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참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25)
사전(958)
- 참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병조(兵曹)의 정3품의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정무기관(政務機關)으로 육조가 있었으나 이 가운데 국방과 직결되는 병조의 업무량이 가장 많아 처음에는 지병조사(知兵曹事)를 두었다가 참지로 개칭하여 법제화하였다.
- 참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병조(兵曹)의 정3품의 관직.정의조선시대 병조(兵曹)의 정3품의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amji | MR표기ch’am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참지(參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참지 참지 參知 병조(兵曹) 겸지병조사(兼知兵曹事)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오종록 1466년(세조 12) 1894년(고종 31) 병조(兵曹) 정삼품 당상 [정의]...상위어병조(兵曹) | 관련어겸지병조사(兼知兵曹事)
- 讖地祕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7_O_0047 讖地祕記 술수 堪輿家, 名師, 預占, 占陰陽宅吉地, 陰陽宅, 吉地, 作記, 讖地, 祕記, 謊說, 讖語, 祕記, 祕詞, 來東, 讖地, 祕記, 祕錄, 驛漢墳, 四表 新羅, 百濟, 高麗, 本朝 中原, 我東, 我東, 本朝, 中原, 本...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1권 6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入斬持纛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1_D_0173 入斬持纛 전쟁 丹兵, 入寇, 三軍, 郞將 高宗三年 鴨江 金就礪, 丁純祐 麗史 D_16_04_04 대동운부군옥 16권 4장 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404)
- 魏氏斬指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烈女圖 魏氏斬指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樊彦琛妻魏氏楊州人彦琛病魏曰公病且䔍不忍公獨死彦琛曰死生常道也幸養諸孤使成立相從而死非吾取也彦琛卒値徐敬業難陷兵中聞其知音令鼓箏魏曰夫亡不死而逼我管絃禍由我發引刀斬其指軍伍欲疆妻之固拒不從乃刃擬頸曰從我者不死魏厲聲曰狗盜...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漸漸之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030_0070 漸漸之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辭參知疏【丙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疏箚 52 辭參知疏【丙子】 40_065_021.jpg 辭參知疏【丙子】 伏以小臣疏才、淺學, 猥蒙天恩, 試可內外, 罔效寸功。 前年叨居論思長官, 人器尤乖, 如蚊負山, 覆羹觸諱, 動無非咎。 臣猶自知, 況於聖明乎。 只緣聖量天覆, 納汚藏疾, 使得...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都人士之什 漸漸之石(점점지석)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8:8:1 越歷險遠者, 山盡而復有山, 川盡而復有川, 去去無窮, 若陷入於窟穴之中, 而未有出期. 其作役勞苦之狀至矣. HCBO_2:8:8:2 按, 《易》: “坎爲豕.” 豕色多黑, 毛象波紋, 乃水畜也. 性喜負塗而喜雨. 又重坎之象爲“水洊至”. 故將雨, 則豕先感.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四]論史門一_獲羽斬之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獲羽斬之 《三淵集》云: “《經世紀年》: ‘孫權取劉備 荊州, 關羽死之 之: 국중본에는 없다.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본(나)에 따라 보충한다..’ 與《綱目》‘獲羽斬之’, 書法大異. 邵子《...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6)
- 욕심을 참지 못하는 사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술이 조금 깨자 계속해서 이야기했다.*조사일시1980-10-11 | 조사장소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 제보자김효식
- 방귀쟁이 며느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알겠습니다.” 하고 그 다음부턴 이거 참지 말고 뀌라고 해서 그냥 이렇게 부엌에 가서 남몰래 뀐다고. 그냥 그렇게 알고 있었어요. [조사자1: 아, 나중에 쫓겨나거나 그러진 않고.] 네네.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속에 있는 방귀를 뀌겠습니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고. 그런데 며느리가 시집 올 때부터는 그냥 계속 그냥 어른한테, 어른과 함께 있으니까 어떻게 하는지 계속 참고 참고. 결국 참지 못할 것 같아서. 참다가 좀, 못해서 그냥 ‘뿡’ 뀌었어요. [조사자1: 뀌었어요? 끝이에요? 시부모님 앞에서] 네, 시부모님 앞에서. [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방귀냄새 때문에 이혼한 부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잖아. 사람들이. 방귀 끼는데 이렇게 앉아있는데 이렇게 하고 ‘뿌잌’ 가는 거야. 이렇게 하고 ‘뿌잌’ 가는 거야. 그거 아무것도 못해. 그 사람. 근데 또 계속 방귀 뀌는 사람들은 냄새가 안 나요. [청자(아내): 소리가 크면 냄새 안 나.] [조사자: 그렇죠. 참지국가네팔 | 제보자기리라주 [네팔, 남, 1975년생, 이주노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악어 사냥꾼 끄라이텅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고요. “제가 하겠다.”고. 그래서 물속에 들어가서 악어 왕국에 들어가서. (잠시 이야기를 멈추며 생각을 하다가 이야기를 정정함) 아, 들어가는 거 아니고. 강 위에 주문을 불러서, 주문을 불러서 악어가 참지 못하게 나와야 하는 거예요. 그래서 물 위에 나오고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85)
