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찰방” 에 대한 검색결과 3,0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35)

사전(1,1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 이후 지방에 파견된 종6품 관직. [내용] 일정한 지역내의 도로와 역(驛)‧원(院)의 관리와 감독을 위하여 종6품의 직에 종7품 이하의 시종문신을 겸임하게 하였다. 1551년(명종 6)에 처음 시행되었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독하게 함으로써 역행정의 자주권마저 박탈당하였다. 원나라가 축출되자 1390년(공양왕 2) 역로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조준(趙浚) 등이 주장해 역승(驛丞) 설치문제가 대두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역승과 정역(程驛)이 함께 설치되었다. 정역은 14...
    이칭별칭역승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각 도의 역참(驛站)을 관리하던 종6품의 외관직.
    정의조선시대 각 도의 역참(驛站)을 관리하던 종6품의 외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chalbang | MR표기ch’al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외관(外官) 감(監), 겸(兼), 관로(館路), 군기점고(軍器點考), 별감(別監), 참하(參下), 해도(海道) 마관(馬官), 우관(郵官) 관승(館丞), 역승(驛丞), 역참...
    상위어외관(外官) | 하위어감찰방(監察房), 겸찰방(兼察訪), 관로찰방(館路察訪), 군기점고찰방(軍器點考察訪), 찰방별감(察訪別監), 참하찰방(參下察訪), 해도찰방(海道察訪) | 동의어마관(馬官), 우관(郵官) | 관련어관승(館丞), 역승(驛丞), 역참(驛站), 찰방사(察訪使)
  • 정역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업신여겨 역의 안집이 어려웠다. 따라서 역마다 수령(守令)의 예와 같이 천거하여 5ㆍ6품의 역승(驛丞)을 두어 역호와 역마를 충실하게 하여 역제를 정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조선 초기에 들어서 역승과 정역(程驛)이 함께 설치되었다. 정역은 1402년(...
    이칭별칭정역소복별감(程驛蘇復別監)

고서·고문서(1,755)

  • 寄平陵族人志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60 詩集 卷六 ITKC_MP_0597A_0060_020_0910 寄平陵族人志鶴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04년 () 김낙일(金洛一)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1631년 () 신응망(辛應望) 정사(呈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정사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정사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1801년 자여도(自如道) 해유문서(解由文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01년(순조1) 3월에 작성된 전자여도김낙일에 대한 해유문서로 자여도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해유첩정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 1806년 김천도(金泉道) 해유문서(解由文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06년(순조6) 3월 13일에 작성된 전김낙일에 대한 해유문서로 김천도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해유첩정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해유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해유문서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구술자료(6)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찰방(吳奈訪)은 조선조 현종때에 대정현(大靜현)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이름은 영관(榮寬)이다. 이 사람은 기지와 용력(勇力)이 뛰어나, 그 출생, 성장과정 벼슬을 하게 된 유래 등에 대하여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제보자는 이 이야기가 이미 조사된 조사자의 [濟...
    조사일시1980-02-17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吳)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막산이 이야기가 끝난 다음에 그가 정운디라는 장사에게 죽었지 않느냐고 물었으나 그렇지 않다고 하였다. 이에 조사자가 새샘이란 힘센 종에 대한 이야기를 부탁하자, 그런 이야기는 들은 적이 없다고 하면서 장사라면 역시 오찰방이 있다면서 그의 이야기를 꺼내었다. 이 이...
    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 제보자송경은
  •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장사 이야기를 해 달라고 청하자, 장사라면 오찰방이라면서 이야기를 꺼냈다. 80 넘은 노인 답지 않게 말을 하였는데 이따금 불분명한 어조가 있긴 하였다. 토평정 영감 이야기 보다 자세한 면이 있었다. ?
    조사일시1981-01-26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택효
  • (吳)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 근방에 큰 인물이 없었느냐고 묻자 별 이야기 될 만한 사람이 없다고 하다가 인물하면 역시 정의 대정에선 오찰방이라 하면서 이 이야기를 꺼냈다. *
    조사일시1981-01-21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영천동 | 제보자정원선
  • (吳)과 정훈도(鄭訓導)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장사 막산이 이야기에 이어 계속 이 이야기를 전한다. 제보자가 이야기를 엮어 가는데, 옆에 있던 이호진씨는 거의 말없이 듣기만 했다. 제보자는 이 얘기를 하면서 어느 부분에서는 오찰방(吳察訪)과 정훈도(鄭訓導)에 대한 개별적인 이야기를 전했고, 또 어느 부...
    조사일시1981-04-26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기초학문(1)

