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참정대신” 에 대한 검색결과 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

사전(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의정부(議政府)의 관직. [내용] 1896년부터 1907년까지의 의정부 직원이며, 의정대신 다음 서열이다. 1896년 9월 신설 당시의 명칭은 참정이었고, 1905년 2월 으로 바뀌었다. 칙임관으로 1898년 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제국 때의 의정부(議政府)의 한 관직.
    정의대한제국 때의 의정부(議政府)의 한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chamjeong daesin | MR표기ch’amjŏng taes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래항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5년부터 1907년까지 동래감리(東萊監理)‧동래부윤(東萊府尹)과 의정부‧외부대신 사이에 오고간 보고서 및 훈령을 모아놓은 책. [내용] 1책 44장. 필사본. 주요내용은 동래감리서의 수세(收稅) 내용 및 운영실태, 통감부 설...
  • 한규설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을사보호조약[1905] 체결시 내각의 이었으나 조약체결에 끝까지 반대하다가 면관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제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을사보호조약(1905) 체결시 내각의 외부대신으로 있다가 일본의 임공사[임권조]와 함께 한일협약 체결을 실행한 후 임시 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4)

  • 14950 B014950 강화군 江華郡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10月 7日_004 ○宮內府大臣臨時署理議政府勳一等臣朴齊純謹奏, 江華郡所在麗朝高宗洪陵, 陵上修改事畢後, 遣秘書丞致祭事, 命下矣。 何秘書丞進去乎? 敢奏。 奉旨, 金定鎭進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圭卨을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548)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한규설이 칙서를 받았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2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李完用을 소견하였다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569)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이완용이 칙서를 받았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정욱재 2016. 10. 2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2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978 B017978 거제군 巨濟郡 정치행정 高宗實錄 四十三年(1878) 十一月 고종실록_14311019_004 ○議政府朴齊純、內部大臣李址鎔奏: “熊川、巨濟兩郡守, 旣係港灣重要, 亦有交涉事務, 如非妥員, 無以承辦矣。 現任兩郡守任期, 雖未限滿, 不可不勿拘朔數...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569 B07556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6月 7日_002 ... , 度支部大臣閔泳綺, 議政府朴齊純, 陪從武官長趙東潤, 農商工部大臣權重顯, 軍部大臣李根澤命表勳院議定官。 陸軍參尉洪鎭裕任中樞院參書官, 度支部水道局事務官申佑善任度支參書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9)

  • 兩大訪問統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박졔슌씨와 농상공부대신 셩긔운씨난 쟉일하오의 일본통감부의 젼왕야 목춍쟝을 뎨방문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親書漏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의친왕뎐하압셔 입시고 퇴궐후에 이등통감일을 박졔슌씨가 대동폐현야 일본황뎨의 친셔를봉뎡엿 그친셔연을 들은즉 한국이일본과 더△△목야 동양평화△…△외 업셧다더라
    게재일1906년 6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六品具然桓仝丁晚敎任侍講院主事以上三月十日 命特進官 京畿觀察使崔益鉉 命官制釐定官 閔永煥 成均博士李棟宰仝金敦植仝甲鍾熙依願免本官 甲宩浩柳熙益權鳳集任成均博士以上四月四日
    게재일1905년 4월 7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議政府리完用解臨時署理農商工部大臣事務 五月二十八日 解兼任大韓醫院長 內部前大臣리址용 命兼任大韓醫院 內部大臣任善準 以上五月二十二日 依願免本官 秘書丞리文求 任秘書丞三等 正三品兪元錫 以上五月二十五日 秘書丞兪元錫 肇慶廟叅奉趙在元 東明王陵叅奉尹應션 依願免本官 任秘書丞三等
    게재일1907년 6월 1일 | 기사분류관보
  • 叅政演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에셔 작일회의 항은 이우에말바와갓거니와 박졔슌씨가 그회의셕에셔 각대신을야 장황연셜얏다난 그의를 들은즉 금번리군대의 쳬임된 실은 황상폐하 셩의에도 진로신바잇고 이등통감이 신임치못 인물로 상쥬바잇셔 그럿케 쳬임되얏거니와 기외 각부대...
    게재일1906년 1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9)

  • 32. 파리 주재 대한제국 공사에게 받은 서울 발(發) 전보의 사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대한제국 공사에게 받은 서울 발(發) 전보의 사본 발송 협정, 날인, 항의, , 외교사절 프랑스어 2_CFD32.pdf (탈초)2_CFD32.pdf pdf 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으로 추정)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
    집필자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으로 추정)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1월 25일 | 발신자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으로 추정 | 수신자페테르부르크, 런던, 워싱턴, 로마, 베를린, 도쿄, 서울, 북경의 프랑스 공관
  • 10. 일본의 항행 특권 요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특권 요구 통신협정, 연안 항해선, 밀수입, 총세무사, 도쿄, 일본공관, 외부대신, 의정부, , 일본천황 정부 프랑스어 2_CFD10.pdf (탈초)2_CFD10.pdf pdf 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프...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5월 31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9. 대한제국 내각 총사퇴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박제순, 이토, 박용화, 이형 폐하, 이완용, 송병준, 임선준, 이병무, 이재곤, 조중응, 고영희 대한제국 내각 개혁 며칠 전, 의정부 박제순은 일본 통감부를 방문하여, 이토 후작에게...
    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5월 30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27-1. 별첨 1―제36호 법령 - 중추원의 개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추원, 심의, 의정, 법률, 칙령, 의정부, 칙수, 칙임관, 참서관, 주임관, 판임관, 표결권, 독립협회 프랑스어 1_CFD27-1.pdf (탈초)1_CFD27-1.pdf pdf 박정양, 프랑스 외무부 법령 1898년 11월...
    집필자박정양, 참정대신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11월 4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 83. 대한제국 내 일본 해군기지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박제순]이 서명하여 27일자 관보에 게재된 짧은 고지(告知)—각하께서 보시도록 이 편지에 번역해 첨부해드리는 문서입니다—의 조항들만으로는 결코 진해와 영흥이 조차된 것으로 결론내릴 수 없습니다만, 두 예정지 도면 바로 뒤에 이어지는 동일한 내용의 아주 짧은...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9월 02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4)

  • / [역사/근대사]

    구한말 의정부의 관직. 1896년부터 1907년까지의 의정부 직원이며, 의정대신 다음 서열이다. 1896년 9월 신설 당시의 명칭은 참정이었고, 1905년 2월 으로 바뀌었다. 칙임관으로 1898년 6월까지는 내부대신이 당연직으로 겸임하다가 1898년 6월 이

  • 태자비혼욕정어윤택영가 / 太子妃婚欲定於尹澤榮家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2월 31일 고종이 태자비의 혼처를 윤택영(尹澤榮) 가로 정하는 문제에 대해 조정의 신료에게 의견을 묻는 조서. 궁내부대신 임시서리 의정부 박제순(朴齊純)이 문건을 작성하였다. 서체를 보면 이는 문서의 내용에 따라서 후대에 작성된 것이

  • 을사오적 / 乙巳五賊 [역사/근대사]

    한규설, 탁지부대신 민영기는 조약체결에 반대, 이토의 강압에 못 이겨 다른 대신들은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후 다섯 사람은 일제에 공을 인정받아 자작 작위를 받았고, 조선총독부 중추원고문에 임명되었다.

  • 한규설 / 韓圭卨 [역사/근대사]

    소 재판장에 임명되었다. 1905년 의정부이 되어 을사조약에 끝까지 반대하다가 대궐 수옥헌 골방에 감금되고 본관이 면직되었다. 1920년 이상재 등과 함께 조선교육회를 창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