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차” 에 대한 검색결과 253,3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650)

사전(48,5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음료. [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곡류로 만든 율무‧옥수수, 여러 식물의 잎으로 만든 두충‧감잎 등, 과실류로 만든 유자‧모과, 꽃이나 뿌리‧껍질 등으로 만든 국화‧인삼‧귤피, 약재로 만든 쌍...
  • TD_C7_D_0211 하천 水淸 D_10_02_19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1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P2_I_0007 운송도구 輪, 駕牛, 正, 鹿, 羊, 象, 人, 輿輦, 藍輿, 筍輿, 箯輿, 大輅, 四輪, 脚踏, 自轉, 人力, 輿, 帷蓋, 靑蓋, 制, 眞骨, 沈香, 紫檀, 玳瑁, 金, 玉, 幰, 錦, 馬, 道路 少昊...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R2_I_0008 식물 檟, 苦, 茗, 名, 嗜, 入唐回使, 種, 杉芽, 冬靑, 黃, 冬橘, 輸入 魏晋, 唐, 興德王 二[三]年, 峨天皇, 一千六百八十年 齊, 我國, 新羅, 智異山, 白頭山, 南海, 康津, 日本, 支那, 近江...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6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R3_D_0014 광물 象牙 D_06_01_05 대동운부군옥 6권 1장 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8)

  • 한반도주둔일본군 사료총서 1 - 일본의 군사적 침략과 한국주 [한반도 주둔 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사료 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조건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0526
    이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6년 12월부터 수행한 토대연구지원사업 ‘한반도주둔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 사료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연구팀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총 3년에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한반도주둔일본군 관계...
  • 저자 : 류상윤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40112
    내전의 피해를 극복하고 경제개발에 나서는 과정에서 한국경제는 많은 양의 경제원조를 외국으로부터 받았다. 그리고 최근에는 거꾸로 한국이 외국에 경제원조를 주는 나라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는 한국경제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
  • 한국철도, 추억과 희망의 레일로드 [한국 철도의 역사와 문화 - 침략의 길에서 공생발전의 길로 | 고려대학교]
    저자 : 이송순...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6.11.30
    유형단행본
    이 책의 목적은 1899년 경인선 기가 달리기 시작한 이후 100여년 한국 근현대 역사의 영욕을 고스란히 실어 나른 철도와 그와 함께 울고 웃었던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생생한 역사적 사실로서 정리해 보려는 것이다. 근대 한국인들은 무서운 속도로 굉음을 내뿜으며 질
  • 철도공간의 통제와 별, 그리고 저항 [한국 철도의 역사와 문화 - 침략의 길에서 공생발전의 길로 | 고려대학교]
    저자 : 김무용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170425
    분야경제‧산업 | 유형단행본
    이 책의 목적은 한말에서 1970년대 시기, 철도와 식민지 근대사회/현대사회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함으로써 ‘철도의 사회사’를 역사적으로 풍부하게 복원하는데 있다. 한국에서 철도는 사회적으로 식민지 근대사회의 다양한 모습, 곧 도시와 사회생활, 운동 ...
  • 저자 : 윤인진 외 ... | 출판사 : 북코리아 | 출판일 : 20191130
    유형단행본

논문(33)

고서·고문서(118,776)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20_042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를 조사하여 정리한 책으로 94매로 구성되어 있다. 제39호와 같은 글[동문(同文)]이라고 기록하였다. 첫장에 ‘기자불상(記者不詳)’이라 하여 작성자를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이 자료는 수레와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조사한 내용을 ‘기술합본’, ‘...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윤 여자 전라북도 정읍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성자하구(城子河区) 영홍촌 3 3 , 외삼촌...
    대표표제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박 남자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교구(郊区) 전전공사이도대대 4 3 , 태워, 보내고, 그호, 온가정,...
    대표표제어 | 성씨
  • Из Полученной при письме Управлявшего Министерством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Тайного Советника Шишкина, от 14 Декабря 1896 года, № 291.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저탄소를 위한 부지가 필요하다.
    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발신일1898.01.22.

구술자료(2,840)

  • 노랫가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중이 "노랫가락"을 부르라고 하자 제보자가 이 노래를 불렀다. 역시 박수를 치며, 차분하게 수줍은 듯 구연했다.
    조사일시2010. 1. 20(수)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율곡면 임북2구 마을회관(T.932-4083) | 제보자정순성
  • 노랫가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곡 더 부르라고 권하자 앞 노래에 이어 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용주면 봉기리 봉기마을회관 | 제보자주갑주
  • 얼씨구절씨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박경남 씨에게 물을 마시고 할 것을 권했고, 잠시 박경남 씨가 마실 것을 가지러 갔다. 조사자가 김달순 씨에게 도라지타령을 부를 때 잠시 부르다 말았던 ‘뽕 따러 가세’에 대해 다시 물어보았지만 “생각이 안 난다.”고 했다. 그리고는 이 노래를 불렀는데,...
    조사일시2011. 5. 7.(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옥연 1리 233번지 박경남 씨 자택 | 제보자김달순(#), 박경남(#1)
  •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0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거제면 | 제보자성병용
  • 수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오랜 산 생활을 통해 얻은 산의 지식과 기압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이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조사일시1981-04-17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 제보자유만석

