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참하관” 에 대한 검색결과 2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0)

사전(19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무산계(文武散階)에서 정7품(正七品) 무공랑(務功郎)‧적순부위(迪順副尉) 이하의 문무잡관직(文武雜官職)의 통칭. [내용] 참외관(參外官)이라고도 하며, 조회(朝會)에는 참여하지 못하였다. 의 관계(官階)는 단계(單...
    이칭별칭참외관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외(參外), 참외관(參外官), 참하(參下) 참상관(參上官) 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남지대 [정의] 조계(朝啓)에 참석할 수 없는 7품 이하의 관원. [개...
    동의어참외(參外), 참외관(參外官), 참하(參下) | 관련어참상관(參上官)
  • 당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들의 한품(限品)을 당하관에 한정시켰다. 이들은 당상관과는 달리 근무일수에 따라 승진하는 순자법(循資法)의 적용을 받았는데, ()은 매 자급(資級)마다 근무일수(任滿期日)가 450일, 참상관(參上官)은 900일이 되어야만 가자(加資)될 수 있었다. ...
  • 승륙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7품 이하 관리가 6품으로 올라감. 6품 이상을 참상관(參上官), 7품 이하를 ()라고 한다. 6품 이상이 되어야 임금에게 정무를 보고하는 상참(常參)에 참석할 수 있고, 지방 수령으로 부임할 수 있었다. 陞六之命 至今廢閣 亦豈非蔭塗中一寃耶, 이병연(李秉淵...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정록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성균관의 부속건물. [내용] 성균관의 ()이 입직하여 중요한 시정(時政)을 기록하던 곳이다. 이 곳에서 기록된 문건은 현책(玄冊)이라 부르며 독(櫝) 안에 비장하고 그 출납을 금하였다. 명륜당(明倫堂)의 동쪽에 남향으로 자리잡...

고서·고문서(15)

  • 4516 B00451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5年 8月 12日_003 ○吏曹啓曰, 江都扈從蔭官賞加事, 因臺啓, 議大臣處置事, 命下矣。 海昌君尹昉, 左議政申欽, 右議政吳允謙之議, 皆以爲, 次次陞敍, 蔭官金玉之加別施他賞, 恐或無妨云矣, 大臣意如此, 伏...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95년 정경세(鄭經世)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수의 차이가 있어 정 7품 이하인 ()은 450일을, 종6품 이상인 참상관(參上官)은 900일을 복무하여야 했다. 또 고관인 정 3품 이상의 당상관(堂上官)은 이 규정에 있어 예외였다. 그 밖에도 특혜적인 승진조치도 많았다. 임진왜란과 같은 전란에서 군공을...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869년 이봉덕(李鳳德) 고신(告身)3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9년(고종6)정월에 이조(吏曺)에서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이봉덕(李鳳德)을 무공랑(務功郞) 행의정부사록(行議政府司錄)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고신(告身)이다. 무공랑은 종7품의 문관 품계이며, 사록은 의정부의 정8품 관직이다. 이봉덕은 정7품의 품...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816년 이원조(李源祚)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의 하급 관원은 상급 관원에 결원이 생기면 근무 일수에 상관없이 승진하며 인사이동시 을 6품으로 승진시킬 수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3587 B003587 강도 江都 정치행정 仁祖實錄 五年(1627) 八月 인조실록_10508009_001 ○壬寅 / 吏曹啓曰: “君尹昉、左議政申欽、右議政吳允謙以爲: “江都扈從人酬勞之典, 臣等曾已收議, 而兩司之論, 實出於愼賞之意。 次次陞敍則似當, 蔭官金玉之加, 物...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吏의减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일 대황뎨 폐하 직위압시례식에 관진하 쳐소가협착으로 쥬임관이상만 진참게 마련얏거니와 통감부에셔 일본관리에게야 쥬임 등이상인만 참여기로 결뎡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무산계에서 정7품 무공랑·적순부위 이하의 문무잡관직의 통칭. 은 중앙과 지방의 각종 실무를 담당하는 하급관리로서 양반과 비양반 사이에는 많은 차별이 있었다. 양반은 근무일수가 짧고 과거·음서·특지 등에 의하여 승진이 빨랐다. 반면 비양반

  • 박문익임명문서 / 朴文益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2월 6일. 박문익(朴文益)을 숭덕전 참봉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참봉직은 조선시대의 원, 능전을 비롯한 많은 관서에 속해 있었던 최말단직 품관으로 조선시대의 경우 7품에서 9품직에 해당한다.

  • 적순부위 / 迪順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7품 품계명. 부위계(副尉階)의 상한이다. 1392년(태조 1) 7월 조선건국 직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돈용부위(敦勇副尉)라고 하였다가, 1466년(세조 12)에 적순부위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적순부위 이하를 이라 하였다.

  • 공사관 / 公事官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의정부에 신설된 종6품 관직. 1865년 비변사를 의정부에 통합하면서 비변사의 낭청 12인을 1인 감하여 의정부의 관직으로 개편한 것이다. 이들 가운데 문관 2인은 시종신 중에서 임명하였으며, 무관 9인 중 5인은 참상관으로, 4인은 으로 임명하였다.

  • 수직관 / 守直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기로소에 소속된 문신 (특히 정7품)의 겸직. 정원은 2인이다. 근무일수가 900일이 차면 종6품에 승자되었다. 그리고 직제상 기로소에 소속되기는 하나 그 기능은 기로들에 관련된 예우를 담당한 비서장(祕書長)·전무관(典務官)·녹사(錄事)와는 달리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