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채여” 에 대한 검색결과 5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2)

사전(156)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실에 의식이 있을 때 귀중품을 실어 옮기던 가마. 주로 증옥백(贈玉帛), 지석(誌石), 명기(明器), 복완(服玩) 등을 실었다. 보통 사면이 꽃무늬로 채색되어 있고 앞뒤에 들채가 있어 두 사람이 메고 운반하였다.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에 대한 기록을 보면 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도경』의 에 대한 기록에는 “는 셋인데, 하나는 조서를 봉안하고, 또 하나는 어서(御書)를 봉안하며, 앞의 한 에는 대금향구(大金香毬 : 도금한 향구로 渾天儀와 같은데, 그 가운데 3층으로 된 빗장이 끊임없이 움직인다.)를 담았다. 그 제도는 오색...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轝) (輿)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박봉주 국가 의례에서 의례용 물품을 운반하는 데 사용 목재, 쇠, 면포(綿布) 길례(吉禮), 가례(嘉禮), 흉례...
    상위어여(轝) | 동의어채여(彩輿)
  • 미무라 우네메(三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3238 인물 미무라 우네메(三村) 미무라 우네메 三村 ? ? 조선 중-후기의 쓰시마인. 삼촌채녀(三村). 『변례집요』에는 평지광(平智廣), 또는 귤지광(橘智光)으로 되어 있다. 1609년 3월에 일...
    유형분류인물
  • 요시카와 우네메(吉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178 인물 요시카와 우네메(吉川) 요시카와 우네메 吉川,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길천채녀(吉川). 평민덕(平敏德)라고도 한다. 1840년 7월부터 1846년 8월까지 97대 관수(館守)였다. ...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361)

  • 公文・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2000722014200072_002 公文・大正十五年 内閣 李王殿下薨去報告ノ件 내각 이왕전하 훙거 보고의 건 국립공문서관 本館-2A-035-08・採00021100 0048 1 문서 내각총리대신 192...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8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公文・大正九年全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2000802014200080_002 公文・大正九年全 通牒 국립공문서관 本館-2A-035-08・採00008100 0050 1 문서 궁내대신 남작 中村雄次郞 내각총리대신 原敬 1920.12.99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8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公文・大正九年全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6952016101695_002 公文・大正九年全 朝鮮銀行株券李王家ヘ御下賜ニ付李王殿下ヘ言上方通牒ノ件 조선은행 채권을 이왕가에게 하사함에 이왕전하에게 통첩하는 건 국립공문서관 採00008100 0167 1 문서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1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公文・大正十一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6962016101696_003 公文・大正十一年 宮内省 李晋殿下薨去通牒ノ件 궁내성 이진 전하 훙거 통첩 건 국립공문서관 採00011100 0168 1 문서 宮內大臣 子爵 牧野伸顯 內閣總理大臣 子爵 高...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1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公文・大正十二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6972016101697_022 公文・大正十二年 宮内省 故成久王御葬儀ニ関スル件 궁내성 고 나루히사(成久)왕 장례에 관한 건 국립공문서관 採00013100 0169 1 문서 도면 宗秩療 摠裁 侯爵 德川賴倫...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1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4)

