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무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20)
- 채무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인천(仁川). 초명은 무역(無斁). 자는 언성(彦誠). 신보(申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연(年)이고, 아버지는 준(俊)이며, 어머니는 김여영(金麗英)의 딸이다. [내...이칭별칭 언성(彦誠)|무역(無?)
- 양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도 하였다. 1536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으며, 1537년 대사헌으로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켰다. 그 뒤 좌승지ㆍ병조판서ㆍ이조판서ㆍ우찬성ㆍ좌찬성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이칭별칭 거원(巨源)| 설옹(雪翁)
- 임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폐정을 논박하다가 대사간 심언광(沈彦光)의 모함으로 파직되어 예산으로 퇴거하였다. 1537년 김안로ㆍ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 등이 제거되자 봉상시부정을 거쳐 예조참의로 중용되었다. 1539년 동지사로 주청사인 권벌(權橃)과 함께 명나라에 가서 종계(宗系)...이칭별칭 사경(士經)| 정곡(靜谷)| 정헌(貞憲)
- 허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31년 정언이 되고 그뒤 부교리‧지평‧사인‧부응교‧전한‧부제학‧동부승지를 거쳐, 벼슬이 대사헌에까지 이르렀다. 김안로(金安老)가 재집권하자 채무택(蔡無擇)과 함께 김안로를 도와 반대파를 몰아내고 정권을 농단하였다. ...이칭별칭 청중(淸仲)
- 채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직당하고 도성에서 쫓겨났다. 정유삼흉(丁酉三兇)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는 채무택(蔡無擇)의 당숙이다.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혼원(混源)| 규정(葵亭)
고서·고문서(2)
-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박세후를 삭탈관직하여 추고한 일을 말한다.(중종실록 31년 5월 15일) 박세후는 채무택의 처남인데, 채무택이 김안로에게 붙는 것을 미워하여 자주 그가 옳지 않음을 말하자, 채무택이 몰래 그 무리와 함께 박세후의 죄를 조작하여 박세후를 몰아낸 것이다. ○선비(...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서연(書筵)왕세자를 위한 교육과 조강(朝講)이 있어서 새벽에 일어나 예궐(詣闕)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城上所)의 소임을 하러 예궐(詣闕)했다. 사헌부 지평 채락(蔡洛) 채락(蔡洛) : 1528년(중종 23)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지평 등의 벼슬을 거쳤다. 나중에 金安老의 당여로 지목되어 바로 삭직당하고 도성에서 쫓겨났다. 蔡無擇의 당숙이다.이 뒤이어 도착해서 함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2)
-
채무택 / 蔡無擇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신보의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준, 어머니는 김여영의 딸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부교리·장령·응교 등을 거쳐 1535년 대사간, 그리고 이듬해 부제학이 되었다. 김안로·허항과 함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琦 有氣屎爲尼(히 ᄒᆞ니)/ 權輗刀(도) 憎汝羅古(믜워라고) 蔡無擇刀(도) 邪慝多爲件亇隱(다 ᄒᆞ건만)/ 任樞 大醉爲也(ᄒᆞ야) 沈彦光 發狂爲尼(ᄒᆞ니)/ 金安老 羅毛老奴(나 모로네)” 4음보 율격의 전 9행(16구) 구성이며, 시상은 ‘(1) 정광필의 절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