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78)
사전(270)
- 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集 海東雜錄 燃藜室記述 나재 채수 신도비 1449(세종 31)∼1515(중종10). 조선 중기의 문신끑償?반정공신. 남재수의 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경북 상주시 이안면 이...이칭별칭 기지(耆之)| 나재(懶齋)| 양정(襄靖)
- 채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내한으로 서 포쇄별감이 되어 전주에 가 사책을 포쇄하는 임무를 받고 여러 고을에 이문하여 기녀를 빈관에 들이지 말라는 명을 내린다. 전주에 이르러 달포나 비가 와 사고를 열지 못하고 유련하자 무료함을 이기지 못한다. 이를 딱히 여긴 부윤의 명을 받은 판관이 어리고 예쁜...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蔡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053 蔡壽 인물 甲科, 文名, 淸顯, 賜暇讀書, 檢束, 參判 仁州 耆之, 懶齋, 我睿宗, 曹偉, 權健 D_17_04_56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5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5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채수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0∼1955.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영변 출신. 흥사단(興士團) 단원으로 농우회(農友會)를 중심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으로 확산된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인 독서회(讀書會)를 통하여 ...
- 채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7(순조 17). 조선 후기의 역모자. [내용] 1817년 매약상(賣藥商)ㆍ행상(行商) 등을 칭하며 동조자를 규합, 조직을 이루어 유언비어를 퍼뜨리면서 김계호(金啓浩)ㆍ안유겸(安有謙)ㆍ박충준(朴忠俊)ㆍ신성문(申盛文) 등과 함께 전...
단행본(2)
- 베트남: 한인의 베트남 정착과 초국적 삶의 정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저자 : 채수홍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11112이 저서는 한인의 베트남 정착의 역사를 시기별로 살펴보면서 한인의 사회경제적 성격이 형성되고 변화해 온 과정과 한인-베트남인과의 관계가 갖는 문화정치(cultural politics)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우선 베트남에 한인이 급증한 배경으로서 한...
-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저자 : 김홍구, 김지훈, 채수홍, 홍석준, 엄은희, 김동엽, 이요한, 김희숙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20520오늘날 동남아 지역은 한국 사회에 밀접하게 다가와 있다. 동남아는 한국에 무역 규모로는 중국에 이어 2위, 투자처로는 미국에 이어 2위, 해외 건설 공사처로는 1위, 노동 인력 교류처로는 중국에 이어 2위, 관광지로는 1위, 그리고 한류 파급력으로는 일본과 중국에 이어...
고서·고문서(798)
- 采菽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020_0080 采菽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祭需物目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37 1667_01 祭需物目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치부기록류, 치부류, 물목 한자 고문서 SL123.JPG 祭需物目 祭需物目 姜某 未詳 壬寅年 5월 20일 1매 이시...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祭需單子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08 2416_01 祭需單子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치부기록류, 물목, 단자 한자 고문서 CHW087.JPG 祭需單子 單子 미상 미상 미상 28 39 1 최흥원...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祭需單子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009 2416_02 祭需單子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최흥원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치부기록류, 물목, 단자 한자 고문서 CHW087.hwp 書堂旣成之後 先生忌墓祀祭需當自本所封上 故谷品條數玆爲定式 忌祀 白米肆斗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제수 발기(祭需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구술자료(6)
- 정유진 적벽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번 머물러 낙후패졸(落後敗卒) 영솔(領率)하여 한 곳을 당도하니, 적적산중(寂寂山中) 송림간(松林間)에 소리 없이 키 큰 장수 노목(怒目)을 질시(嫉視)하고, 채수염 점잖으니, 엄연(嚴然)히 서 있거늘, 조조 보고 대경(大驚)질색하여, “아이코 여봐라, 정욱아! 저 앞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유진
- 정유진 적벽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번 머물러 낙후패졸(落後敗卒) 영솔(領率)하여 한 곳을 당도하니, 적적산중(寂寂山中) 송림간(松林間)에 소리 없이 키 큰 장수 노목(怒目)을 질시(嫉視)하고, 채수염 점잖으니, 엄연(嚴然)히 서 있거늘, 조조 보고 대경(大驚)질색하여, “아이코 여봐라, 정욱아! 저 앞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배기용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홍행(碧桃紅杏) 춘이월(春二月) 주린 구복(口腹)을 채우려고 이리저리 히댈 적에, 골골이 묻은 것은 목다래 엄착귀요, 봉봉이 섰난 것은 매 받은 응주(鷹主)라. 목다래 채거드면 결항치사(結項致死)가 대랑대랑, 제수(祭需) 괴기가 될 것이요. 몰이꾼, 사냥개, 반중송,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홍행(碧桃紅杏) 춘이월(春二月) 주린 구복(口腹)을 채우려고 이리저리 히댈 적에, 골골이 묻은 것은 목다래 엄착귀요, 봉봉이 섰난 것은 매 받은 응주(鷹主)라. 목다래 채거드면 결항치사(結項致死)가 대랑대랑, 제수(祭需) 괴기가 될 것이요. 몰이꾼, 사냥개, 반중송,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보고 들은 전쟁을 전하다(1)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그래 정 씨들 더 피해를 더 봐 버렸어.그 놈한테.] [청 중: 아랫마을 집안인가 보구만.] 채수 씨 집안이여. [청중: 누구요?] 채수씨 집안. [청중: 채수씨? 그라믄 반대집 집안인네.] [청중: 그란디 결국에 이 놈이 서울서 뚜드려 맞아 죽었어.] 그란디 그것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1차)
기초학문(16)
