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찬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7)
사전(141)
- 찬정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길을 재촉함. 바삐 감. 且與王則之先生 相會于京城洪尙書宅 未知尊屬幾寸親也 恨未得敎也 似一鞭.程 一場說話 且梅集多有疑晦處 別無可叩質 欲.明春 更駕山陰之棹 興盡而返 計矣, 이강제(李康濟), 37-15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의정부(議政府)의 관직. [내용] 1896년부터 1905년까지의 의정부 소속 직원(회의원)이다. 1896년 9월 신설되었고 전임찬정과 각부 대신이 당연직으로 겸임하는 찬정 두 종류가 있다. 전임찬정은 5인이고 겸임찬정은...
- 찬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96년에 설치된 의정부(議政府)의 한 관직.정의1896년에 설치된 의정부(議政府)의 한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chanjeong | MR표기ch’an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竄定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J_0028 竄定 경서·경학 作文, 先貼於壁, 終篇不留一字, 晩年, 改定前作, 文不厭改, 工夫, 進益, 作者之法, 過名 歐陽公, 魯直 事文類聚 J_08_01_01 지봉유설 8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8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아미타경(阿彌陀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經)』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미타경(彌陀經)』 ‧ 『호념경(護念經)』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해오는 한역서(漢譯書)에는 구마라습(鳩摩羅什)이 아미타의 공덕과 극락의 일을 적은 경문 번역본 『아미타경(阿彌陀經)』과 현장(玄奘)의 『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320)
- 長山串打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1018 신민요 O.1830―B 1935년 오케 레코드 長山串打鈴 〈a〉車夢岩 作詩〈/a〉 〈co〉文湖月 作曲〈/co〉 〈s〉李銀波〈/s〉 〈b〉伴奏 오케―패미리 뮤직〈/b〉 [ ㄱ, ] 저녁노을 빗긴 바다 배 도라 돌며 단장한 장안 아씨 님...구분신민요
- 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바이페르트 뷜로 1902.01.30 1902.03.25 서울 ...대표표제어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바이페르트 뷜로 1902.01.30 1902.03.25 서울 ...대표표제어외부대신 박제순의 의정부찬정 임명 및 베이징 조선공사관 부지문제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唐羣臣賀以師說多門,章句繁雜,命孔頴達與諸儒撰定五經疏,謂之正義,令學者習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0580 唐羣臣賀以師說多門,章句繁雜,命孔頴達與諸儒撰定五經疏,謂之正義,令學者習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900년 의정부찬정 법부대신 민종묵(閔鍾黙) 명령서(命令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명령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명령서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기초학문(2)
- 협동적 e-러닝을 위한 두 학습 모델의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찬정, 게재일 : 200650563 박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Springer-Verlag 2006 협동적 e-러닝을 위한 두 학습 모델의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협동적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평가항목 개발 및 수업유형에 따른 평가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찬정, 게재일 : 200435434 박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협동적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평가항목 개발 및 수업유형에 따른 평가사례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44)
- 午餐停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대신 리지용씨가 삼작일 이등통감관뎌오찬회에 왕참얏다가 즉시 룡산강뎡으로 츌왕얏다얏더니 동씨 룡산으로나아가지안이고 동소문외 셩복동별쟝에 츌왕야 작일 하오일시에 오찬회셜고 부협판이하 각 국장 경무와 환산고문이하 모모씨 쳥요얏다가 비가긋치지안이...게재일1907년 5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贊政疏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찬졍 최익현씨 직샹소 비지에 번거이말고 곳 올나오라 셧더라게재일1904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贊政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찬졍 리곤씨 회계원경으로 젼임고 장원경 리용익씨 찬졍을 젼임야 림시셔리 쟝원경을 피명엿더라게재일1902년 4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贊政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찬졍리용씨익상소야 찬졍은 갈니고 쟝원경을 피임고 그 표훈원부춍 민병셕씨가 피임여 표훈원부춍 셔리를 피임엿더라게재일1902년 4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賛政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찬졍 죠동윤씨 샹소야 갈닌에 궁부협판 셩기운씨가 피임야 궁대신 셔리를 시무다더라게재일1902년 3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
- 노찬정;盧贊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9058 북한 평남 順安義明學校 3-09 義明 제2호, 1931―04―13 109면 1.잡보;2)재적생 일람;(7)제1학년 을조(무순) 노찬정;盧贊貞 평남 평원군 조운면 순정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順安義明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찬정;崔燦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5784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79면 (학과)본과신제도 최찬정;崔燦靜 14회 1936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호교사의 수기-골방의머슴 할일은 많은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박찬정 朴贊貞 1959 9 교육평론 16호 교육평론...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찬정 | 사료철명교육평론
- 부락민과 일체가 되어 날로 발전하는 창원군 연도국민학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방교육행정 잡지 박찬정 1970 9 교육경남 26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찬정 | 사료철명교육경남
- 새로운 학교환경 구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박찬정 1971 4 교육경남 28호 경상남도교육위원회 176-202 7 PDF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찬정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15)
-
찬정 / 贊政 [역사/근대사]
1896년부터 1905년까지 의정부에 소속된 직원. 1896년 9월 신설되었고 전임찬정과 각부 대신이 당연직으로 겸임하는 찬정 두 종류가 있다. 전임찬정은 5인이고 겸임찬정은 각부 대신 7인으로 칙임관이다. 참찬을 경유하여 의정·의정대신에게 의안을 제출할 수 있고,
-
시위 군악대 교사 에커트 합동청의서 / [정치·법제]
시위 제1연대 소속 군악대 교사 에커트의 봉급을 제2군악대의 증설에 따라 올려주기로 계약한다는 내용으로 의정부에 제출한 청의서. 계약서 3개 조항이 첨부되어 있다. 의정부찬정 군부대신 신기선(申箕善)과 의정부찬정 외부대신 임시서리궁내부특진관 유기환(兪箕煥)이 의정부의
-
어친척생신일람표 / 御親戚生辰一覽表 [정치·법제]
고종 친척의 생일과 기일을 정리한 명부. 이강(李堈)과 그의 비, 이건공과 그의 비에서부터 윤홍섭모당, 고윤자작부인 등은 생신을 기록하고, 대원왕, 대원왕비, 해풍부원군모당, 엄찬정과 그의 부인 등은 기일을 기록하였다. 종이를 부착하여 수정한 부분이 있다.
-
윤웅렬 / 尹雄烈 [정치·법제/정치]
대한제국의 무관 (1840∼1911). 별기군 창설 주도. 함경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별기군의 좌부령관을 지냈고, 갑신정변 때 내각의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김홍집 내각의 경무사를 지냈다. 이후 의정부찬정·법부대신·고등재판소재판장·군부대신 등을 역임했다. 국권상실 이
-
가곡선 / 歌曲選 [문학/고전시가]
최남선(崔南善)이 찬정(撰定)한 시조집. 내용은 크게 책머리와 본문으로 나뉘어진다. 책머리에는 추인자(秋人子)가 쓴 서(序)가 있고 그 뒤에 일러두기가 있어 이 책의 편찬취지와 참조도서를 살필 수 있다. 이어서 목차가 나오고 다음에 음(音)·조(調)·풍도형용십오조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