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창절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있다. 『태학지(太學志)』 『전고대방(典故大方)』 『서원등록(書院謄錄)』 『강원도지(江原道誌)』(강원도지편찬위원회, 1959) ...
  • 창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서원에는 2층 누문(樓門)인 배견루(拜鵑樓)가 정문으로 되어 있고, 그 안에 “”이라 현액(懸額)된 강당이 있으며, 그 뒷쪽으로 내삼문을 거쳐 들어가면 창절사와 동ㆍ서무(東‧西廡)가 있다. 내삼문에는 예전의 ‘...
    연계항목창절사(彰節祠)
  • 사원제처제액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錦江亭)‧배견루(拜鵑樓)‧창절사(彰節祠)‧()은 1791년(정조 15) 윤사국(尹師國)이 쓴 것이며, 나머지 육신사(六身祠)‧상의재(尙義齋)‧구인재(求仁齋)는 1791년 박기정(朴基正)이 쓴 것이다. 윤사국의 글씨는 천부적이어서 청고함을 느낄...
  • 박팽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거둬 이곳 강남(노량진) 기슭에 묻었으며, 무덤 앞에 돌을 세우되 감히 이름을 쓰지 못하고 그저 ‘아무개 성의 묘’라고만 새겨놓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이 묘역은 1978년 사육신공원으로 단장되었으며, 장릉(莊陵)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다. 또한 영월 ...
    이칭별칭 인수(仁?)| 취금헌(醉琴軒)| 충정(忠正)
  • 영월군(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종비각, , 보덕사, 금몽암, 엄흥도정려각, 박충원정려각, 금강공원선정비군, 김현석군수청덕비각, 신영숙효자각, 김지룡효자각, 경주이씨효부각, 엄윤효자각, 온양박씨열녀각, 엄민도효자각, 방절리지석묘, 최순준 처 정씨 효부문, 유용식효자각, 왕검성, 영월향교, 민...

고서·고문서(3)

  • 書院、忠州忠烈祠。 全羅道: 泰仁武城書院、光州褒忠祠、長城筆巖書院、慶尙道: 慶州西嶽書院、善山金烏書院、咸陽藍溪書院、禮安陶山書院、尙州玉洞書院、安東屛山書院、順興紹修書院、玄風道峰書院、慶州、玉山書院、尙州興巖書院、東萊忠烈祠、晉州彰烈祠、固城忠烈祠、居昌褒忠祠。 江原道: 寧越、鐵原...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불천위의 은전을 베풀어 오래도록 추모하라는 교지가 함께 실려 있다. 附彰節祠事實錄抄 18 창절사의 事實을 여러 문헌에서 뽑아 모은 것이다. 여러 문헌은 朴泰輔의 『定齋集』, 權尙夏의『寒水齋集』, 『魯湖志』, 『國朝寶鑑』, 「謄錄」, 『莊陵誌』, 『寧越府志』...
    분야문학 | 유형문헌
  • (祥鎬)共賦, 次聽 堂新居韻(幷小序), 隣社與權仲剛(健淵)共話, 姜馨秀雙巖精廬寄題, 小滿契會次座中韻, 川 坪德兼(敎仁)寓舍與金源仲(澤鎭)謹夫(思 鎭)共賦, 高頭巖對敬三, 錦江亭, 落花巖, 淸泠 浦, 莊陵懷古, 拜鵑亭, , 子規樓, 宿寧 越邑嚴在鎬家, 義林池, 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 [교육/교육]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 장릉(莊陵: 단종의 능)을 개수하면서 감사 홍만종(洪萬鍾)과 군수 조이한(趙爾翰)이 도내에 통문을 돌려 기금을 모아,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

  • 민충사 / 愍忠祠 [예술·체육/건축]

    사(愍忠祠)라는 사액을 내렸다. 1758년(영조 34) ()을 보수할 때 사우를 중건, 1791년(정조 15)에 다시 개축하였다.

  • 박팽년 / 朴彭年 [종교·철학/유학]

    왕위를 잃게 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대의를 위해 눈앞에 기약된 영화와 세조의 회유책을 감연히 거절하고 죽음과 멸문의 길을 서슴없이 걸어왔으니, 이와 같은 높은 절의는 오늘날까지 온 국민의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월 등 여러 곳에 제향되었다.

  • 증참판엄공시문 사제제문 / 贈參判嚴公施門 賜祭祭文 [문학/고전산문]

    제문.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이 세조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788년(정조 12)에 과 엄공의 정문(旌門)을 중수하였는데, 서원 건물이 완성된 뒤 예전에 내려준 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