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참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64)
사전(1,328)
- 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의정부의 정2품관직인 참찬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전년부터 실시된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로 의정부기능의 약화와 관련된 관제개편으로 의정부찬성사(종2품, 2인)가 좌우참찬으로 분리되어 그
- 참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amchan | MR표기ch’amch’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참찬(參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참찬 참찬 參贊 삼재(三宰) 의정부(議政府), 찬성(贊成) 우참찬(右參贊), 좌참찬(左參贊), 참찬사(參贊事) 동판부사(同判府事), 재상(宰相), 정경(正卿),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조선상위어의정부(議政府), 찬성(贊成) | 동의어우참찬(右參贊), 좌참찬(左參贊), 참찬사(參贊事) | 관련어동판부사(同判府事), 재상(宰相), 정경(正卿),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 우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좌찬성‧우찬성‧좌참찬과 함께 3의정을 보좌하고 대소의 국정에 참여하였다. 우참찬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로 개편되면...
- 이참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 주미조선공사관 참찬관 알렌(Horace N. Allen)의 활동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저자 : 김희연 | 게재정보 : 이화사학연구
고서·고문서(924)
- 삼원참찬연수서(三元參贊延壽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미타참찬요(彌陀懺撰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증보참찬비전천기대요(增補參贊秘傳天機大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민간신앙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代(白參贊)【(仁傑)】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七 疏箚 五 17 代(白參贊)【(仁傑)】疏 07_121_021.jpg 代(白參贊)【(仁傑)】疏 伏以臣以無狀, 受恩四朝, 退老田野, 寵賚滋重。 臣誠感激, 無路報效, 思欲一瞻天光, 粗酬宿願。 然後還仆溝壑, 死亦瞑目。 故日者, 作氣趨朝, 一侍經幄, 老耄...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左參贊(趙公)神道碑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神道碑銘 16 左參贊(趙公)神道碑銘 17_071_017.jpg 左參贊(趙公)神道碑銘 公諱彦秀, 字伯高 伯高: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공란으로 비워져 있음., 漢山人。 遠祖諱岑, 仕麗朝, 官至判中樞院事。 判樞之曾孫曰文剛公諱末生, 大爲英...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110)
- 參贊拘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삼작일 오후륙시에 경무고문보좌관과 슌샤와 별슌검 이참찬 리상씨 경무쳥으로착치야 대강심문고 곳 감옥셔로 이슈얏데 리참찬도 리셰직건에 간연이라더라게재일1906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叅贊決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참찬 리상씨 평리원에셔 방츌후로 지우금 졍부에 진치안이고 직기로 결심야 졍부 참졍이하 각관리가 모다 루루히 출공기 권면되 고집을쳥고 직상소 봉뎡다더라게재일1906년 11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叅贊任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참찬 리상씨 그간 횡리지으로 슈월 톄옥얏다가 무몽방후 일에 졍부톄면을 욕되게얏다고 진치 안이더니 작일밤에갈니고 그에 외국쟝 한창슈씨가 피임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1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參贊內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 피착 참찬 리상씨 면관기로고 그 리원긍씨로 뎡엿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叅贊有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참찬 리상셜씨 소톄에 리상씨가 피임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44-1. 별첨 1―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이 황제께 상주한 보고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부대신 S.F.M. 임선준으로부터 다음의 공문을 받았습니다. 그 내용은 몇몇 지역, 특히 연천(漣川) 지역에서 전 의정부 참찬 허위(許蔿)가 괴수가 되어 700명 이상의 폭도들을 이끌고 고을들을 약탈하여, 이로 인해 백성들이 슬프게도 비통한 절망에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집필자이완용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10월 18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9)
-
참찬 / 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참찬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육조직계제로 의정부기능의 약화와 관련된 관제개편으로 의정부찬성사(종2품, 2인)가 좌우참찬으로 분리되어 그 중 우참찬이 개칭되면서 성립되었다. 그 뒤 12월에는 정원이 2인으로 증가되었다. 189
-
우참찬 / 右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부사를 좌·우참판으로 구분, 우참찬이 되었고, 1415년 1월 참찬이 되었다. 1437년(세종 19) 10월 의정부서사제 부활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좌참찬 / 左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될 때의 참찬문하부사에서 비롯되었다. 1414년의 좌참찬은 1433년에 종1품의 찬성으로, 1437년에는 좌·우찬성으로 개칭, 1414년의 우참찬이 얼마 뒤 좌·우참찬으
-
송병선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참찬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참찬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동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6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
-
송병선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고신 / 宋秉璿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9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관이다. 승정원은 왕 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우부승지는 승정원 6승지 가운데 3번째 승지이다. 본 고신은 정3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