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창신교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3)
- 창신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무신의 종5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여져『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무산계
- 현신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5품에 해당하...
- 종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그리고 종친계는 1443년(세종 25)에 비로소 상‧하계로 근절랑(謹節郎)과 신절랑(愼節郎)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1865년(고종 2)부터 종친계도 문산계와 무산계의 품계명을 그대로 사용...
- 정국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6(중종 2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진양(晋陽). 자는 숙거(叔擧), 호는 복재(復齋). 창신교위(彰信校尉) 극공(克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의부위(修義副尉) 변(蕃)이고, 아버지는 증좌...이칭별칭 숙거(叔擧)| 복재(復齋)
- 부사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5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라 별칭되었다. 태종 초에는 섭사직(攝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부사직으로 개칭되어...이칭별칭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섭사직(攝司直)
고서·고문서(13)
- 1476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병조가 1476년 7월 1일에 성종의 명을 받아 동년 9월 14일에 정옥견의 품계를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8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8년 3월 18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에 따라 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6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병조가 1476년 7월 1일에 성종의 명을 받아 동년 9월 14일에 정옥견의 품계를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8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8년 3월 18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에 따라 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창신교위로 올려주었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11년 황정직(黃廷稷)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1년 6월에 병조에서 무신겸선전관황정직의 품계를 정5품 창신교위에서 정5품 충의교위로 올려주는 교첩이다. 교첩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문무관원을 임명할 때 발급하던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주제어사전(3)
-
창신교위 / 彰信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종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현신교위 / 顯信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좌권독·우권독·부사직·현령 등이
-
종오품 / 從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봉훈랑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