기초학문(3,334)

  • 도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원재, 게재일 : 2002
    06067 박원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비교문학회 2002 도와 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5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書와 송대의 문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은미, 게재일 : 2004
    38160 서은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4 書와 송대의 문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심적 이는 역사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명석, 게재일 : 2004
    35765 김명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4 심적 이는 역사적 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이와 웃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현경, 게재일 : 2012
    51915 정현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세계문학비교학회 2012 이와 웃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唐宋時代 貢와 官營園(北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은미, 게재일 : 2015
    45344 서은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15 唐宋時代 貢와 官營園(北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49,245)

  • 민세안재홍전집 : 山先生特輯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67 1935 8 15 1 1 樗山 안재홍 山先生特輯 卷頭言 잡지 신조선 12호 3쪽 인물평 인물 직접자료 6권 山 B19350815신조0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丁山先生年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68 1935 8 15 1 1 樗山後學 안재홍 丁山先生年譜 附 雅號小考. 竝 著書總目 잡지 신조선 12호 35~43쪽 문화 직접자료 6권 山 B19350815신조02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給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에 졍이 군죨야 월 월봉을 군경 량부만 반급고 오월 즁슌이 되도록 각부 반급지못더니 일젼붓터 일에 한마을식 반급야 부월급은 작일에되고 외부 작일에되고 학부와 농부 군부 법부도  반급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開進 1909년 1월17일 부산 부산 마산 부산과 마산 항구에서 생활하는 우리나라 인민이 상업회의소와 민의소를
    대표표제어次次開進 | 연월일1909년 1월17일 | 지역부산 마산
  • (10) 필화사건 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8년 12월 임방현 『한국필화사』(서울:동광출판사)(pp.172-203) 회고/전기 32 이 글은 “관” 전문에서 발췌한 것으로 달러빚 논쟁, 특혜재벌, 대표적 관업체들, 정치자...
    대표표제어차관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임방현 | 출처『한국필화사』(서울:동광출판사)(pp.172-203) | 키워드차관정책, 달러, 특혜재벌, 정치자금, 외환보유고, 외자도입

멀티미디어(11,613)

  • 18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38_18세기_중반_() 경제_1838_18세기_중반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19_토의_15세기_중반_[] 경제_174_토의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81_토공_15세기_중반_[] 경제_336_토공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602_약재_15세기_중반_[] 경제_657_약재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292_17세기_중반_[] 경제_1292_17세기_중반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연구결과보고서(9)

기타자료(15,237)

  • 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798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8면 2. 1931년 3월 23일 제2회 졸업생 남;南 소화5년 3월...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51/08/25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국립중앙도서관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NCACK, provincial teams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UNCACK
  •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51/09/08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국립중앙도서관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NCACK, provincial teams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UNCACK
  •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저자 미상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저자 미상 | 사료철명부산교육
  • 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376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5면 도;燾 경기도 수원군 정남면 괘낭리 4665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69)

주제어사전(3,293)

  • / [생활/식생활]

    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음료. 는 처음에는 음료수의 일종이거나 약용으로 쓰였지만 기호식품화되면서 취미생활과 연결되고, 다시 일상생활의 도(道)를 끽다(喫)와 관련지어 다도(道)로까지 발전시켰다. 에는 작설·납전·납후·우전·전·말(抹)

  • 삼반 / 三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의 초입사직 가운데 최하위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부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전전승지·상승내승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인 것

  • / 錄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원을 확인하여 등록하고 임명. 중국으로 파견되는 삼사(사·부사·서장관)가 데리고 갈 자제와 가노는 의정부에서, 교린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경우에는 이조에서 각각 녹하였다.『통문관지』에 의하면 정사와 부사는 서자·마두·좌견마·일산봉지 각 1명과 인로 2명, 농마두·

  • / 大 [정치·법제]

    의례에서 임시로 설치했던 왕과 왕비의 자리. 기둥을 세우고 천막을 사용하여 만들었던 임시 가건물로 연향과 같은 국가의 의례가 있을 때 왕과 왕비가 임시로 머물던 처소이다. 왕세자의 처소는 소라고 하여 구분하였다.

  • / 童 [과학기술/과학기술]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 네모틀 각 구석에 네개의 바퀴를 달고 앞뒤의 가로대에 끈을 묶어 네 사람이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평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돌이나 작은 석재, 기와 등을 운반하는 데 주로 쓰였다. ≪화성성역의궤≫에, 수원성곽공사를 위하여 동 192량