  • 라며 늪에 빠진 말에게 데려갔다. 늑대가 늪에 빠진 말을 구해주자 말은 자기 몸의 진흙을 핥아 깨끗하게 처리한 후 먹으라고 말했다. 그렇게 하여 늑대가 말을 다시 잡아먹으려 하자 그 전에 뒷발굽 밑의 서류를 읽으라고 해서 읽으려 하다가 발에 기절을 했다. 깨어난
    국가몽골 | 제보자노로브냠 [몽골, 여, 1970년생, 이주노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저 둘. 처갓집, 작은집 이여. [조사자 : 예예] 근데 웃집에서 살림막에서 잔게 그양 칵- 열아불더니 막 왁- 쏴부렀어. 근데 이자 그거를 저 위에 일하는 사람은 알았던가벼, 그것을. 언 적에 죽일 줄 알았어. 그런게 그 사람을 꺼내다가(청중: 아 그 사람은
    조사지역전남 장성 | 조사일2012년 2월 21일
  • 도시처녀를 시골새댁으로 만든 전쟁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배제고 예전 깡통에 소독약 같은 걸 하나 던져주잖아? 그게 만병통. 화장실에 뿌려주고 채소에 주고. 그렇게 좋아. 지금 그런 약 구할래도 없어. 미군들이 약 하나 던져주고 뿌 려 놓으면 그렇게 잘 들었다고, 그 약 구할래도 없어. 아주 채소에 줘도 그만이고 뭐 어디
    조사지역강원 횡성 | 조사일2013년 8월 8일
  • “그 전향 문제는 내가 알아서 할 테니까 그만 좀 가라.” 이렇게 해가지고 욕들고 먼저 갔거든. [40] 자살기도 그래가지고 인자 그놈들한테 내가 인자 구둣발로 채이고 그 원○○ 이라고 있어요. 김○○ 이라 고 그놈이 지금 교화과장 하고 있는 놈이야. 그 가지고 내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3년 8월 1일

기초학문(1)

  • 루마니아 구비문학(口碑文學) : 용어(用語), 채록(),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중심으로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정환, 게재일 : 2002
    10062 김정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구비문학회 2002 루마니아 구비문학(口碑文學) : 용어(用語), 채록(),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중심으로_preprint https://www.krm.or.kr/krm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2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 창고회사에셔 일젼부터 가권을 담보고 돈을쥬난 거간등의 협잡난 폐단을 업시기 위야 가옥검사난 부비 사에셔 담당고 한셩부에 교셥야 가권인허난 경비 업시고 변리난 원에 일 오젼오리식 밧기로 빗엇으러오난자가 그회사 문젼에 산갓치 모인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90 1935 9 15 1 1 石室居士 短 잡지 삼천리 66호, 7권9호 29 생활문 간접자료 선집외 短, 石室居士, 鳳鳴九宵 B19350915삼천0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新螺鈿 (화려한 새로운 나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칠공예 관련
    기사명_원문彩麗新螺鈿 | 기사명_한글화려한 새로운 나전 | 부제_원문朝鮮の漆組工=共進會出品 | 부제_한글조선의 칠조공=공진회출품 | 게재일19150909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1-4
  • 故叅奉趙舞九가無子여率養南斗矣러니性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故叅奉趙舞九가無子여率養南斗矣러니性本浮浪야無賴輩符同고出沒京鄕야不過三朔에負山이라如干家産을蕩盡고不順於偏母供奉之節故로不得已罷養고玆以廣布오니 自今以後로南斗에게無論內外國人間切勿見欺시되일錢財相關시이白地見失오리니以此照亮홈 츙쥬쥬류면 김소사 고백
    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광고
  • 故叅奉趙舞九가無子여率養南斗矣러니性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故叅奉趙舞九가無子여率養南斗矣러니性本浮浪야無賴輩符同고出沒京鄕야不過三朔에負山이라如干家産을蕩盡고不順於偏母供奉之節故로不得已罷養고玆以廣布오니 自今以後로南斗에게無論內外國人間切勿見欺시되일錢財相關시이白地見失오리니以此照亮홈 츙쥬쥬류면 김소사 고백
    게재일1905년 6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9)

