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차경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5)
- 차경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0(고종 17)∼1936. 종교인. [내용] 보천교(普天敎)의 창시자인 차경석의 호는 월곡(月谷). 차천자(車天子)라고도 불렸다. 전라북도 고창 출생. 동학접주를 역임한 아버지를 따라 동학운동에 가담하였고, 천도교(天道敎) 전남북이칭별칭 월곡(月谷)
- 기산조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4년에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신도의 노동조합적 성격을 띤 자치기구. [내용] 1919년 보천교가 60방주라는 전국교구를 갖추고 수십만 신도를 확보함에 따라, 교주 차경석(車京錫)은 이러한 교세확장을 기반삼아
- 태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1년 신현철(申鉉喆)이 창시한 종교. [내용] 증산교의 일파이다. 신현철은 보천교(普天敎)의 주요간부로 있다가 교금유출사건으로 차경석(車京石)과 마찰이 생겨 김영두(金英斗)‧장궁만(張弓挽) 등과 함께 서울에서 태을교본부...
- 임무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54년 김종렬(金鍾烈)이 창시한 종교. [내용] 증산교(甑山敎)의 일파이다. 김종렬은 1899년강원도 평창에서 출생, 1917년 차경석(車京錫)의 보천교(普天敎)에 들어가 신앙생활을 하였다. 1947년...
- 보천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차경석(車京石)이 창시한 증산교(甑山敎) 계열의 신종교. [내용] 1880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난 차경석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 접주(接主) 중의 한 명으로 관군(官軍)에 의해 처형당한 차지구(車致久)의 장남으로, 일찍부터 동학운동에
고서·고문서(6)
- 1917년 김상경(金相敬) 교첩(敎牒)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17년1월에 보천교에서 발급한 교첩(敎帖)이다. 보천교는 1911년에 정읍 입암에서 차경석이 창도한 증산교 계통의 신흥종교로 1936년에 일제의'유사종교해산령'으로 해체되었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대종교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58년 보천교연혁사 상(普天敎沿革史 上)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본서는 1958년에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에 있는 '보천교총정원'에서 펴낸 보천교 연혁사이다. 보천교는 1911년에 차경석이 전라북도 정읍(井邑)에서 실명="姜一淳"증산사상(甑山思想)을 기반으로 세운 종교이다. 1921년에는 일본경찰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경상남도 황석...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58년 보천교연혁사 하(普天敎沿革史 下)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본서는 1958년에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에 있는 '보천교총정원'에서 펴낸 보천교 연혁사이다. 보천교는 1911년에 차경석이 전라북도 정읍(井邑)에서증산사상(甑山思想)을 기반으로 세운 종교이다. 1921년에는 일본경찰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경상남도 황석산(黃石山)에서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58년 보천교연혁사 속편(普天敎沿革史 續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본서는 1958년에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에 있는 '보천교총정원'에서 펴낸 보천교 연혁사이다. 보천교는 1911년에 차경석이 전라북도 정읍(井邑)에서 실명="姜一淳"증산사상(甑山思想)을 기반으로 세운 종교이다. 1921년에는 일본경찰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경상남도 황석...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기타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심상훈 보안법 위반 피고사건 판결문( 沈相勳 保安法 違反 被告事件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을 사는 이길문(李吉文), 조봉추(趙奉秋) 3명에게 보천교를 믿으면 병에 걸리지 않고 일가가 편안할 뿐 아니라 올해 음력 12월 30일에는 조선이 독립하고 교주 차경석(車京錫) 1880-1936. 호는 월곡(月谷)이며 차천자(車天子)라고도 한다. 전라북도 고창(高敞)에...제목심상훈 보안법 위반 피고사건 판결문( 沈相勳 保安法 違反 被告事件 判決文) | 사건유형 보안법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5)
- 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미완성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민족을 보호하고 숨겨주었다! 결국에는 모두 빼앗길 것을….” 어느 날 보천교(普天敎) 간부 중 한 사람이 차경석(車京錫)의 초상화를 의뢰하러 추강(秋江)을 찾아왔다. 대화하는 가운데 “선생님도 물론 알고 계시겠지만, 이제는 신천지가 정감록(鄭鑑錄)에 의거해서 정읍(井...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미완성 | 출판물명미완성(未完成)
- 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동광신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경무국장 대시국 천자(大時國 天子) 방문극(訪問劇) 한 때 세상의 이목을 끌었던 보천교(普天敎)의 소식도 대시국(大時國) 천자를 몽상하는 차경석(車京錫)의 등극담도 요즘에 들어 하나도 들리지 않은 이때, 10월 7일 오후 3시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정5위(正五位) 훈3...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동광신문 | 출판물명동광신문(東光新聞) 1928년 10월 9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淺利)경무국장이 동천자(東天子)[車天子의 오기, 차경석]를 방문 정읍(井邑)동천자궁(東天子宮)에 가서 만나다 회견내용 절대 비밀 남도(南道)각지를 순회하고 있던 경무국장 천이(淺利)씨는 지난 7일 오후 3시에 2, 3명의 종자(從者)을 데리고 문제의 보천교교주(普...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2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28년 10월 10일
- 조선사상통신_1929_3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0 吾人の生活改善策 (3) 李錫永 11 統一難と統一の要求 (2) 12 普天敎 敎主車京錫...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 조선사상통신_1929_4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呂運亨の取調 37 窮した車京錫 37 全北の共産黨主謀者逮捕さる 3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주제어사전(5)
-
차경석 / 車京石 [종교·철학/천도교]
의 평소 언동과 비슷한 행동을 하게 되자 증산의 영이 감응되었다면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이를 계기로 하여 차경석은 고부인을 앞세워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선도교(仙道敎, 太乙敎)라는 이름으로 포교를 시작하였다. 교단이 커짐에 따라 실권을 장악한 그는
-
보천교 / 普天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1년 차경석(車京石)이 전북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창립하였다. 1936년 차경석이 죽자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다. 신파와 구파의 쟁점은 교조의 추대 문제로, 신파는 차경석을 교조로 하고 구파는 증산을 교조로 한다.
-
김경식 / 金景軾 [역사/근대사]
1870-1940.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인·항일운동가. 한학(漢學)을 공부하다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증산교가 흩어진 이후 그 신도였던 차경석(車京石: 1880∼1936)이 세운 증산교 계열의 보천교(普天敎)에 입교(入敎)하였다. 1930년대 들어서는 역
-
선도 / 仙道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4년 안내성(安乃成)이 전라남도 여수에서 창립하였다. 안내성은 1967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출생하였다. 1907년 강증산을 만나 그의 제제가 되었다. 1914년 차경석과 다투고 전라남도 여수에 선도를 창교하였다. 1927년 전주군 유림면
-
선도교 / 仙道敎 [종교·철학/신종교]
군에서 차경석과 함께 선도교를 창립하였다. 이후 1933년에 이상호의 동화교와 통합하였으나 그녀의 사후 여러 교파로 다시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