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차자표기법”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 그 정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다. 은 지명‧인명‧국명 및 관명(官名) 등을 가자로 표기하는 고유명사 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는 한문의 가차자(假借字)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온 것이다. 이 표기법은 우리 나라 최고(最古) 기록인 ‘광개토왕비문’에...
  • 향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의 하나. 우리말을 차자로 완전히 기록할 수 있었던 표기법이다. [내용] 향찰이라는 용어는 ≪균여전 均如傳≫에 실린 최행귀(崔行歸)의 역시(譯詩) 서문에 나타난 것으로 향찰을 당문(唐文, 漢文)에 대립되는 뜻으로 사...
  • 이두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硏究)』(남풍현, 단국대학교출판부, 1981) 『이두사전』(장지영‧장세경, 정음사, 1976) 『增訂補注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 刀江書院, 1964) 「이두(吏讀)의 토씨연구(硏究)」(장세경, 『한양대학교...
  • 이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의 하나. [내용] ≪제왕운기 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 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
  • 향약채취월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리군), 叱利阿里(→叱科阿里‧아) 등이 그러한 예들이다. 은 ≪향약구급방≫의 그것과 차이가 없다. 향명들에 나타난 언어현상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특징적이다. ‘豆音矣羅耳‧두름의나(葶藶), 吾兒尼‧오니(猯肉), 加亇曹而‧가마조(龍葵菜)’에서는 ᅀ...

주제어사전(6)

  • /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한자차용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이전에 향찰(鄕札)·이두(吏讀)·구결(口訣)·고유명사표기라고 구분하여 오던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한자를 차용하는 방법은 한자의 음과 훈 중 어느 것을 차용하느냐에 따라 ‘음’과 ‘훈’으로

  • 말음첨기법 / 末音添記法 [언어/언어/문자]

    향찰·구결·이두에서 우리말 단어의 끝 음절이나 끝 자음을 부기하는 한자 . 말음첨기는 첨기된 대상에 따라 ‘음절말 자음 첨기’와 ‘어말 음절 첨기’로 구별된다. 즉, ‘夜音, 雲音, 唯󰑐, 入, 只火乙’에 나타난 첨기자는 음절말 자음 첨기가 반영된 것

  • 이두 / 吏讀 [언어/언어/문자]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의 하나.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종실록』에서는 ‘이두’라 불렀으며,

  • 향찰 / 鄕札 [언어/언어/문자]

    ()의 하나. 우리말을 차자로 완전히 기록할 수 있었던 표기법이다. 향찰이라는 용어는 ≪균여전 均如傳≫에 실린 최행귀(崔行歸)의 역시(譯詩) 서문에 나타난 것으로 향찰을 당문(唐文, 漢文)에 대립되는 뜻으로 사용하였는데, 향가(鄕歌)의 문장과 같은

  • 서기체이두 / 誓記體吏讀 [언어/언어/문자]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을 이두라고 보는 광의의 이두의 개념에서, 임신서기석의 본문과 같이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한 표기 양식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