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1)
사전(53)
- 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영조 때의 승려. [내용] 호는 사암(獅巖). 송광사 행인(幸仁)의 문인이며, 도안(道安)의 5세 법손(法孫)이다.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선종과 교종의 법맥(法脈)이 분명히 전하여지지 않고 있는 점을 개탄하여, 176...이칭별칭 사암(獅巖)
- 채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안씨부인의 여종으로, 안씨부인이 김선애를 내쫓는 일에 도움을 준다. 안씨부인의 생일날 독약을 넣은 음식과 넣지 않은 음식을 두 가지로 준비한다. 이상한 기미를 눈치챈 김설애가 선애의 음식을 먹으려 하자, 안씨부인의 명으로 새로운 상을 차려 선애와설애에게 대접한다. 춘월...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자성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아사(衙舍)ㆍ공해(公廨)ㆍ군기집물(軍器什物) 등으로 되어 있다. 권말에 자성군수 김채영(金埰榮)의 지기(識記)가 있고 자성군 및 자성군수의 인기(印記)가 있다. 특기할 사항으로 향교ㆍ관소ㆍ책질ㆍ군기집물조 등은 지방교육과 군사제도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칭별칭평안북도자성군읍지부지도(平安北道慈城郡邑誌附地圖)
- 채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8(고종 5)∼? 조선 말기의 의관(醫官). [내용] 1899년 관립의학교에 입학하여 1902년 졸업과 동시에 의학교 교관‧임시위생위원이 되었다. 1904년 임시유행병예방위원, 1905년 육군3등군의로 육군연성학교(陸軍硏...
- 채영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4(철종 5)∼1908.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일명 기문(基文). 전라북도 순창 출신. 을사조약으로 국권이 상실됨을 개탄, 격분하여 1906년 순창‧태인 등지에서 수십 명의 의병을 이끌고 최익현의진(崔益鉉義陣)에 합류하여 대포...이칭별칭기문(基文)
단행본(1)
- 중한양국경쟁법비교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하록, 채영호... | 출판사 : 중국법정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2.01.분야국제 | 유형단행본본 저서는 중한 양국의 경쟁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중한 양국의 시장경제체제와 경쟁법의 발전은 물론이고 양국의 경제협력에도 큰 의미를 전해주는 책이다.
고서·고문서(181)
- 采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030_0080 采苓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乾柴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許篈, 『朝天記』 中, 갑술년 7월 12일(갑신) 『朝天記』 갑술년(1574, 선조 7) 7월 12일(갑신) 1574 乾柴嶺 雙樹鋪 寧遠衛 乾柴嶺 灰山 首山 寧遠衛 海州 女兒河출처전거『朝天記』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乾柴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卷九十五 永樂七年 八月 十五日 1번째기사 『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永樂七年 八月 十五日(1409) 1409 乾柴嶺 遇虜游兵庫本游作遊. 今所獲者為鄉導廣本抱本今作令,是也. 福銃意乘之廣本庫本銃作銳,...출처전거『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乾柴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淸實錄』 穆宗毅皇帝實錄 卷之二百九 同治六年 八月 十三日 2번째기사 『淸實錄』 穆宗毅皇帝實錄 同治六年 八月 十三日(1867) 1867 乾柴嶺 那家店 乾柴嶺 孤山 군사 ○諭軍機大臣等·都興阿奏·勦辦孤山竄匪獲勝....출처전거『淸實錄』 穆宗毅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祭榮木堂李公文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祭文 祭榮木堂李公文 祭榮木堂李公文 祭榮…公文 : ‘창중’, ‘승계’에는 ‘以下祭文三篇, 皆夷雅淸切. ○此爲先生十九歲作, 卽文錄之始也’라는 제하평이 있음. 維歲次乙亥十一月庚午朔一日庚午, 潘南朴趾源, 謹具...대표표제어祭榮木堂李公文 | 목차孔雀舘文稿○祭文
구술자료(1)
- 전라북도 장수군_모노래 곡풍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258 전북 전라북도 장수군 전라북도 장수군_모노래 곡풍 모노래 곡풍 논훔치는 소리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1989.5.31 素89-5-31A. 채영근 채영근(1921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무후렴 모노래 류 선입후제창, 또는 독창 저허사 -녹음지역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 녹음날짜1989.5.31 | 가창방식선입후제창, 또는 독창
기초학문(15)
- 해방 후 일본정부의 재일한인 귀환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영국, 게재일 : 200503646 채영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5 해방 후 일본정부의 재일한인 귀환정책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9b97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해방 직후 미귀환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영국, 게재일 : 200656216 채영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해방 직후 미귀환 재일한인의 민족교육운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어린이들의 충돌탐지능력 검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채영, 게재일 : 201352946 이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 2013 어린이들의 충돌탐지능력 검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영란, 게재일 : 201136130 채영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 경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1