  • 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1500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11면 옥;玉 제주도 구우면 한림리 제5회(30명) 1925년 3월
    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 이르러 대산중(大山中) 련신려(連信侶, 우네메노무라지노노부토모)·승(僧) 지변(智辨, 치벤) 등을 보내어 객을 별관(別館)에 불러 왔다. 이에 지변이 물어 말하였다. ‘표서(表書)는 있고 아울러 헌물은 아닌가.’ 사인(使人)이 답하여 말하였다. ‘장군 첩서(...
    대표표제어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4년(甲子/신라 문무왕 4/고구려 보장왕 23/唐 高宗 麟德 1/倭 天智天皇 3)
  • 일본이 신라에 대사와 소사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려 【번역】 가을 7월 무진 초하루 신미일(4)에 쇼킨게(小錦下) 우네메노오미 지쿠라(臣竹羅)를 대사(大使)로 삼고, 다이마노키미 타테(當摩公楯)을 소사(小使)로 삼아 신라에 보냈다. 이 날 쇼킨게(小錦下) 사헤키노무라지 히로타리(佐伯連廣足)을 대사(大使)로 삼...
    대표표제어일본이 신라에 대사와 소사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1년(辛巳/신라 문무왕 21 신문왕 1/唐 永隆 2, 開耀 1/日本 天武 10)
  • 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산중(大山中) 우네메노무라지노노부토모(連信侶)·승(僧) 치벤(智辨) 등을 보내어 객을 별관(別館)에 불러 왔다. 이에 지변이 물어 말하였다. ‘표서(表書)는 있고 아울러 헌물은 아닌가.’ 사인(使人)이 답하여 말하였다. ‘장군 첩서(牒書) 1함(函)과 헌물(獻物)이...
    대표표제어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3년(癸亥/신라 문무왕 3/고구려 보장왕 22/唐 龍朔 3/倭 天智 2)
  • 신라가 보낸 조사(弔使)가 왜에서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는 국인의 말을 익히지 못하여 무방산을 우니미(宇泥咩)라고 잘못 말하고, 이성산을 미미(彌彌)라고 잘못 말한 것뿐이었다. 때에 왜사부(倭飼部)가 신라인을 따라가다가 이 말을 듣고 의심하여 생각하기를 신라인이 채녀()와 통하였다고 생각하였다. 돌아와서 대박뢰(大泊瀨)...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조사(弔使)가 왜에서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53년(癸巳/신라 눌지마립간 37/고구려 장수왕 41/백제 비유왕 27/劉宋 元嘉 30/倭 允恭 42)

연구과제(1)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

  • / [생활/주생활]

    왕실에 의식이 있을 때 귀중품을 실어 옮기던 가마. <고려사절요>의 에 대한 기록을 보면 요여와 를 분간하여 사용하는 일은 예전에는 일정한 규례가 없어 의주와 등록에 서로 다른 곳이 많지만, 옥책은 요여에 싣고 금보는 에 싣는 것이 근래의 관례가 되어 왔

  • 만제록 / 輓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4.7×13.7cm이다. 표제는 만제록(輓)이다. 만사(輓詞)를 기록한 책으로 ‘己亥十二月十七日葬詩輓祭集’으로 본문이 시작된다.

  • 유의칭가자 / 遺衣稱架子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에 사용되는 가마. 국왕이나 왕비의 부장품을 실은 가마는 소궤, 자기궤, 악기궤표신궤, 변두궤연갑함, 유의칭가자, 복완함궤장궤, 증옥증백구의명정함, 애책 등이다. 이 중 유의칭가자는 국왕이나 왕비가 평상시 입던 옷을 실은 가마

  • 옥보 / 玉寶 [정치·법제]

    임금이나 왕후 등의 추상 존호, 시호, 등의 글자를 새긴 도장. 대개 전자로 새겼다. 종묘에 부묘할 때 이러한 옥보를 옥책과 함께 책보요여와 책보 등을 이용하여 옮겼다.

  • 고송집 / 孤松集 [종교·철학/유학]

    山逢寒食)」 3수는 16세 때 지은 것으로서 시상과 시관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제여헌장선생문(軒張先生文)」은 장현광(張顯光)이 죽은 것을 애도하여 지은 제문으로서, 그가 학계와 국가에 이바지한 공적을 높이 치하하고 이황(李滉)의 뒤를 이어 우리나라의 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