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참성단”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라고도 한다. 에 관한 기록은 고려 때의 문헌 여러 곳에서 이미 나타난다. ≪단군세기(檀君世紀)≫에는 “……이 분이 단군이다. ……제천단을 쌓고(강화도 마니산에 있음.) 삼랑성(三郎城)을 쌓으시다(성이 강화 전등산에 있고 세 아들을 보내어 쌓았기 때문에...
    연계항목참성단(塹星壇)
  • TD_D6_D_0003 민속종교 累石築壇, 築壇祭天之處, 醮星 前朝 摩尼山, 國朝 檀君 勝覽 D_04_04_16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강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적 제136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 산정에 있는 단.
    정의사적 제136호.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 산정에 있는 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ghwa Chamseongdan | MR표기Kanghwa Ch’amsŏngd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제천의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람이 모여 집단적으로 춤을 추는 군무(群舞) 등이 술과 곁들여 축제 분위기를 더해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일찍이 고조선(古朝鮮)에서도 있었다. 지금의 강화도(江華島) 마니산 꼭대기의 ()이 바로 단군(檀君)이 하늘에 제사하던 곳이라...
  • 천제암(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 마니산 에서 단군(檀君) 시조에 제사를 올릴 때 필요한 여러 가지 물품과 제기, 그리고 제물을 준비하던 건물을 말한다. 이 건물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문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를 목판에 기록한 시판(詩板)이 있었다고 하...

고서·고문서(7)

  • 25506 B025506 고려산 高麗山 산악 輿地圖書 江都府誌 江華 山川 山川高麗山(在府西五里卽松岳之祖山有五井遺址)摩尼山(在府南四十五里周回二十里自山下至頂十里西有 ...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295 B013295 강도 江都 정치행정 東史綱目附卷下 檀君疆域考 _ _ ○檀君疆域無考而箕子代檀氏其提封半是遼地則檀君之世亦當然矣古記⁄云北夫餘爲檀君之後按夫餘在遼東之北千餘里蓋檀氏世衰子孫北遷而⁄舊疆因入箕封矣麗史地志江都摩尼山世傳檀君祭天壇傳燈山一⁄名三郞城世傳檀君使三子築...
    출처전거東史綱目附卷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1710 B031710 금음북도 今音北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麗史 권56 志10 地理1 楊廣道 江華縣 ... 三年陞爲府 有摩利山[在府南 山頂有世傳檀君祭天壇]傳燈山[一名三郞城世傳檀君使三子築之]有仇音島巴音島今音北島買仍島屬縣三
    출처전거高麗史 권56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倂于仁州尋復舊辛禑三年陞爲府 有摩利山[在府南 山頂有世傳檀君祭天壇]傳燈山[一名三郞城世傳檀君使三子築之]有仇音島 ...
    출처전거高麗史 권56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9715 B029715 구선 龜船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2年 閏6月 12日_020 ... 承命視吉祥牧場, 轉上摩尼山, 周視四面, 則諸島之星羅碁布者, 專爲江華而設矣。 上曰, 江華水路, 皆以燕尾亭往來京城耶? 善復曰, 然矣。 上曰, 若設置江華, 則物役幾入乎? 多...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聖蹟護維會 事業에 대하여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05 1949 10 3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檀君聖蹟護維會 事業에 대하여 문서류 미상 논설 역사 직접자료 4권 開天節, 檀君, 檀君聖蹟護維會, , 祭天堂, 三聖祠, 檀君臺 D19491003미...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삼성사(三聖祠)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 , 당장경 서우번역문.pdf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민간신앙]

    강화도 마니산 꼭대기에 있는 제단. 전국체전의 성화를 채화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사적 제136호이다. <문헌비고>에는 1639년과 1700년에 각각 을 개수축하여 비를 세웠다. 의 최초의 모습과 정확한 축조연대는 알 수 없다. 에서는 현재 개천절과

  • 강화 소사나무 / 江華 [과학/식물]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문산리 내에 소재한 소사나무. 2009년 9월 16일에 천연기념물 제502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15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4.8m, 뿌리 근처의 줄기둘레는 2.74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7.2m, 남북 방향이

  • 소사나무 / Carpinus turczaninowii Hance [과학/식물]

    에 소재한 소사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02호로 지정되어 있다.

  • 강화도 / 江華島 [지리/자연지리]

    의 일부였으나 오랜 침식작용으로 평탄화된 뒤 침강운동으로 육지에서 구릉성 섬으로 떨어져 나왔다. 섬의 남쪽에는 제일 높은 마니산(469m)이 있는데, 산꼭대기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냈던 ()이 있다. 그 외에 중서부의 진강산(441m)과 중북부의 고려산(436

  • 강우 / 姜虞 [종교·철학/대종교]

    4년 교주인 나철을 대신하여 백두산 상봉에 올라 혈서로 제천, 1920년에는 구월산 삼성사에서, 1924년에는 마니산 에서 제천수도하는 등 교문의 사표가 되었다.《종리문답》·《천산도설》·《제천혈고사》·《일삼경》등의 유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