- 동대문밧게사 박영진씨 무삼 간음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대문밧게사 박영진씨 무삼 간음등로 그쳐의 무함 루명을듯고 분심을 참지 못야 삼일젼에 양물을먹고 당장에 세상을 버렷다더라게재일1900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飮毒自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셔례빈골 부뒤대문 밧게셔 담 가가 김션달이라 사은 작일밤에 무삼건인지 두외간 대단히닷토앗 그쳐이 분을 참지못야 양물을 마시고 쥭엇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작일 잡보즁에 텬쥬교인들이 여의도에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잡보즁에 텬쥬교인들이 여의도에나가 츙화구인엿단말은 둔토건으로 훈령을 가지고 갓던사을 그동리 사이 여쥭인고로 그 유족들이며 교인들이 진위를 샤실차로나간즉 동즁이 공허고 약간부녀만잇고 슌검들만 슈직대 시친이 분심을 참지못야 야료것을 교인들이 만류...게재일1900년 11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永民願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남도 영흥군에셔 쥬 거졉 쳐소가 업셔 군슈 리뎡환씨가 젼 부쳥 협방이간을 챠급라고 슈셔긔 고홍규 를 군경무셔에 보엿더니 보자관보 셕쳔여일랑씨가 셔긔를 장 오십도를 타고로 리군슈 분심을참지못야즉시상경야 직랴고로 군인 쥬명상씨등이 ...게재일1907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果難隨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쥬군수가 부에 보고기 젼쥬에 쥬차한 일본병참지부 죠회에 군용텰도 공역에 용 역부를 일 일십명식 모집야 부역케되 삭젼은 일명에 동화 십칠량오젼으로 츌급다야 성인이명이 도야 독촉이 셩화흐니 농시를 당야 역부 모집기도 극란거니와...게재일1905년 5월 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62)
- 64. From CINCFE to Britcom Tokyo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y, UNC MAC 숙명여자대학교 영국연방으로부터 받은 병참지원에 대한 내용이며 총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도쿄 영국연방에게는 한국 휴전 기관들을 위한 지원에 대한 관련 서류를 미 극동육군에 전달하라는 요청. 미 극동육군에게는...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INCFE | 수신자Britcom Tokyo, AFFE Japan, CG Eight Army, UNC MAC
- 99. Status of quartermaster supply : 비망록 / K. L. Hastings Br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발신, 1951.03.09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Far East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극동군사령부 병참지원부서에서 작성한 내부 회람용 공문. 병참지원의 시기적 중요성이 도래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실태와 규정상의 문제를 공지하는 내용. 병참지원 분야에서 미군이 당면한...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K.L. Hastings, Br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 Incl #1. Extract, department of army radiogram, 1951.02.1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극동군사령부 병참지원부서에서 작성한 내부 회람용 공문. 병참지원의 시기적 중요성이 도래함에 따라 이와 관...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K.L. Hastings, Br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 Incl #2. Extract from department of army radiogram, 1951.02.2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숙명여자대학교 극동군사령부 병참지원부서에서 작성한 내부 회람용 공문. 병참지원의 시기적...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K.L. Hastings, Br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 Incl #3. Extract, telecon conference between department of army and general headquarters, 1951.02.23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극동군사령부 병참지원부서에서 작성한 내부 회람용 공문. 병참지원의 시기적 중요성이 도래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실태와 규정상의 문제를 공지하는 문서의 첨부자료 #3. 미국 육군성과 극동군사령부 사이의 전화 협조 내용을 전달....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K.L. Hastings, Brigadier General, USA, Quartermaster,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주제어사전(31)
-
참지 / 參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병조의 정3품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정무기관으로 육조가 있었으나 이 가운데 국방과 직결되는 병조의 업무량이 가장 많아 처음에는 지병조사(知兵曹事)를 두었다가 참지로 개칭하여 법제화하였다.
-
문하평리 / 門下評理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 1275년(충렬왕 1) 참지정사가 첨의참리로 바뀌었다가 1308년 충선왕에 의해서 첨의평리로 변경, 정원도 종래의 2인에서 3인으로 증원되었다. 이것이 1330년(충숙왕 17) 다시 첨의참리로 고쳐지고, 1356년(공
-
신응시 / 辛應時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85(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석 증손, 할아버지는 윤형, 아버지는 보상, 어머니는 민거의 딸이다. 백인걸의 문하에서 배웠다. 155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연안부사, 예조참의, 병조참지 등을 역임하였다.
-
윤유기 / 尹唯幾 [종교·철학/유학]
1554년(명종 9)~미상.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윤홍중, 생부는 윤의중이다. 형은 윤유심이다. 부인은 구운한의 딸이다. 세자시강원필선, 사간원헌납, 병조참지, 경주부윤, 남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이정병 / 李鼎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4). 통례원상례가 되어 동궁의 입학을 주관하였다. 병조참지·동부승지·우승지를 지냈다. 풍천부사가 되어 환곡 만석을 경감 조치하였다. 돈령부도정이 되고,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올랐다. 저서로《금파문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