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차비충찬위”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臣)의 자손들로 충당되었다. ()와 혼용하여 쓴다. 兵曹了爲相考事節到付關內節該今此發引時及返虞敎是時各名數及所着服色區別回移事關是置有亦, (빈전1834/088ㄴ12~089ㄱ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독책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길게 펴 놓고 읽는 용도로써 옥책과 죽책의 규모에 맞게 세로보다 가로가 긴 천판(天板)이 특징이다. 국왕ㆍ왕비ㆍ세자 및 세자빈의 책례(冊禮)나 국왕ㆍ왕비ㆍ대비ㆍ왕대비ㆍ대왕대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 등에서 옥책을 올려놓고 읽었던 용도이다. 捧褥席讀冊床...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가독인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ㆍ대왕대비 등의 인장을 올려놓고 읽었던 독인상(讀印床) 대신 임시로 사용되었다. 주로 책례(冊禮)나 왕실의 혼인인 가례(嘉禮) 그리고 흉례(凶禮) 등에서 인장을 올려놓고 서서 읽기 위한 용도이다. 四黑漆假讀印牀二紅紬巾二, (책례1721/129ㄴ08~10)...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충찬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중앙군인 오위(五衛) 가운데 전위(前衛) 충좌위(忠佐衛) 소속에 딸린 부대. 세조 2년(1456)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주로 원종공신(原從功臣)과 그 자손으로 편성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충찬위의 인원은 정해지지 않았다. 一房應入...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유청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출하였다. 그 밖에도 국왕이 능에 거둥할 때에 충찬위 소속의 원역 이하 요원에 대한 군복‧마비‧식량 및 부식대와 각 도감에서 지급하고 부족한 ()의 고용임금, 중국사절이 올 때 임시로 고용하는 공인(工人)의 임금과 당상관이 교체될 때 원역 등...
    이칭별칭여정색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의례 행사 때 충찬위에서 의장을 위해 차출된 군인. 조선 시대 가례 및 향사 등의 의례 행사 때 임시로 도감이 만들어지거나 할 때 의장, 의례 행사에 동원할 관원을 차비하였다. 이때에 중앙 군인 오위의 충찬위에서 많이 차출되었다. 그들은 주로 원종공신의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