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참찬” 에 대한 검색결과 2,4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64)

사전(1,3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의정부의 정2품관직인 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전년부터 실시된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로 의정부기능의 약화와 관련된 관제개편으로 의정부찬성사(종2품, 2인)가 좌우으로 분리되어 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amchan | MR표기ch’amch’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재(三宰) 의정부(議政府), 찬성(贊成) 우(右), 좌(左), 사(事) 동판부사(同判府事), 재상(宰相), 정경(正卿), 문하부사(門下府事)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조선
    상위어의정부(議政府), 찬성(贊成) | 동의어우참찬(右參贊), 좌참찬(左參贊), 참찬사(參贊事) | 관련어동판부사(同判府事), 재상(宰相), 정경(正卿),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좌찬성‧우찬성‧좌과 함께 3의정을 보좌하고 대소의 국정에 참여하였다. 우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로 개편되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고서·고문서(924)

신문·잡지(110)

  • 拘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작일 오후륙시에 경무고문보좌관과 슌샤와 별슌검 이 리상씨 경무쳥으로착치야 대강심문고 곳 감옥셔로 이슈얏데 리도 리셰직건에 간연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決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졍부 리상씨 평리원에셔 방츌후로 지우금 졍부에 진치안이고 직기로 결심야 졍부 참졍이하 각관리가 모다 루루히 출공기 권면되 고집을쳥고 직상소 봉뎡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任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졍부 리상씨 그간 횡리지으로 슈월 톄옥얏다가 무몽방후 일에 졍부톄면을 욕되게얏다고 진치 안이더니 작일밤에갈니고 그에 외국쟝 한창슈씨가 피임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內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에 피착 리상씨 면관기로고 그 리원긍씨로 뎡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有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졍부 리상셜씨 소톄에 리상씨가 피임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44-1. 별첨 1―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이 황제께 상주한 보고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부대신 S.F.M. 임선준으로부터 다음의 공문을 받았습니다. 그 내용은 몇몇 지역, 특히 연천(漣川) 지역에서 전 의정부 허위(許蔿)가 괴수가 되어 700명 이상의 폭도들을 이끌고 고을들을 약탈하여, 이로 인해 백성들이 슬프게도 비통한 절망에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
    집필자이완용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10월 18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육조직계제로 의정부기능의 약화와 관련된 관제개편으로 의정부찬성사(종2품, 2인)가 좌우으로 분리되어 그 중 우이 개칭되면서 성립되었다. 그 뒤 12월에는 정원이 2인으로 증가되었다. 189

  • / 右 [정치·법제/법제·행정]

    부사를 좌·우참판으로 구분, 우이 되었고, 1415년 1월 이 되었다. 1437년(세종 19) 10월 의정부서사제 부활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 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문하부사에서 비롯되었다. 1414년의 좌은 1433년에 종1품의 찬성으로, 1437년에는 좌·우찬성으로 개칭, 1414년의 우이 얼마 뒤 좌·우

  • 송병선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동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6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

  • 송병선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우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3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