문과 을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정언·부응교·승지·대사간·우승지 등을 역임했다. 외직으로 나가 강원도관찰사 재직 중 흉년으로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해 선정을 펼쳤다. 1806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
호수실기 / 湖叟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정세아의 실기와 시문집. 9권 2책. 목판본. 1781년(정조 5) 6대손 일찬이 편집간행, 1874년(고종 11) 9대손 희규가 보완을 가해 중간하였다. 권두에 정범조·채홍리·박규수의 서문, 권말에 목만중·김노진·조성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