  • 조선후기 의 驛站 운영과 관직생활 - 19세기 초 金載一의 『黙軒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숙, 게재일 : 2013
    47521 김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조선후기 의 驛站 운영과 관직생활 - 19세기 초 金載一의 『黙軒日記』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6)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림피군슈 림진셥씨 평리원에셔 민상으로 샤일이 잇셔 도관찰의게 훈령고 림군슈를 곳긔송라얏더니 관찰 김규희씨가 현금에 고을무가 번극야 잠시라도 날슈업다고평리원에 방보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驛舍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학교 확쟝기위야 각디방에잇 이젼력의 관와 그긔디 학부에 부속야 학교를 슈의셜치기로 경리원과협의결뎡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네살먹은 게집가 홍당목 남져고리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네살먹은 게집가 홍당목 남져고리입고 아도리와 발은 벗고 간곳이 업스니 대초목골 리쟝신 아집 리으로 지시시면 후겟외다 박셩 고
    게재일1900년 4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巡査渡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지방에 치 일본 슌사 십명이 뎨일 도한지라 작일 통감부로 회동야 경침에 훈칙을드른후에 경무고문부로 회동야 디방졍과 경찰에실시를 강구고 려비지 지츌얏곳 각지방으로 발졍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068호 중국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68호 중국일보 중국일보(中國日報) 1933년 3월 31일 미기재 미기재 남경(南京) 일본_1934년 4월 28일 금지 안녕 미기재 중국일보 제1면 사설 「()의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68호 중국일보 | 출판물명중국일보(中國日報) 1933년 3월 31일

기타자료(1)

  • 발굴 건물지와는 직교로 배치된 양상이다. 따라서 주향은 거조사가 입지한 계곡변 능선 산자락에 계곡이 열린 방향인 동남향으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을 염두해 두고 이번에 조사된 유구를 통해 가람의 배치형상과 변화양상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고법...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연구과제(1)

  • 조선시대 화론(畫論)의 회화미학개념 계보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임태승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역참을 관리하던 종6품의 외관직. ≪경국대전≫에는 경기·충청·전라도에 각 3인씩, 경상도에 5인과 역승 6인, 강원도에 각 2인씩, 황해도에 2인과 역승 1인, 영안도에 3인, 평안도에 2인으로 법제화되었다. 1535년(중종

  • 김낙일 김천 해유문서 / 金洛一 金泉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낙일 김천 해유문서. 1806년(순조 6) 3월 19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3월 20일 경상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이관, 동년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김낙일(金洛一)은 1804년(순조 4) 2월 13일에 본직을

  • 서침 겸유곡도 해유문서 / 徐琛 兼幽谷道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24년(경종 4) 3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兼巡察使)에게 올린 첩정이다. 서침(徐琛)은 필하(必遐)의 아들로 1717년(숙종 43) 문과에 급제하였다. 1722년(경종 2) 3월 27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년 4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16

  • 이수일 황산겸임송라도 해유문서 / 李秀逸 黃山兼任松羅道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49년(영조 25) 7월 10일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7월 21일에 수경상도관찰사겸순찰사가 병조에 문서 이관, 동년 8월 일에 병조에서 이조로 문서 이관, 동년 8월 26일 이조에서 이수일(李秀逸)에게 조흘하였다. 이수일은 산해(山海)의 7대

  • 김천도 / 金泉道 [지리/인문지리]

    경상도 도(道) 중의 하나. 태종(太宗) 13년 11월에 김천도(金泉道) 역승(驛丞)이 가치된 후 세종대에는 김천도승(金泉道丞) 소관역(所管驛)으로 세조(世祖) 8년 개편 이후로는 김천도(金泉道) 속역으로 늘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