- 우리 기업들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 부채수준, 투자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함시창, 게재일 : 200300208 함시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제연구학회 2003 우리 기업들의 소유구조와 기업가치, 부채수준, 투자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현대 일본인의 문화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채수, 게재일 : 200110947 김채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 2001 현대 일본인의 문화의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일본의 우익과 아시아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채수, 게재일 : 200630798 김채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일본의 우익과 아시아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근대 일본에 있어서 아시아연대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수도, 게재일 : 200633275 채수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어문학회 2006 근대 일본에 있어서 아시아연대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근대 일본의 지역평화사조(地域平和思潮)에 대한 고찰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수도, 게재일 : 200633427 채수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06 근대 일본의 지역평화사조(地域平和思潮)에 대한 고찰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55)
- 蔡守極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졔쥬민요 건에 야 법공가 손금을 쳥말은 루 긔 엿거니와 그 대졍군슈 귀셕씨가 면관이되여 평리원에 피슈엿더니 판즉 군슈가 민요건에 여 소범이 업는고로 방면즉 법공가 론박되 군슈를 긔어히 죠률라야 평리원에셔 착슈엿는데 지금 ...게재일1903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蔡洙光(人力車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蔡洙光(人力車 ) 수원 蔡洙光 人力車 本町 1町目 6 - - 인력거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蔡洙光(人力車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인력거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蔡洙光(本町食料品店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蔡洙光(本町食料品店 ) 수원 蔡洙光 本町食料品店 本町 1町目 6 - - 식료품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蔡洙光(本町食料品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식료품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前主事蔡貞珍改名洙康字寧汝知舊照亮 蔡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前主事蔡貞珍改名洙康字寧汝知舊照亮 蔡洙康 告白게재일1902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族人景熙가性本悖類로放蕩酒色야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族人景熙가性本悖類로放蕩酒色야得債數千兩於京人고將欲勒徵於本人오니內外國人은切勿見欺 唐津下大面大村里居 孫五鉉告白게재일1903년 4월 7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31)
- 채수익;蔡洙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6457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63-1면 채수익;蔡洙益 제14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흥;蔡洙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605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5면 ㅁ1. 신입회원;ㅁ1) 1학년 채수흥;蔡洙興 경기 포천군 군내면 직두리 346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강;蔡洙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강습과(舊사범과와 동일한 과정에 의한) 졸업자 채수강;蔡洙崗 (현주소)충남 보령군 藍浦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방;蔡洙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120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7면 2. 제15회 졸업증서교부자명부 채수방;蔡洙芳 1927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창;蔡洙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8608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36-1943) n.r. 51면 채수창;蔡洙昌 충남 25회(連37回) 1939년 3월 4일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홍구 | 한국동남아연구소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0)
-
채수 / 蔡壽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15(중종10). 조선 중기의 문신·중종반정공신. 영의 증손, 할아버지는 윤, 아버지는 신보이다. 어머니는 유승순의 딸이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 1469년(예종 1)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70년(성종
-
채수반 / 蔡洙般 [역사/근대사]
1900-195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영변 출신. 흥사단(興士團) 단원으로 농우회(農友會)를 중심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으로 확산된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인 독서회(讀書會)를 통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1920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
나재채수신도비 / 懶齋蔡壽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인 나재 채수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1998년 8월 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높이는 360㎝이다. 이수는 화강암을 높이 6
-
각궁방제수별록 / 各宮房祭需別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각 궁방에서 소요되는 제수의 일부를 국가가 지원한 내용을 수록한 정책서. 1책 33장. 필사본. 편자나 편간연대는 미상이다.표지 및 권두서명에 ‘광서(光緖) 18년 임진조’라는 두주(頭註)가 있는 것으로 보아 1892년(고종 29)분에 한하여 수록한 것으로 보
-
웅연서원 / 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었던 서원. 1795년(정조 19)에 인천채씨 4현을 모신 웅연세덕사로 창건되어 채귀하(蔡貴河), 채수(蔡壽, 1449∼1515), 채소권(蔡紹權, 1480∼1548), 채득소(蔡得泝)를 제향하던 서원이다. 1798년(정조 22)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