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무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채무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00(연산군 6)∼1554(명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거인(居仁). 호는 교헌(僑軒). 아버지는 진사 윤권(胤權)이다. [내용]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합격하...이칭별칭 거인(居仁)| 교헌(僑軒)
- 교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채무적(蔡無敵)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2년 채무적의 후손인 채영필(蔡永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채무적의 후손 채상기(蔡相基)‧채규모(蔡奎模) 등의 발문이 있다. ...
고서·고문서(4)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양(河陽)의 군택(君擇)이 편지를 보내 문안했다. ○함창(咸昌)상주 지역의 옛 지명 사람 채무적(蔡無敵) 채무적(蔡無敵, 1500~1554) : 본관은 仁川이다. 장악원주부와 무주현감을 지냈다. 1552년(명종 7)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律管을 校正했다. 書畵‧音律‧...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天澤)이 올라가 만났다. 과녁을 설치하고 술을 차렸으며, 나는 판관과 대적하여 활쏘기를 했는데 힘이 부쳐 맞히지 못했다. 채무적(蔡無敵)‧윤화(尹和)‧류열(柳說) 등이 함께 모여 모두 술을 마셨다. 천택은 배정경(裵正卿)이 권하는 술을 마시더니 취해 거꾸러져서 노(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46_355_077 1546년3월 ○같은 집에 머물렀다 1546년 3월 18일 을해, 맑음. ○같은 집에 머물렀다. 고약을 먹었다. 하혈은 심해졌지만 배가 당기듯 아픈 것은 줄었다. ○아침에 신례(申禮)와 채무적(蔡無敵)이 내방했다가, 바로 갔다.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신야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後配는 剛州閔氏로 僉知 覺의 딸이다. 자식은 전후배위의 소산을 합쳐 3남 4녀이다. 僑軒蔡公行狀 8 僑軒 蔡無敵1500(연산군 6)~1554(명종 9)의 행장이다. 자는 居仁이고 본관은 인천이다. 아버지는 참봉 胤權이고 어머니는 富林君 湜의 딸이다. 1528년 式年試...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채무적 / 蔡無敵 [종교·철학/유학]
1500(연산군 6)∼1554(명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윤권.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합격, 1533년 장악원주부, 1535년 종부시주부, 연천현감이 되었다. 1546년(명종 1) 서부주부, 1548년 사섬시의 주부가 되었다가 1550년 무주현
-
교헌문집 / 僑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채무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2년 채무적의 후손인 채영필(蔡永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채무적의 후손 채상기(蔡相基)·채규모(蔡奎模) 등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목활자본.
-
교헌집 / 僑軒集 [종교·철학/유학]
채무적의 문집. 목활자본, 4권2책. 1912년 후손 채상술, 채상기, 채영필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의 권두에는 김도화 서문과 시조로부터 저자의 현손에 이르기까지 20세를 기록한 세계도가 있고, 권말에는 후손 채상기의 발문과 채규모의 시가 있다. 권1에는 시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