-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영국, 게재일 : 200433521 채영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4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79)
- △彩玲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셰계각국 물보니 슌일 한빗치오 지나텬디 력즁에 무삼빗츨 슝상텬지 오간에한빗으로 젼국인민균일커늘 엇지야 우리한국 의복빗츨 론란니 오가 령롱야 무삼복 슝상난지 알사이바이업다 남녀가 각각이오 로소가각각이오 경향이각각이오 읍촌이각각이오 집집마다각각이오 식구...게재일1906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蔡榮植(蔡榮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蔡榮植(蔡榮植) 서울 蔡榮植 蔡榮植 鹽里町 97 복장품 - 양말(靴下) 소매 2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蔡榮植(蔡榮植)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양말(靴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강릉군 사 채영슈가 평안도 영유군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강릉군 사 채영슈가 평안도 영유군 김도현에게 밧을 돈이 잇셔 고등판소에 졍려고 올나와 졔 친구 박경식을 맛나 문밧 안동지 집에 갓더니 안동지 말이 본쟝이 업셔 월소슈업스니 공송 편지나 맛허가지고 평안도로 가거시 죠타 면목부지 림감찰이란쟈이 평양 총슌...게재일1899년 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1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11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 형태서지 佛祖源流 采永 編 朝鮮 韓國 木版本 全州 松廣寺 17...대표표제어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11 | 대표서명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 한글서명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2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26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 형태서지 祖譜 采永 編 朝鮮 韓國 木版本 全州 松廣寺 1764...대표표제어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26 | 대표서명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 한글서명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31)
- 채영기;蔡靈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98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0면 채영기;蔡靈基 제21회 193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영식;蔡英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15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2면 채영식;蔡英植 제6회 1936-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영식;蔡英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282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21면 - 채영식;蔡英植 소화8년 3월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영식;蔡榮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00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4면 1. 제12. 졸업생;31) 상과 제1회 졸업생 (조선교육령에 의한 전문학교) (1923년 3월 23일) 27인 채영식;蔡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영석;蔡永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981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100면 38. 졸업생;1) 1902년 졸업생 (19명) 채영석;蔡永錫 (원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시대 화론(畫論)의 회화미학개념 계보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임태승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9)
-
채영 / 蔡永 [역사/근대사]
1882-192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채영(蔡英)이다. 본적은 경성부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이다. 1919년 3월 13일 중국 북간도 용정(龍井)에서 최대 규모의 만세시위인 ‘조선독립축하회(朝鮮獨立祝賀會)’가 개최된 후
-
교헌문집 / 僑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채무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2년 채무적의 후손인 채영필(蔡永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채무적의 후손 채상기(蔡相基)·채규모(蔡奎模) 등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목활자본.
-
최규창 / 崔圭昌 [역사/근대사]
1908-1949. 독립운동가. 전라남도 영암 출신. 1926년 당시 광주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 장재성(張載性)·임주홍(林周弘)·정우채(鄭瑀采)·안종익(安鍾翊)·김창주(金昌柱)·왕재일(王在一)·정남균(鄭南均)·박인생(朴仁生)·김광용(金匡溶)·채영석(蔡泳錫)·김한필(金漢
-
한운용 / 韓雲用 [역사/근대사]
성하게 되자 이용(李鏞)·채영(蔡英) 등과 함께 위원이 되어 활동하였다. 같은해 7월 자유시참변을 겪고 연해주로 탈출하여, 한국의용군사회(韓國義勇軍事會)의 조직에 제3중대장으로 참여하였다. 11월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백계(白系) 러시아군의 공격을 받아 이만전투에서 제
-
교헌집 / 僑軒集 [종교·철학/유학]
채무적의 문집. 목활자본, 4권2책. 1912년 후손 채상술, 채상기, 채영필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의 권두에는 김도화 서문과 시조로부터 저자의 현손에 이르기까지 20세를 기록한 세계도가 있고, 권말에는 후손 채상기의 발문과 채규모의 시가 있다. 권1에는 시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