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선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채선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8(선조 1)∼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경중(敬仲). 호는 달서재(達西齋). 대구 출신. 아버지는 응원(應黿)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훈도(訓導) 사공(士恭)의 딸이다...이칭별칭 경중(敬仲)| 달서재(達西齋)
- 달서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의병 채선수(蔡先修)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21년 성산(城山)에서 7세손 정규(廷奎)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홍경(鄭鴻慶)의 서문과 권말에 김유헌(金裕憲)ㆍ목태석(睦台錫), 8세손 도(濤),...
고서·고문서(3)
- 書李邦翼事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戌向巽辰. 至天明, 俱可望見澎湖西嶼頭. 由澎湖至臺灣, 俱向巽而行, 薄暮可望見. 澎湖初無水田可種, 但以採捕爲生, 或治圃以自給, 今貿易輻輳, 漸成樂土. 邦翼奏曰: “八人同乘彩船, 行五里許, 詣馬宮衙門, 沿江彩船數百艘, 江邊畵閣, 卽衙門也. 門內高唱三聲, 導入八人. 馬宮大人...대표표제어書李邦翼事 | 목차燕巖集 卷之六○別集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장이다. 達西齋蔡公行狀 (23) 蔡先修(字: 敬仲, 號: 達西齋, 1568∼1634)의 행장이다. 通訓大夫行司諫院正言鄭公行狀 (26) 鄭宅東(字: 日之, 1737∼1813)의 행장이다. 內兄灑埽齋趙公行狀 (30) 趙南洙(字: 士休, 號: 灑埽齋, 1744∼1...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논변을 글로 엮었으나 화재로 인해 전하지 않고, 시문 약간편이 집에 소장되어 있다. 達西齋蔡公行狀 23 達西齋蔡先修(1568∼1634)의 행장이다. 자는 敬仲, 본관은 仁川, 거주지는 達城이다. 증조는 胤周, 조부는 柳亭澄, 부친은 應黿, 모친은 安東權氏로, 4세에...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채선수 / 蔡先修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응원, 어머니는 권사공의 딸이다. 큰아버지 응룡에게 입양, 천성이 영민하고 효우가 지극하였다. 장현광과 정구에게 수학하였다. 정유재란 때 곽재우가 화왕성을 지키고 있을 때에는 그의 휘하에 들어가 여
-
달서재문집 / 達西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의병 채선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1912년 성산(城山)에서 7세손 정규(廷奎)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홍경(鄭鴻慶)의 서문과 권말에 김유헌(金裕憲)·목태석(睦台錫), 8세손 도(濤), 노상직(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